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붉은점모시나비의 국내 분포정보 및 생태적 특성 조사
Distributional Data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rnassius bremeri Bremer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v.43 no.1, 2004년, pp.7 - 14  

고민수 (강원대학교 생물환경학부) ,  이준석 (강원대학교 생물환경학부) ,  김철학 (강원대학교 생물환경학부) ,  김성수 (경희여자고등학교) ,  박규택 (강원대학교 생물환경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붉은점모시나비의 국내 서식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기존에 알려진 채집지와 표본자료, 그리고 실재 잔존 발생지로 알려진 경남 남부지방을 조사한 결과 경남 고성군과 의령군 2개소에서 발생이 재확인되었으며, 이 외에 조사기간 중 강원도 삼척에서 대량 서식지가 발견되었다. 종의 보전을 위한 복원계획 수립을 위해 대량사육기술 개발이 필요하므로 생활사 등 생태적 특성을 위한 기초조사를 실행하였다. 성충의 출현 시기는 5월 중순에서 6월 말까지였다. 산란은 기주식물 외에 주변의 마른 나뭇잎 등에도 하였으며, 암컷 한 마리당 127개까지 산란하였다. 늦은 봄에 산란된 난은 220여 일의 난 기간을 보내고 1월 11일부터 난각을 깨고 부화하며, 부화된 1령유충은 10여 일이 지나 섭식을 시작한다. 항온조건($25^{\circ}C$, 75% RH, l6L:8D)에서 전 유충기간은 65.7일로 각각 1령충 11.2일, 2령충 7.3일, 3령충 12.8일, 4령충 16.2일, 5령충 18.2일이었다. 용기간은 21.3일이었으며, 성충의 수명은 26.2일이었다. 산란조건을 알아보기 위하여 크기를 달리한 산란실을 만들고 각 실 당 접종수를 달리하여 시험해 본 결과 2${\times}$2${\times}$2m이상 크기의 산란실에 암컷 3+수컷 1의 비율로 넣은 경우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흡밀용 당원을 개발하기 위한 실험에서는 흑설탕구와 Fructose구에서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and confirm the occurring sites of Parnassius bremeri in Korea, and to investigate ecological characteristics to develop a mass rearing technique. In the field survey, adults were found in the two previously known sites in Gyungnam Province and another site was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붉은점모시나비의 생태에 관해서는 Shin and Hong (1973)과 김 등(1999)에 의해 난, 유충, 번데기의 형태 적 특징과 함께 부분적인 생활사가 보고 된 바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그들에 의해 조사되지 않았던 부분들을 중점 조사하였다.
  • 그러나 10여 년 전까지도 흔히 채집되었던 이 종이 3년 전까지 경남의 고성군과 거창지역 일원에서만 한정적으로 소수 개체가 확인되었을 뿐 그 외의 지역에서는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자들은 붉은점모시나비의 정밀 분포조사와 함께 사육과 자연복원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해 2001년부터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이에 현황 조사가 필요하게 되었으므로 과거의 분포 기록 및 표본 확인 조사, 현재 분포가 가능한 예상 지역의 선정 및 선정된 지역에 대한 현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자들은 붉은점모시나비의 정밀 분포조사와 함께 사육과 자연복원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해 2001년부터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이에 현황 조사가 필요하게 되었으므로 과거의 분포 기록 및 표본 확인 조사, 현재 분포가 가능한 예상 지역의 선정 및 선정된 지역에 대한 현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향후 붉은점모시나비의 복원 관리 방안을 수립하고 이를 적용하는 여러 가지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기반조성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mat. Lepidop. Soc. Korea. 1986. List of Butterflies of Kyunggido. Amat. Lepidop. Soc. Korea 1: 1-20 

  2. Amat. Lepidop. Soc. Korea. 1989. Notes on Butterflies in Ganwon-do. Amat. Lepidop. Soc. Korea 2: 5-4 

  3. Chu, C.S., H.Y. Lee, S.H. Oh and Y.E. Kim. 1991. Butterfly fauna in Mt. Biseul, Gyeongbuk. Amat. Lepidop. Soc. Korea 4: 16-19 

  4. Chung, G.J., J.S. Park and J.K. Kim. 1989, Butteifly fauna in Mt Yeonhwa, Goseong-gun, Gyeonnam. J. Sci. Tech., Kangwon nat. Univ. 28: 209-220 

  5. Joo, H.Z., S.S. Kim and J.D. Sohn. 1997. Butterflies of Korea in Color. Kyohak Pub. Co., Seoul. 437 pp 

  6. Kim, C.W. 1976. Distribution atlas of insects of Korea. Korea University Press. 200 pp. Seoul 

  7. Kim, D.S., Y.B. Cho and J.K. Koh. 1999. The reasons of local extinction and a plan of restoration for Parnassius bremeri (Lepidoptera, Papilionidae) from the locality of Okchon, Korea. J. Korean Envn. Biol. 17: 467-479 

  8. Kim, H.C. 1990. The survey of butterfly fauna in Mt Yeonhwa, Goseong-gun, Gyeonnam (Supplement). Amat. Lepidop. Soc. Korea 3: 17-28 

  9. Kim, H.C. 1992. On the butterfly fauna in Changwon-ri, Yeongwol-gun, Gangwon-do. Amat. Lepidop. Soc. Korea 5: 6-12 

  10. Kim, S.S. and H.C. Park, 2001. Distribution of Parnassius bremeri Bremer (Lepidoptera) and Cause of its decline in South Korea. J. Lepid. Soc. Korea 14: 43-48 

  11. Kim, Y.S. and S.P. Hong, 1990. Notes on Buterflies to be protected. Amat. Lepidop. Soc. Korea 3: 9-16 

  12. Lee, S.M. 1982. Butterflies of Korea. Ins. Koreana Edit. Comm. 125 pp. Seoul 

  13. Park, K.T. and S.S. Kim. 1997. Insects of Korea I. Butterflies of Korea. 381 pp. KRIBB & CIS 

  14. Park, K.T. and S.Y. Ju. 1990. The insect fauna of Mt. Samak. J. Sci. Tech., Kangwon nat. Univ. 29: 379-398 

  15. Seok, D.M. 1937. New localities of rare species of butterflies in Korea. Zephyrus 7: 186-189 

  16. Seok, D.M. 1973. The distributional map of Korean butterflies. 517 pp. Bojingak. Seoul 

  17. Shin, Y.H. 1989. Colored Butterflies in Korea. Academy Pub. Co., LTD.. 264 pp.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