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의학에서 당뇨병 (소갈) 처방으로 사용되는 생진양혈탕과 황금탕 처방 성분 중의 하나인 오매의 포도당 이용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서 오매를 70% 에탄올로 추출한 후 메탄올과 물을 섞은 용액으로 단계별로 XAD-4 column으로 분획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3T3-L1 섬유아세포와 지방세포에서 오매의 추출 분획물이 인슐린처럼 작용하는 인슐린성 물질이거나, 인슐린 작용을 향상시키는 인슐린 민감성 물질이거나, 또는 $\alpha$-glucoamylase 활성을 억제하는 물질로 작용하는 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오매 분획물은 인슐린성 물질로 작용하지 않았다. 반면에 20%나 40% 메탄올 분획층은 분화 유도 물질의 작용을 억제하여 3T3-L1 섬유아세포에서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였다. 한편 오매 분획층 중 60%, 80% 그리고 100% 메탄올 분획층은 3T3-L1 지방세포에서 인슐린 작용을 향상시키는 인슐린 민감성제로 작용하였다. in vitro 실험에서 20 그리고 40% 메탄올 분획층은 $\alpha$-glucoamylase의 활성을 저하시켜 말토스와 dextrin의 분해를 방해하였다. 그러나 in vivo에서는 오매 에탄올 추출물을 말토스나 dextrin을 투여하기 10분전에 투여하였을 때 최고 혈당 값과 area under the curve 값은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오매에는 지방 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물질과 인슐린 민감성을 향상시키는 물질이 함유하고 있으므로 비만을 동반한 당뇨병 및 인슐린 저항성의 치료와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ypoglycemic effect of Prunus mume (PM) extract containing in Sangjinyangheul-tang and Hwangkeumtang, one of the diabetic herbal medicines, was determined by investigating insulin-like action, insulin sensitizing action and a-glucoamylase suppressing action. Insulin-like activity of 3T3-L1 fibrobl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오매가 갈증을 없애는 것이 신맛에 의한 것일 수도 있지만 당뇨병을 완화하여 혈당을 저하시키고 갈증을 없 애 주는 것 일 수도 있다. 그러 므로 본 연구에서는 오매가 인슐린 작용을 향상시 키는 인슐린 민감성 효과, 인슐린처럼 작용하는 인슐린성 물질로서 의 효과 그리 고 a -glucoam- ylase의 억제제로의 효과가 있는 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이 연구 결과로 오매가 당뇨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았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 column으로 분획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3T3-L1 섬유아세포와 지방세포에서 오매의 추출 분획물이 인슐린처럼 작용하는 인슐린성 물질이거나, 인슐린 작용을 향상시키는인슐린 민감성 물질이 거나, 또는 a -glucoamylase 활성을 억제하는 물질로 작용하는 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오매 분획물은 인슐린성 물질로 작용하지 않았다.
  • 본 연구에서는 3T3-L1 지방세포에 소량의 인슐린인 1 ng/mL과 오매의 분획 물을 처 리 하였을 때 50 ng/mL 인슐린을 처리하였을 때와 마찬가지로 포도당의 흡수를 증가시키는 지를 조사하였다. 저농도의(0.
  • 3T3-L1 섬유아세포는 인슐린, DEX와 I3MX로 조성 된 분화유도물질을 첨가하였을 때 지방세포로 전환되는데(14, 15), 이 기전은 아직 확실하게 알려지지는 ??았다. 본 연구에서는 오매 분획물에 인슐린성 물질로 작용하는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3T3-L1 섬유아세포에 분화 유도물질 중 인슐린을 제외한 DEX와 I3MX와 함께 오매 의 메 탄올 분획 물을 각각 100 11g/ mL의 농도로 처 리하였을 때 그리고 인슐린을 포함한 분화유도물질과 함께 오매 분획물을 각각 100 Ug/nmL로 처리하였을 때 지방세포로의 분화정도를 축적된 중성지방 함량으로 결정하였다. 인슐린성 물질의 존재 여부는 분화를 인슐린을 제외한 유도분화 물질과 함께 오매 분획물을 첨가하였을 때 중성지방 생성량이 대조군인 DMSO를 처리한 것보다 많은 경우에 오매 추출물에 인슐린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다고 간주하였다.
  • 그러 므로 본 연구에서는 오매가 인슐린 작용을 향상시 키는 인슐린 민감성 효과, 인슐린처럼 작용하는 인슐린성 물질로서 의 효과 그리 고 a -glucoam- ylase의 억제제로의 효과가 있는 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이 연구 결과로 오매가 당뇨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았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Takahashi, Nobuyuki, Kawada, Teruo, Goto, Tsuyoshi, Yamamoto, Takayuki, Taimatsu, Aki, Matsui, Naoko, Kimura, Kazuhiro, Saito, Masayuki, Hosokawa, Masashi, Miyashita, Kazuo, Fushiki, Tohru. Dual action of isoprenols from herbal medicines on both PPARγ and PPARα in 3T3-L1 adipocytes and HepG2 hepatocytes. FEBS letters, vol.514, no.2, 315-322.

