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매 추출물들의 항산화 및 세포 활성
Antioxidant and Cell Activity Using Extracts of Mume Fructus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19 no.5, 2011년, pp.388 - 394  

배유경 (안양과학대학 뷰티에스테틱과) ,  최태부 (건국대학교 미생물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ume fructus is the roasted fruits of Prunus mume and has been used as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In this study, mume fructus extracts were prepared by three different methods including hot water extract (sample1), fermentation extract using Lactobacillus (Sample2-LP and sample-LA) and ethanol ex...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주로 약재로 사용되었던 오매의 열수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발효 공정을 적용한 추출물을 대상으로 하여 항산화 및 세포독성, 피부미백, 항염증 효능을 비교하여 오매를 활용한 화장품 원료 소재의 이용가치를 규명함으로써 산업적 응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최근 염증 유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NO생성에 대한 오매 추출물들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에 서는 LPS로 활성화 시킨 RAW 264.7 대식세포를 사용 하였고, 자극에 의해 유도되는 NO 생성을 억제시키는 항염증 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LPS 처리 시 아무 처리도 하지 않았을 때 보다 약 10배 이상의 NO가 증가됨을 확인하였고, 오매 추출물들이 LPS로 인한 NO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매실은 무엇인가? 한방과 민간요법에서 약재로 널리 이용하고 있는 한약재 중 하나인 매실 (Prunus mume)은 매화나무 (Prunus mume Siebole et Zuccarini)의 과실로 항균활성, 피로회복, 식욕증진 및 간 해독 등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매실은 수확시기와 가공방법에 따라 이름과 용도가 다르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수확시기와 가공방법에 따른 매실의 이름은 어떻게 다른가? 매실은 수확시기와 가공방법에 따라 이름과 용도가 다르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열매가 녹색이고 과육이 단단하고 신맛이 강한 것은 청매 (靑梅), 청매를 쪄서 말린 것은 금매 (金 梅), 청매를 소금물에 절여 햇볕에 말린 것은 백매 (白梅), 청매의 껍질을 벗겨 연기에 그을려 검게 만든 것은 오매 (烏梅, Mume fructus), 색이 노랗고 향이 좋은 것을 황매 (黃梅)라고 한다 (Kim and Seo, 2007). 이 중 오매는 6월 중순에서 7월 초순에 딴 미숙한 청매의 껍질, 씨를 벗긴 뒤 짚불 연기에 그을린 후 햇빛에 말려 만들었으며 매실 만큼이나 다양한 생리 활성을 나타내는 약재이다.
오매는 어떤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는가? 이 중 오매는 6월 중순에서 7월 초순에 딴 미숙한 청매의 껍질, 씨를 벗긴 뒤 짚불 연기에 그을린 후 햇빛에 말려 만들었으며 매실 만큼이나 다양한 생리 활성을 나타내는 약재이다. 오매는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탄수화물, triterpenoids, sitosterol 등의 성분을 함유한다. 오매 중의 citric acid는 귤의 4배나 되고 사과의 11~21배나 된다고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orenfreund and Puemer. (1985). Toxicity determined in vitro by morphological alterations and neutral red absorption. Toxicology. 24:119-124. 

  2. Choi JH, Kim HM, Song YS, Park SG, Kim JJ and Lee CK. (2007). Physiological effects of the cosmetic product containing of saccharomyces femented modified kyungohkgo extract on human skin. The Korea Association of Herbology. 22:227-232. 

  3. Chung IM, Kim KH and Ahn JK. (1998). Screening of korean medicinal and food plants with antioxidant activity.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6:311-322. 

  4. Gutfinger T. (1981). Polyphenols in olive oils. Journal of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58:966-968. 

  5. Ha JH, Seo YC, Choi WY, Kim JS, Kim HH, Ahn JH, Lee HY and Jeong MH. (2010). Enhancement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bark of herberis Koreana palibin by lactic acid fermentation.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8:421-428. 

  6. Hong YH. (2010). Development of cosmeceuticals using the eneymatic conversion of green tea extracts : focusing on anti-oxidant, anti-wrinkles and whitening effects. Ph.D thesis. Dong Duck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7. Hwang HJ, An EM, Back NI, Jo JS and Kim HY. (1998).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oxidative components from mume fructus. Journal of Food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19:28-33. 

  8. Hwang JY. (2005). Pharmacological effects of maesil(Prunus mume). Food Science and Industry. 38:112-119. 

  9. Jeon YH, Kwon JE and Kim MR. (2010). Study on antioxidant and cytotoxic activities in ethanol extract from Prunus mume.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20:751-758. 

  10. Jung SE and Bae JH. (2002). The effect of Prunus mume extracts on the growth of HepG2 and HeLa cell lines.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45:439-445. 

  11. Kim SS, Ha JH, Jeong MH, Ahn JH, Yoon WB, Park SJ, Seong DH and Lee HY. (2009). Comparison of biological activities of fermented Codonopsis lanceolata and fresh Codonopsis lanceolata.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7:280-285. 

  12. Kim YD and Seo KS. (2007). Prunus mume's bioactivity and effect of oriental medicine. Food Preservation and Processing Industry. 6:31-38. 

  13. Ko BS, Park SK, Choe SB, Jun DW, Jang JS and Park SM. (2004). Hypoglycemic effects of crude extracts of Prunus mum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3:951-957. 

  14. Kwack YS, Ryu SH, Back BK, Lee JK and Ahn BZ. (1985). The anthelmintic principle of "O-Mae", the roasted fruits of Prunus mume, against clonorchis sinensis.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s. 1:75-80. 

  15. Lee SH, Park KW, Jang HG, Kim CY, Park YS, Kim TC and Heo BG. (2006). Total phenol content, eletron donating ability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of pear cut branch extract.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24:338- 341. 

  16. Lim JD, Chang YY, Kim MJ, Song JY, Sun JL, Kim NY and Chung IM. (2004). Comparison of SOD activity and phenolic contents in various korean medicinal plant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2:191-202. 

  17. Marklund S and Marklund G. (1974). Involvement of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autooxidation of pyrog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opean Journal of Biochemistry. 47:469-474. 

  18. Park CE. (2006). Inhibition of helicobacter pylori urease activity by mume fructus. Ph.D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19. Park CG, Bang KH, Lee SE, Cha MS, Sung JS, Park HW and Seong NS. (2001). Antibacterial activity from medicinal plant extracts on the staphylococcus aureu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9:251-258. 

  20. Park HJ. (2010). Study on the cosmeceuticals using enzymetreated red ginseng extracts. Ph.D thesis. Dong Duck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1. Park YS. (2002).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contents of polyphenolic compound of medicinal herb extracts.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12:23-31. 

  22. Seo MH and Bae JH. (2002). Effect of butanol extracts from Prunus mume on the growth of salmonella typhimurium. The Korean Journal Nutrition. 35:926-931. 

  23. Sim SS. (2003). Effects of citrus essential oils melanin production in B16 melanoma cell. Yakhak Hoeji. 47:25-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