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용매별 정향 추출물의 항산화효과
Antioxidant Activities of Clove by Extraction Solven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3 no.4, 2004년, pp.609 - 613  

동석 (국립한경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식품생물산업연구소) ,  정승현 (오뚜기중앙연구소) ,  문주수 (국립한경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식품생물산업연구소) ,  이성갑 (국립한경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식품생물산업연구소) ,  손종연 (국립한경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식품생물산업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정향추출물(물, 메탄올 및 에테르)의 항산화 효과를 리놀레인산 기질 및 리놀레인산 에멀젼기질에서 비교, 검토하였다. 물, 메탄올 및 에테르용매에 따른 정향의 총페놀 함량은 23.1, 42.8, 34.9%로 메탄올>에테르>물 추출물 순이었다. Eugenol 함량은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 6.1%이었고 에테르 추출물 8.1%이었으며 물 추출물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정향 추출물의 DPPH 소거효과는 물 추출물 경우 36.1%, 메탄을 추출물의 경우 30.9%, 에테르 추출물의 경우 29.7%로 나타났다. 리놀레인산 기질에서의 항산화 효과는 BHT>에테르 추출물> $\alpha$-tocopherol>메탄올 추출물>물 추출물의 순이었다. 리놀레인산 에멀젼 시스템에서의 항산화 효과는 BHT>물 추출물>메탄올 추출물>에테르 추출물> $\alpha$-tocopherol의 순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investigated on antioxidant activities of water, methanol and ether extracts of clove. The extraction yields of water, methanol and ether extracts were 34.7, 21.4 and 17.0%, respectively. Total phenolic contents of water, methanol and ether extracts were 23.1, 55.7 and 34.9%, respec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정 향의 항산화 효과는 추출방법, 추출조건, O/W 형 에멀젼 기질 등의 저장조건에 따라 다소 다른 결과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유효성분의 검증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추출 용매(물, 메탄 올 및 에 테르)에 따른 정 향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리 놀 레 인산 기질 및 리놀레 인산 에멜젼기질에서 각각 비교, 조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정 향추출물(물, 메탄올 및 에테르)의 항산화 효과를 리놀레 인산 기질 및 리놀레 인산 에멀젼 기질에서 비교, 검토하였다. 물, 메탄올 및 에테르 용매에 따른 정향의 총 페놀 함량은 2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Nriagu, Jerome O., Pacyna, Jozef M.. Quantitative assessment of worldwide contamination of air, water and soils by trace metals. Nature, vol.333, no.6169, 134-139.

  2. Baruthio, François. Toxic effects of chromium and its compounds. Biological trace element research, vol.32, no.1, 145-153.

  3. Schwarz, Klaus, Mertz, Walter. Chromium(III) and the glucose tolerance factor. Archives of biochemistry and biophysics, vol.85, no.1, 292-295.

  4. Dillon, C. T., Lay, P. A., Cholewa, M., Legge, G. J. F., Bonin, A. M., Collins, T. J., Kostka, K. L., Shea-McCarthy, G.. Microprobe X-ray Absorption Spectroscopic Determination of the Oxidation State of Intracellular Chromium following Exposure of V79 Chinese Hamster Lung Cells to Genotoxic Chromium Complexes. Chemical research in toxicology, vol.10, no.5, 533-535.

  5. Yamamoto, Akiko, Wada, Osamu, Ono, Tetsu. Distribution and chromium-binding capacity of a low-molecular-weight, chromium-binding substance in mice. Journal of inorganic biochemistry, vol.22, no.2, 91-102.

  6. Stohs, S.J., Bagchi, D.. Oxidative mechanisms in the toxicity of metal ions. Free radical biology & medicine, vol.18, no.2, 321-336.

  7. Ottenwaelder, H., Wiegand, H.J., Bolt, H.M.. Uptake of 51Cr(VI) by human erythrocytes: Evidence for a carrier-mediated transport mechanism. Th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vol.71, no.3, 561-566.

  8. Yamamoto, Akiko, Wada, Osamu, Manabe, Shigeo. Evidence that chromium is an essential factor for biological activity of low-molecular-weight, chromium-binding substance.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vol.163, no.1, 189-193.

