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변비 중재 프로그램이 입원환자의 배변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Constipation Intervention Program on Inpatients′ Defecation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4 no.1, 2004년, pp.72 - 80  

최자윤 (목포카톨릭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a constipation reduction program for inpatients. Method: Subjects were selected in one medical ward of C University Hospital from May, 2001 to November, 2001. Twenty-nine subjects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32 subjec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Choi, Jang과 Kim(2003)의 연구에 이어 변비 중재 프로그램이 입원환자의 변비정도, 배변 횟수 및 하제의 사용 기간과 양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Choi 등 (2003)의 연구에서 개발된 변비 중재 프로그램이 배변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변비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 사차 설계이다.
  • 본 연구는 변비에 대한 사정과 그에 따른 중재를 적용할 수 있는 변비 중재 프로그램이 배변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 직장 검진은 직장과 항문 주위에 대변이 차 있는지 여부 및치질과 같은 항문의 질병을 파악할 목적으로 시행하였다. 검사방법은 대상자를 좌측으로 눕게 한 후 장갑을 끼고 시지에 윤활제를 바르고 시지를 항문 위로 대고 있다가 항문괄약근이 이완되면 부드럽게 손가락을 배꼽 방향으로 삽입하였다.

가설 설정

  • 넷째,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하제 사용 양이 적을 것이다.
  • 둘째,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배변 횟수가 잦을 것이다.
  • 셋째,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하제 사용 기간이 짧을 것이다.
  • 첫째, 변비 중재 프로그램을 적용 받은 실험군은 적용 받지 못한 대조군에 비해 변비정도가 낮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ldoori, W. H., Giovannucci, E. L., & Rimm, E. B. (1995). Prospective Study of Physical Activity and the Risk of Symptomatic Diverticular Disease in Men. Am Coll Physicians Obs, 123, 276-282 

  2. Berman, I., & Manning, D. (1990). Streamlining the management of defecation disorders. Dis Colon Rectum, 33, 778-785 

  3. Choi, J. Y., Jang, G. S., & Kim, H. O. (2003). A Development of a Constipation Intervention Program for Inpatients. J Korea Acad Adult Nurs, 15(4), 596-606 

  4. Choi, J. Y., & Kim, H. O. (2001). A Comparison Study on the Complications according to Nasogastric Tube Feeding Methods. Korean Nurses, 40(1), 64-79 

  5. Connell, A. M., Hilton, C., & Irvine, G. (1985). Variation of Bowel Habit in Two Population Samples. Br Med, 2, 1095-1099 

  6. Drossman, D. A., Richter, J. E., Tally, N. J., Thompsom, W. G., Corazziari, E. C., & Whitehead, W. E. (1994). The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1st ed.). Little Brown and Company : Boston 

  7. Duffy, J., & Zemike, W. (1997). Development of a constipation risk assessment scale. Int J Nurs Pract, 3(4), 260-263 

  8. Forlaw, L. (1983). The Critically III Patient: nutritional implications-entera nutrition. Nurs Clin North Am, 18(1), 111-117 

  9. Fowler, C. J. (1997). The Cause and Management of Bladder, Sexual and Bowel Symptoms in Multiple Sclerosis. Baillieres Clin Neural, 6(3), 447-466 

  10. Jost, W. H., Jung, G., & Schimrigk, K. (1994). Colonic Transit Time in Nonidiopathic Parkinson's Syndrome. Eur Neural, 34(6), 329-331 

  11. Kleessen, B. B., Syjura, H. J., & Junft, M. B. (1997). Effects of inulin and lactose on fecal microflora, microbial activity and bowel habit in elderly constipated person. Am J Clin Nurs, 65, 1397-1402 

  12. Kwon, Y. S. (1993). Change of Bowel Elimination : Constipation. Korean Nurses, 32(2), 20-23 

  13. Lennard-Jones, J. E. (1985). Pathophysiology of Constipation. Br J Surg, 72, 7-13 

  14. Martelli, H., Devroede, G., Arhan, P., Duguay, C., Domic, C., & Faverdin, C. (1978). Some Parameters of Large Bowel Motility in Normal Man, Gastroenterol, 75, 612-618 

  15. McMillan, S. C., & Williams, F. A. (1989).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Constipation Assessment Scale. Cancer Nurs, 12(3), 183-188 

  16. Mian, S. W., & Davies, G. J. (1998). Assessment of Constipation Using Bowel Diaries. The Br Soc Gastroenterol, 42(3S), 99 

  17. Moore-Gillon, V. (1984). Constipation: What does the patient mean? J R Soc Med, 77(3), 108-110 

  18. Ryu, E. J., Choi, K. S., Kwon, Y. M., Joo, S. N., Yun, S. R., Choi, H. S., Kwon, S. B., Lee, J. H., Kiu, B. J., Kim H. Y., Ahn, O. H., & Rho, E. S. (1998). Analysis of the nursing interventions done by MlCU and SICU nurses using NIC. J Korea Acad Nurs, 28(2), 457-467 

  19. Son, H. M., Hwang, J. I., Kim, S. Y, Park, S. M., Suh, M. J., & Kim, K. S. (1998). A survey of the nursing interventions performed by hospital nurses using the NIC in Korea. The Seoul J Nurs, 12(1), 75-96 

  20. Whitehead, W. E., Chaussade, S., Corazziari, E. (1991). Report of an international workshop on management of constipation. Gastroenterol Int, 4, 99-113 

  21. Yang, S. (1992). Effects of Fluid Intake, Dietary Fiber Supplement and Abdominal Muscle Exercise on Antipsychotic Drug-induced Constipation in Schizophrenics The J Cathol Med Coll, 45(4), 1501-1514 

  22. Yang, S., & Yu, S. J. (1996). Effect of Dietary Fiber Supplement on Antidepressant-induced Constipation in Depressed Inpatient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5(1), 13-26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