$\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actococcus sp. CU216이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을 함유한 pH Sensitive Liposome의 응용
Use of Bacteriocin Produced by Lactococcus sp. CU216 with pH Sensitive Liposome Entrapment 원문보기

Korean journal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24 no.1, 2004년, pp.97 - 102  

박성수 (Princeton 대학교 물리학과) ,  김명희 (한국식품개발연구) ,  한경식 (고려대학교 식품과학) ,  오세종 (전남대학교 동물자원학부 농업과학기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발효식품의 후산발효를 조절하기 위하여 pH sensitive liposome의 이용 가능을 검토하였다. Lactococcm sp. CU216이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은 L.. acidophilus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유산균주들에 생육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를 Octyl-Sepharose column으로 분획하여 정제하였다. 정제된 박테리오신을 dipalmitoyl phosphocholine, dipalmitoyl phosphoethanolamine, dioleoyl phosphocholine 및 콜레스테롤를 각각 4:2:1:4(㏖ ratio)의 비율로 섞은 liposome을 제조하여 최종적으로 pH sensitive bacteriocin-liposome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liposome은 pH 4부근에서 대부분 유리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pH 6이상에서는 일어나지 않았다. 또한 pH sensitive bacteriocin-liposome 한국의 전통 발효식품인 김치에 적용하여 저장시 pH의 저하를 억제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실험 결과, pH sensitive bacteriocin-liposome은 발효식품의 후산발효 억제에 적용될 수 있으며 추후에 요구르트를 포함한 다른 발효식품에 대한 추가적인 실험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ntrol Kimchi fermentation using pH sensitive bacteriocin entrapping liposome(bacteriocin-liposome). The liposomes were prepared by the reverse-phase evaporation method from a mixture of DPPC(dipalmitoyl phosphatidylcholine, DPPE(dipalmitoyl phosphatidylethanolam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특정 pH에서 분해되는 pH sensitive bacte-riocin-liposome을 제조하여 야채발효시 유산균의 생육억제 효과를 조사하여 과도한 산생성을 억제시키는 발효 조절제로서의 가능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kashi, K. I., Miyata, H., Itoh, H., and Kinosita, K. (1996) Preparation of giant liposomes in physiological conditions and characterization under an optical microscope. Biophy. J. 71, 3242-3250 

  2. Bangharn, A. D., Standish, M .M, and Watkis, J. C. (1965) Diffusion of univalent ions across the lamellae of swollen phospholipids. J. Mol. Bioi. 13, 238-252 

  3. Choi, M. H. and Park, Y. H. (1998) Inhibi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n Kimchi fermentation by nisin. J. Microbiol. Biotechnol. 8, 547-551 

  4. Han, K. S., Oh, S. J., Moon, Y. I., and Kim, S. H. (2002) Antimicrobial effects of a bacteriocin mixture from lactic acid bacteria against foodbome pathogens. Kor. J. Food Sci. Ani. Resour. 22, 164-171 

  5. Jack, R W., Tagg, J. R., and Ray, B.(1995) Bacteriocins of Gram-positive bacteria. Microbiol. Rev. 59, 171-200 

  6. Kim, W. J. (1993) Bacteriocins of lactic acid bacteria: Their potentials as food biopreservative. Food Rev. IntI. 9, 299-313 

  7. Klaenhammer, T. R. (1993) Genetics of bacteriocins produced by lactic acid bacteria FEMS Microbiol. Rev. 12, 39-86 

  8. Lee, C. W., Ko, C. Y., and Ha, D. M. (1992) MicrofloraJ changes of the lactic acid bacteria during Kimchi fennent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isolates.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0, 102-109 

  9. Lee, J. S., Jung, M. C., Kim, W. S., Lee, K. C, Kim, H. J., Park, C. S., Lee, H. J., Joo, Y. J., Lee, K J., Ahn, J. S., Park, W., Park, Y.. H., and Mheen, T. I. (1996)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by cellular FAMEs analysis.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4, 234-241 

  10. Montville, T. J., and Kaiser, A. L. (1993) Antimicrobial proteins: classification, nomenclature, diversity, and relationship to bacteriocins. In Bacteriocins of lactic acid bacteria, Hoover, D. G. and Steenson, L. R.(eds.), Academic Press, NY, pp. 1-22 

  11. Oh, S., Churey, J. J., and Worobo, R. W. (1999) Inhibitory activity of Alicyclobacillus strains by bacteriocin of Lactococcus sp. CU216. Abstracts, Annual Meeting of Institute of Food Technologists, Chicago, USA 

  12. Oh, S., Kim, S., and Worobo, R. W. (2000). Characterization and purification of a bacteriocin produced by Lactobacillus acidophilus 30SC: Human isolate for potential use as a probiotic strains. J. Dairy Sci. 83, 2747-2752 

  13. Olson, F., Hunt, C. A., Szoka, F. C., Vail, W. J., and Papahadjopoulos, D. (1979) Preparation of liposomes of defmed size of distribution by extrusion through polycarbonate membranes. Biochim. Biophys. Acta. 557, 9-2 

  14. Perrie, Y., Frederik, P. M., and Gregoriadis, G. (2001) Liposome-mediated DNA vaccination: the effect of vesicle composition. Vaccine 19, 3301-3310 

  15. Siebert, S. T. A., Reeves, S. G., and Durst, R. A. (1993) Liposome immunomigration field assay device for alachlor determination. Anal. Chim. Acta. 282, 297-305 

  16. Tagg, J. R., Dajani, A. S., and Wannamaker, L. W. (1976) Bacteriocins of Gram-positive bacteria Bacteriol. Rev. 40, 722-756 

  17. Weinbrenner, D. R., Barefoot, S. F., and Grinstead, D. A. (1997) Inhibition of yogurt starter cultures by jenseniin G, a Propionibacterium bacteriocin. J. Dairy Sci. 80, 1246-12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