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미국, 영국, 일본, 싱가포르의 과학과 교육과정 비교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f Science Curriculum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4 no.6, 2004년, pp.1082 - 1093  

이미경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김주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미국, 영국, 일본, 싱가포르의 과학과 교육과정을 목표 및 내용 체계를 중심으로 비교함으로써 우리나라의 과학과 교육과정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먼저, 과학 교육 목표의 진술 체제와 수준은 나라마다 서로 달랐다. 우리나라와 미국의 경우에는 여러 학년을 위한 과학 교육의 목표를 통일하게 제시하고 있으며, 목표를 비교적 폭 넓은 수준에서 진술하고 있다. 영국의 경우에는 성취 수준별로 성취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일본은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경우에는 상위 목표로 학교급별 목표를 먼저 제시하고 그 하위 목표로 학년별 또는 분야별(과목별) 목표를 제시하고 있으며, 고등학교의 경우에는 과목별로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목표의 진술 수준을 보면, 학교급별 목표는 폭 넓은 수준에서 진술되어 있는 반면, 학년별 혹은 분야별 목표는 학습 내용과 결부시켜 조금 더 상세하게 진술되어 있다. 싱가포르의 경우에는 학교급별로 과학 교육의 목표를 제시하고 있으며, 비교적 폭 넓은 수준에서 목표를 진술하고 있다. 과학 교육의 목표는 나라별로 큰 차이가 없으며, 대부분의 나라에서 과학적 소양을 기르는 것을 중요한 목표로 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지식의 습득, 과학 탐구, 과학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과 관련된 내용은 모든 비교 대상국의 교육과정의 목표 속에 포함되어 있었다. 각국의 과학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종합적으로 비교하였을 때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탐구를 가르쳐야할 내용 체계의 하나로 포함하는 경향이 있었다. 우리나라와 일본을 제외하고 미국, 영국, 싱가포르에서는 과학 탐구를 가르쳐야 할 독립적인 내용 체계의 하나로 포함하고 있다. 둘째,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내용으로 영역을 구분하는 전통적인 내용 체계 방식에서 벗어나 내용 체계가 다양해지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과학 내용과 관련하여 각국에서 가르치는 내용은 비교적 비슷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우리나라, 일본, 싱가포르의 경우에는 학년별로 학습 내용을 제시하고 있으며, 미국과 영국의 경우에는 몇 개 학년을 묶어서 학습 내용을 제시하고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mpare science curriculum documents of the several countries including Korea,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Japan, and Singapore. The comparison focused on goals and contents in science education of each country. The goals for science education in each cou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중 . 고 과학과 교육과정을 목표 및 내용 체계를 중심으로 비교함으로써 우리나라의 과학과 교육과정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 마지막으로 이러한 재량권 확대는 국가 수준 혹은 지역 수준의 성취도 평가를 어렵게 할 것이라는 점을 들 수 있다. 국가 수준의 성취도 평가는 전 세계적인 경향으로서 국가 수준에서 교육과정의 질을 관리하고, 다른 교육 정책을 위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실시된다. 그러나 재량권이 확대될 경우 진도가 모두 다른 학교를 대상으로 동일한 시기에 성취도 평가를 실시해야 하므로 어디까지를 시험 범위로 해야할지를 결정하기가 어려워진다.
  • 것은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연구에서는 과학 . 기술 선진국이거나 TIMSS나 PISA 등 과학 학업 성취도를 국제적으로 비교한 연구에서 좋은 성적을 나타낸 나라인 미국, 영국, 일본, 싱가포르를 비교 대상국으로 선정하여 과학과 교육과정을 비교 .
  • 우리나라, 영국, 일본, 싱가포르의 국가 수준의 과학 교육 과정과 미국의 국가 과학 교육 기준에 포함된 과학과 교육 목표의 진술 체제와 목표를 비교함으로써 비교 대상국들이 목표의 진술을 어떤 수준에서 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이들 나라들이 과학 교육에서 강조하는 목표는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 것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과학과 교육 목표를 전체적으로 분석해 보면 과학적 소양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목적이 명시적으로 드러나지 않음으로 인해 '과학적 소양을 기른다는 커다란 목적보다는 지식의 습득이나 탐구 능력의 신장 등에 초점을 맞추게 되는 경향이 있다.
  •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미국, 영국, 일본, 싱가포르의 . 중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교육부(1997). 초 . 중 . 고등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2. 김범기, 권재술, 김효남, 백성혜, 정완호, 정진우, 최병순(1997).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 시안 개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연구위원회 

  3. 김범기(2002). 중 .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적용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교과교육공동연구 학술세미나 자료집 

  4. 박도순, 홍후조(1999). 교육과정과 평가. 서울: 문음사 

  5. 이화국(2000). 한국과 중국 고등학교 화학 교육과정의 비교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4), 652-666 

  6. 장진주, 서혜애, 송방호(2003). 우리나라와 이스라엘의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5), 443-457 

  7. 최영준(2003). 전기와 자기에 관한 초 . 중 .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국제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1), 8699 

  8. 文部省(1998). 小學校學習指導要領 

  9. 文部省(1998). 中學校學習指導要領 

  10. 文部省(1999). 高等學校習指導要領 

  11. Ministry of Education (2001). Science Syllabus. Singapore:Author 

  12.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2001).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Standards. Washington D.C.:Author 

  13.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Author 

  14. QCA (2000). The National Curriculum Handbook for Primary Teachers in England: Key Stage 1 and 2. U.K.: TSO 

  15. QCA (2000). The National Curriculum Handbook for Primary Teachers in England: Key Stage 3 and 4. U.K.: TSO 

  16. http://www.moe.gov.sg/ 

  17. http://www.nc.uk.net/home.htm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