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소 건강증진사업 성과평가지표 개발 -금연, 운동, 영양, 절주, 고혈압사업을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of a Performance Evaluation Tool for Health Promotion Programs of Public Health Center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1 no.2, 2004년, pp.1 - 16  

서영준 (연세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이동현 (연세대학교 보건행정학) ,  손동국 (연세대학교 보건행정학) ,  정승원 (연세대학교 보건행정학) ,  정애숙 (연세대학교 보건행정학) ,  박남수 (연세대학교 보건행정학) ,  김주경 (연세대학교 보건행정학) ,  이희원 (건양대학교 예방의학교) ,  이무식 (건양대학교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ultimate goal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rough promoting community health. Since the performance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are greatly affected by the quality of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programs, the proper quality assessment of the...

주제어

참고문헌 (18)

  1. 건강증진기금사업지원단 . 2001 보건소 건강증진기금지원사업 평가자료, 2002 

  2. 김춘배, 유태욱, 고광욱, 최헌, 이정애 역. 의료의 질 경영 따라잡기. 계축문화사, 2001 

  3. 변종화 외. 건강증진사업의 운영 및 평가체계개발 1999 

  4. 보건복지부. 국민건강증진사업 편람, 2001 

  5. 보건복지부, 건강증진거점보건소기술지원평가단. 건강증진거점보건소기술지원평가단 사업종합보고서. 2001 

  6. 서영준, 이해종, 이회원, 정애숙. 보건소 건강증진 사업 수행과정의 질 평가지표 개발, 연구보고서, 2003 

  7. 송현종. 보건소 건강증진사업 평가지표 개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8. Ader, M., K. Berensson, P. Carlsson, M. Granath and V. Urwitz, Quality indicator for health promotion programmes,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16(2):187-195 

  9. Department of Health. Good Practice Guide. Learning lessons from post-project evaluation. Health in Action. on-line access to health promotion & injury prevention information in Alberta. 2002 

  10. Dignan, M.B. and Carr, P.A. Program planning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Lea & Febiger, Philadelphia. 1992 

  11. Donabedian A Exploration in quality assessment and monitoring vol 1: The definition of quality and approaches to its assessment, Health Administration Press, Ann Arbor, Michigan 1900;24(26):101-109 

  12. Hawe, H., D. Degeling, J. Hall and A. Briefly, Evaluation Health Promotion, Maclennan and Petty, Sydney Philadelphia , London 1994;86-173 

  13. Mcdonald, G.(ed.) Quality in Health Promotion. Cardiff. Health Promotion Wales 1992 

  14. Rossi, P.H. Freeman, H.E. and Lipsey, M.W. Evaluation-A Systemic Approach. 6th edition, Sage Publications, CA. 1999 

  15. Russell, E. G., T.M. Vogi, and S.M. Boles. Evaluating the public health impact of health promotion interventions: The RE-AIM framework.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999;89(9):1322-1327 

  16. Valnete TW. Evaluating Health Promotion Programs.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17. WHO. WHO Regional Publications European Series, No. 92. Evaluation in Health Promotion; Principles and Perspectives. 2001;28-38 

  18. WHO. Report of the WHO European Working Group on Health Promotion Evaluation. Health Promotion Evaluation: Recommendations to Policy-Makers, EUR/ICP/IVST 05 01 03 Original: English United EUR/HFA target 15,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