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매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항암 활성 연구
Study on Antioxidant and Cytotoxic Activities in Ethanol Extract from Prunus mume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0 no.5, 2010년, pp.751 - 758  

전연희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권지은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미라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장수생활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unus mume is well known contain many functional materials that play beneficial roles in the human body. Studies have found that many organic acids and polyphenol compounds exist in Prunus mume. In this study, content of total polyphenols and flavonoids, antioxidative activity and cytotoxicity of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오매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및 항산화와 항암 활성을 평가하였다.

가설 설정

  • 1) Values are means of triplicate with standard deviation.
  • 2) Capital letters (A~C) a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same cell line.
  • 3) Small letters (a~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same concentration.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매실이란?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시료인 매실(Prunus mune)은 장미목 장미과 벗나무속에 속하는 매화나무 또는 매실나무라고 부르는 나무의 과실로서 원산지는 중국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 한국과 중국, 일본을 포함한 동북아시아의 일부 따뜻한 기후 지역을 중심으로 재배되고 있다. 오매는 미성숙한 매실을 따서 껍질을 벗기고 짚불 연기에 그을린 후 햇빛에 말려 만든 검은색을 띄는 약재로 직경이 2~3 cm 가량이고 주름이 많으며, 신맛과 특이한 냄새를 가지고 있다.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은 매실을 가공한 오매의 효능에 대해 뭐라고 기록하였는가? 오매는 미성숙한 매실을 따서 껍질을 벗기고 짚불 연기에 그을린 후 햇빛에 말려 만든 검은색을 띄는 약재로 직경이 2~3 cm 가량이고 주름이 많으며, 신맛과 특이한 냄새를 가지고 있다. 동양의학의 원전인「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는 ‘폐의 조직을 단단히 죄고, 장의 작용을 활발하게 하며, 위를 왕성하게 하고, 벌레를 제거한다.’ 라고 오매의 효능을 기록하고 있고, 중국에서는 지금도 한방의 재료로서 설사나 구토 방지, 해열, 기침약 등에 활용되고 있다.
오매란?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시료인 매실(Prunus mune)은 장미목 장미과 벗나무속에 속하는 매화나무 또는 매실나무라고 부르는 나무의 과실로서 원산지는 중국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 한국과 중국, 일본을 포함한 동북아시아의 일부 따뜻한 기후 지역을 중심으로 재배되고 있다. 오매는 미성숙한 매실을 따서 껍질을 벗기고 짚불 연기에 그을린 후 햇빛에 말려 만든 검은색을 띄는 약재로 직경이 2~3 cm 가량이고 주름이 많으며, 신맛과 특이한 냄새를 가지고 있다. 동양의학의 원전인「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는 ‘폐의 조직을 단단히 죄고, 장의 작용을 활발하게 하며, 위를 왕성하게 하고, 벌레를 제거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마쓰모토코사이(1999) 매실민간요법. 국일미디어, 서울. p 64. 

  2. 이상희 (2002) 매화. 넥서스북, 서울. p 518-520. 

  3. An BJ, Lee SA, Son JH, Kwak JH, Park JM, Lee JY (2004) Cytotoxic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Sanguisorbae officinalis L.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141-145. 

  4. Bae JH, Kim KJ, Kim SM, Lee WJ, Lee SJ (2000) Development of the functional beverage containing the Prunus mume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713-719. 

  5. Benzie F, Strain J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9: 70-76. 

  6. Blio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7. Carmichael J, DeGraff WG, Gazdar AF, Minna JD, Mitchell JB (1987) Evaluation of a tetrazolium-based semiautomated colorimetric assay: assessment of chemosensitivity testing. Cancer Res 47: 936-942. 

  8. Cho WG, Han SK, Sin JH, Lee JW (2008) Antioxidant of heating pork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Miq.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820-825. 

  9. Choi JI, Kim YJ, Kim JH, Song BS, Yoon YH, Byun MW, Kwon JH, Chun SS, Lee JW (2009)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extract fractions from Suaeda japonic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31-135. 

  10. Choi SY, Chung MJ, Shin JH, Kim HJ, Sung NJ (2002) Effect of green tea (Camellia sinensis) and Maesil (Prunus mume) extracts on endogenous formation of N-nitrosodimethylamine. Korean J Food & Nutr 15: 16-22. 

  11. Choi SY, Lim SH, KIM JS, Ha TY, Kim SR, Kang KS, Hwang IK (2005) Evaluation of the estrogenic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edible and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549-556. 

  12. Doll R, Peto R (1981) The causes of cancer : Quantitive estimates of avoiable risks of cancer in the United States today. J Natl Cancer Inst 66: 1191-1308. 

  13.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7: 239-243. 

  14. Halliwell B, Gutteridge JMC (1984) Oxygen toxicity, oxygen radicals transition metals and disease. Biochem J 219: 1-14. 

  15. Han JT, Lee SY, Kim KN, Baek NI (2001) Rutin, antioxidant compound isolated from the fruit of Prunus mume.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4: 35-37. 

  16. Jayakasha GK, Patil BS (2007) In vitro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activities in fruit extracts from citron and blood orange. Food Chem 101: 410-418. 

  17. Jeong HS, Han JG, Ha JH, Kim Y, Oh SH, Kim SS, Jeong MH, Choi GP, Park UY, Lee HY (2009) Enhancement of anticancer? Activities of Ephedra sinica, Angelica gigas by ultra high pressure extraction. Korean J Medical Crop Sci 17: 102-108. 

  18. Jung SE (2000) Inhibitory effect of Prunus mume extracts on the growth of liver cancer and cervical cancer cell lines. M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p 12-13. 

  19. Kim EY, Bail IH, Kim JH, Kim SR, Rhyu MR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33-338. 

  20. Kim HJ, Jo CH, Kim TH, Kim DS, Park MY, Byun MW (2006) Biological evaluation of the methanolic extract of Eriobotrya japonica and its irradiation effe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684-690. 

  21. Kim JG, Shin M (2007) The study of Maesil (fruit of Prunus mume) and Maehwa (flower of Prunus mume) in Korean. Food Culture J Honam Area Studies 40: 79-116. 

  22. Kim SI, Sim KH, Ju SY, Han YS (2009) A study of antioxidative and hypoglycemic activitie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extract under variable extract conditions. Korean J Food & Nutr 22: 41-47. 

  23. Kim YG (2004) Antioxidants. Ryo Moon Gak, Korea. 

  24. Nieva Moreno MI, Isl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ogy 71: 109-114. 

  25. Park MK, Kim CH (2009) Extraction of polyphenols from apple peel using cellulase and pectinase and estim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535-540. 

  26. Park YS (2002)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contents of polyphenolic compound of medical herb extrac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2: 23-31. 

  27.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 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logy & Medicine 26: 1231-1237. 

  28. Park KW, Choi SR, Shon MY, Jeoung IY, Kang KS, Lee ST, Shim KH, Seo KI (2007) Cytotoxic effects of decursin from Angelica gigas Nakai in human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385-1390. 

  29. Yim D, Singh RP, Agarwal C, Lee S, Chi H, Agarwal R (2005) A novel anticancer agents, decursin, induces G1 arrest and apoptosis in human prostate carcinoma cells. Cancer Res 65: 1035-1044. 

  30. Yin Y, Hel SI, Jung MJ, Wang MH (2009)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effects of various sections of Astragalus membranaceus. Kor J Phamacogn 40: 1-5. 

  31. Yook CS, Rho YS, Se SH, Leem JY, Han SH (1996) Chemical components of Acanthopanax divaricatus and anticancer effect in leaves. Yakhak Hoeji 40: 251-2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