  9. Davis, C. M., Sumrall, K. H., Vincent, J. B.. A Biologically Active Form of Chromium May Activate a Membrane Phosphotyrosine Phosphatase (PTP). Biochemistry, vol.35, no.39, 12963-12969.

  10. Davis, C. M., Vincent, J. B.. Chromium Oligopeptide Activates Insulin Receptor Tyrosine Kinase Activity. Biochemistry, vol.36, no.15, 4382-4385.

  11. Costa, Max. Toxicity and Carcinogenicity of Cr(VI) in Animal Models and Humans. Critical reviews in toxicology, vol.27, no.5, 431-442.

  12. Shi, X, Mao, Y, Knapton, A D, Ding, M, Rojanasakul, Y, Gannett, P M, Dalal, N, Liu, K. Reaction of Cr(VI) with ascorbate and hydrogen peroxide generates hydroxyl radicals and causes DNA damage: role of a Cr(IV)-mediated Fenton-like reaction.. Carcinogenesis, vol.15, no.11, 2475-2478.

  13. Dizdaroglu, M.. Chemical determination of free radical-induced damage to DNA. Free radical biology & medicine, vol.10, no.3, 225-242.

  14. Ye, J, Zhang, X, Young, H A, Mao, Y, Shi, X. Chromium(VI)-induced nuclear factor-kappa B activation in intact cells via free radical reactions.. Carcinogenesis, vol.16, no.10, 2401-2405.

  15. Ryberg, D., Alexander, J.. Mechanisms of chromium toxicity in mitochondria. Chemico-biological interactions, vol.75, no.2, 141-151.

  16. Rajaram, R., Nair, B.U., Ramasami, T.. Chromium(III) Induced Abnormalities in Human Lymphocyte Cell Proliferation: Evidence for Apoptosis.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vol.210, no.2, 434-440.

  17. Ivankovic, S., Preussmann, R.. Absence of toxic and carcinogenic effects after administration of high doses of chromic oxide pigment in subacute and long-term feeding experiments in rats. Food and cosmetics toxicology, vol.13, no.3, 347-351.

  18. 10.1002/(SICI)1520-670X(1999)12:2 3.0.CO;2-Z 

  19. Chromium as an Essential Nutrient for Humans. Regulatory toxicology and pharmacology : RTP, vol.26, no.1, S35-S41.

  20. Offenbacher, Esther G, Pi-Sunyer, F Xavier. Beneficial Effect of Chromium-rich Yeast on Glucose Tolerance and Blood Lipids in Elderly Subjects. Diabetes, vol.29, no.11, 919-925.

  21. Anderson, Richard A, Cheng, Nanzheng, Bryden, Noella A, Polansky, Marilyn M, Cheng, Nanping, Chi, Jiaming, Feng, Jinguang. Elevated Intakes of Supplemental Chromium Improve Glucose and Insulin Variables in Individuals With Type 2 Diabetes. Diabetes, vol.46, no.11, 1786-1791.

  22. Burton, J.L., Nonnecke, B.J., Dubeski, P.L., Elsasser, T.H., Mallard, B.A.. Effects of Supplemental Chromium on Production of Cytokines by Mitogen-Stimulated Bovine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Journal of dairy science, vol.79, no.12, 2237-2246.

  23. Lovrincevic, Igor, Leung, Fred Y., Alfieri, Margaret A. H., Grace, D. Michael. Can elevated chromium induce somatopsychic responses?. Biological trace element research, vol.55, no.1, 163-171.

  24. Schrauzer, Gerhard N, Shrestha, Krishna P, Flores, Manuel. Somatopsychological Effects of Chromium Supplementation. Journal of nutritional medicine, vol.3, no.1, 43-48.

  25. Cerulli, Jennifer, Grabe, Darren W, Gauthier, Isabelle, Malone, Margaret, McGoldrick, M Donald. Chromium Picolinate Toxicity. The Annals of pharmacotherapy, vol.32, no.4, 428-4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