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과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 국제 비교 -미국, 캐나다, 호주, 영국을 중심으로-
International Comparison Study on Essential Concepts of Science Curriculum: Focus on the United States, Canada, Australia and England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7 no.1, 2017년, pp.215 - 223  

김지현 (서울대학교) ,  정아준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과학과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을 국가별로 비교하여 우리나라의 핵심 개념 제시 방안을 탐색하였다. 최근 개정된 미국, 캐나다, 호주, 영국의 교과별 교육과정 문서를 살펴보면 Key ideas, Big ideas, Key concepts, Disciplinary core ideas, Fundamental concepts 등과 같은 용어를 새롭게 도입하면서 해당 개념의 의미, 역할 등을 상세히 기술하며 이를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하여 과학교과의 내용을 구조화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 대상국의 핵심 개념을 다루는 용어의 의미와 위상, 역할을 용례를 통해 분석하여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핵심 개념 제시 방안을 검토해보았다. 비교 대상국의 과학과 핵심 개념의 의미를 비교해본 결과 4개국 모두 교과의 내용을 다루는 개념뿐 아니라 간학문적 통합 개념을 설정하여 사용하고 있었고, 분석 대상 국가 모두에서 해당 개념들이 상당한 위상을 가지고 교육과정 문서에 사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대상 국가인 미국, 캐나다, 호주, 영국에서 핵심개념은 그 내용과 의미가 유사한 경우에도 국가에 따라 역할로서 중시하는 면에는 차이가 있었으며, 과학과 교육과정을 구조화하는 방식은 다양하지만 이 구조화에서 핵심개념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다. 핵심개념은 학문 및 학년을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으며, 과학 지식 획득의 틀(framework)로 작용하기도 한다. 또한, 핵심 개념이 미국처럼 성취 기준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구조화될 수도 있으며, 캐나다 온타리오의 경우와 같이 단원마다의 목표로 구조화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볼 때 우리 나라 또한 우리 과학교육의 맥락에 맞는 간학문적 통합 개념을 핵심 개념으로 지정하여 과학 교육과정에서 제시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핵심개념은 단순히 과학 교과의 지식 내용뿐 아니라 기능, 가치 등의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표현 방식 또한 단어, 문장, 도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 교육 목표에 맞는 핵심 개념의 내용을 선정하고 적절한 방식으로 핵심 개념을 제시하는 방안을 채택하기 위한 논의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find an effective way to present essential science concepts in national science curriculum through international comparisons.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 (US), Ontario Science Curriculum (Canada), Australia Science Curriculum, and British/English Science Curriculum were sel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각국의 과학 교육과정 문서를 분석하기에 앞서 각 나라별 핵심 개념을 선정하는 작업을 하였다. 연구자들은 각국의 과학 교육과정 문서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Key ideas, Big ideas, Key concepts, Crosscutting concepts, Disciplinary core ideas, Fundamental concepts’과 같은 용어들을 선정1)하였다.
  • 본 연구는 미국, 캐나다, 호주, 영국의 과학 교육과정 문서의 핵심 개념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의 핵심 개념 제시 방안을 탐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분석 준거로 핵심 개념의 의미, 위상, 역할을 분석 준거로 사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국제비교를 통해 우리나라 과학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 제시 방안을 탐색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2015 교육과정에서 핵심개념은 내용 체계표를 통해 주로 제시되었지만, 다른 나라의 교육과정에서 주요 과학 개념을 제시하는 방법을 탐색하여 수시 개정 체계로 변화된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과의 핵심 개념 제시 방안에 긍정적인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핵심 개념 제시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 국가 및 주 수준의 과학 교육과정 문서를 분석하고자 한다. 국가 및 주별 과학 교육과정은 각 나라별 과학과 관련된 핵심 개념을 명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문서이다.
  • 핵심 개념이 각국의 과학 교육 과정 문서상 어떤 위상을 가지는 지를 확인하여 우리나라의 핵심 개념이 가질 수 있는 위상에 대해 탐색할 것이다. 셋째, 역할은 핵심 개념이 각 나라별 과학 교육과정 문서에서 어떤 기능을 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핵심 개념이 각국의 과학 교육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비교 검토하는 과정을 통해 우리나라의 핵심 개념의 역할에 대해 탐색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교 연구의 의미는 무엇인가? 본 연구의 주된 연구 방법은 비교 연구와 내용분석이다. 비교 연구의 의미는 연구자가 생각한 문제에 대한 사례 간 비교를 통해 공통점과 차이점, 관련성을 찾는데 있다(Given, 2008). 캐나다, 미국, 호주, 영국의 과학 교육과정 문서에서 핵심 개념이 각 나라별로 어떤 의미와 어느 정도의 위상을 지니며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관하여 각 개념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 관련성을 찾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핵심 개념 제시 방안을 탐색할 것이다.
적합한 교육과정 용어의 선정과 범주화가 왜 중요한가? 교육과정 목표를 명확히 하고 그 내용을 구체화하기 위해서는 적합 한 교육과정 용어의 선정과 범주화가 매우 중요하다(Choi, 2008). 최근에 개정된 미국, 캐나다, 영국 등의 나라의 교과별 교육과정 문서를 살펴보면 Key ideas, Big ideas, Key concepts, Disciplinary core ideas, Fundamental concepts 등과 같은 용어를 새롭게 도입하면서 해당 개념의 의미, 역할 등을 상세히 기술하며, 이를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하여 과학교과의 내용을 구조화하고 있다.
미국에서 과학교육 국가 공통기준은 무엇인가? 하지만 주별 학생의 학업성취도 차이, 주별 성취 기준의 차이로 발생하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학, 영어, 과학에서의 국가 공통기준을 만들고자 하는 움직임이 일어났다. 과학의 경우, 국가 과학 아카데미(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에서 2011년에 미국 학생들을 위한 과학교육을 위한 틀(framework)을 발표하였고 이 틀을 기반으로 2013년 차세대 과학 기준이 개발되었다(NGSS Lead States, 2013). 차세대 과학 기준은 세 차원2)으로 구성되는데, 세 차원 중 두 차원을 구성하는 개념으로 미국 차세대 과학의 핵심 개념인 Disciplinary core ideas와 간 학문적 통합 개념을 다루는 Crosscutting Concepts는 등장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ustralian Curriculum, Assessment and Reporting Authority(2015). The Australian Curriculum Science. Retrieved October 24, 2015, from http://www.australiancurriculum.edu.au/download/f10 