  2. Kamei, Reiko, Kadokura, Michinori, Kitagawa, Yoshinori, Hazeki, Osamu, Oikawa, Shinzo. 2′-benzyloxychalcone derivatives stimulate glucose uptake in 3T3-L1 adipocytes. Life sciences, vol.73, no.16, 2091-2099.

  3. Choi, S.B., Park, S.. The Effects of Water Extract of Polygonatum Odoratum (Mill) Druce on Insulin Resistance in 90% Pancreatectomized Rats. Journal of food science : an official publication of the Institute of Food Technologists, vol.67, no.6, 2375-2379.

  4. CHOI, Soo Bong, PARK, Sunmin. A Steroidal Glycoside from Polygonatum odoratum (Mill.) Druce. Improves Insulin Resistance but does not Alter Insulin Secretion in 90% Pancreatectomized Rats. Bioscience, biotechnology, and biochemistry, vol.66, no.10, 2036-2043.

  5. Chun, O. K., Kim, D.-O., Moon, H. Y., Kang, H. G., Lee, C. Y.. Contribution of Individual Polyphenolics to Total Antioxidant Capacity of Plums.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vol.51, no.25, 7240-7245.

  6. Carrascosa, J. M., Molero, J. C., Fermín, Y., Martínez, C., Andrés, A., Satrústegui, J.. Effects of chronic treatment with acarbose on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in obese diabetic Wistar rats. Diabetes, obesity & metabolism, vol.3, no.4, 240-248.

  7. Huo, Hairong, Guo, Xuemin, Hong, Shangyu, Jiang, Manrong, Liu, Xinyuan, Liao, Kan. Lipid Rafts/Caveolae Are Essential for Insulin-like Growth Factor-1 Receptor Signaling during 3T3-L1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Induction.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vol.278, no.13, 11561-11569.

  8. 10.1210/en.143.6.2106 

  9. Miki, Hiroshi, Yamauchi, Toshimasa, Suzuki, Ryo, Komeda, Kajuro, Tsuchida, Atsuko, Kubota, Naoto, Terauchi, Yasuo, Kamon, Junji, Kaburagi, Yasushi, Matsui, Junji, Akanuma, Yasuo, Nagai, Ryozo, Kimura, Satoshi, Tobe, Kazuyuki, Kadowaki, Takashi. Essential Role of Insulin Receptor Substrate 1 (IRS-1) and IRS-2 in Adipocyte Differentiation. Molecular and cellular biology, vol.21, no.7, 2521-2532.

  10. Yamamoto, Hiroyasu, Kurebayashi, Shogo, Hirose, Takahisa, Kouhara, Haruhiko, Kasayama, Soji. Reduced IRS-2 and GLUT4 expression in PPARγ2-induced adipocytes derived from C/EBPβ and C/EBPδ-deficient mouse embryonic fibroblasts. Journal of cell science, vol.115, no.18, 3601-3607.

  11. Ciaraldi, Theodore P., Kong, Alice P.S., Chu, Neelima V., Kim, Dennis D., Baxi, Sunita, Loviscach, Mattias, Plodkowski, Ray, Reitz, Richard, Caulfield, Michael, Mudaliar, Sunder, Henry, Robert R.. Regulation of Glucose Transport and Insulin Signaling by Troglitazone or Metformin in Adipose Tissue of Type 2 Diabetic Subjects. Diabetes, vol.51, no.1, 30-36.

  12. DeFronzo, Ralph A, Bonadonna, Riccardd C, Ferrannini, Eleuterio. Pathogenesis of NIDDM: A Balanced Overview. Diabetes care, vol.15, no.3, 318-368.

  13. Coniff, Robert, Krol, Alice. Acarbose: a review of US clinical experience. Clinical therapeutics, vol.19, no.1, 16-26.

  14. Herrmann, Burkhard Lorenz, Schatz, Helmut, Pfeiffer, Andreas. Kontinuierliche Blutglucosemessungen: Der Akuteffekt von Acarbose auf die Blutglucoseschwankungen. Medizinische Klinik, vol.93, no.11, 651-6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