  2. Cho, C-K. (2006). A Continuous Concern of Citizenship Education in British Geography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12(3), 421-435. 

  3. Choi, J-H. (2008). A study on fixing and categorizing of curriculum terms for planning curriculum of literary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2) - curriculum terms in secondary school curriculum of literary education in USA and Canad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iterary Education, 21, 199-294. 

  4. Choi, J., & Paik, S. (2013). A Comparative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07 & 2009 Revised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with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in US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2), 277-288. 

  5. Department for Education(2014). The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Framework document. London: Department for education. 

  6. Given, L. M. (Ed.). (2008). The Sage encyclopedia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age Publications. 

  7. Kim, D.-H., & Kim, H.-N. (2012). International comparison of contents about particle concept in national science curricula.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1(2), 164-176. 

  8. Kim, S. & Choi, T. (2007). Research methodology in education. Seoul: Hakjisa. 

  9. Kim, J.-S., Park, S.-K., Choi, J., & Lee, H. (2013).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ies on the sequence and integrity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a (Research report RRC 2013-3). Seou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10. Kwak, Y., Son, J,. Kim, M-Y,. & Ku, J. (2014). Research on Ways to Improve Science Curriculum Focused on Key Competencies and Creative Fusion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3), 321-330. 

  11. Lee, Y., Yoon, H., Song, J-Y., & Bang, D. (2014). Analysis of science educational contents of Singapore, Canada and US focused on the integrated concep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1), 21-32. 

  12. Lee, H., & Yeo, C,. (2015). International comparison study on the articulation of the science curriculum: Focus on the concept of photosynthes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5), 805-815. 

  13.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4). Main points of the general guidelines for 2015 liberal art and natural science integrated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Retrived from http://ncic.re.kr/mobile.revise.board.view.do 

  14.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5a). 2015 revised curriculum -Overview-. Seoul: Ministry of Education. 

  15.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5b). 2015 revised curriculum -Science-. Seoul: Ministry of Education. 

  16. Marsh, C. (1992). Key Concept for Understanding Curriculum Development. Paris: UNESCO. 

  17. NGSS Lead States(2013).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for states, by state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18.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2014, December 14). NGSS Executive Summary. Retrieved from http://www.nextgenscience.org/sites/ngss/files/Final%20Release%20N GSS%20Front%20Matter%20-%206.17.13%20Update_0.pdf 

  19. Ontario Ministry of Education(2007). The Ontario Curriculum Grade 1-8, Science and Technology. Retrieved November 6, 2015 from https://www.edu.gov.on.ca/eng/curriculum/elementary/scientec18currb.pdf 

  20. Ontario Ministry of Education(2008a). The Ontario Curriculum : Science Grades 9 and 10. Retrieved November 6, 2015 from http://www.edu.gov.on.ca/eng/curriculum/secondary/science910_2008.pdf 

  21. Ontario Ministry of Education(2008b). The Ontario Curriculum : Science Grades 11 and 12. Retrieved November 6, 2015 from http://www.edu.gov.on.ca/eng/curriculum/secondary/2009science11_ 

  22. Paik, N.-J. (2014a). Review of statements of achievement standards in subject curriculum : Focusing on the national science curriculum of Republic of Korea and the U. S..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2(2), 101-131. 

  23. Paik, N-J. (2014b). Review of subject-specific competency based standards : focusing on social studies curriculum of Australia, Canada, Singapore.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2(4), 163-194. 

  24. Paik, N-J., Ohn, J-D. (2015). Examination of How General Competency is Reflected and Presented in the Australian National Curriculum.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3(2), 99-128. 

  25. So, K-H. (2015). Things intended and realized in the 2013 revis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significance and limitation.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3(3), 199-220. 

  26. So, K-H., Jang, J-K., Lee, S-Y. (2011). Review on the Australian Curriculum: Process of the Development and Features.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21(2), 51-73. 

  27. Yun, E., & Park, Y. (2014). Relationship of using science terminology between science curriculum and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in the 2009 national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7), 667-67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