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 과학 교사들의 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수 행동 요소와 수업 유형 분석
Teaching Behavior Elements and Analysis of Instructional Types Generated in Elementary Science Teacher's Classroom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4 no.3, 2004년, pp.565 - 582  

양일호 (한국교원대학교) ,  서형두 (한국교원대학교) ,  정진우 (한국교원대학교) ,  권용주 (한국교원대학교) ,  정재구 (한국교원대학교) ,  서지혜 (한국교원대학교) ,  이혜정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초등 과학 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사들의 교수 행동 요소를 탐색하고, 그들의 수업 유형을 분류하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과 경기도에 근무하는 초등학교 교사 18명을 선정하여, 6학년 2학기 1단원 2차시"물 속에 잠긴 모양에 따라 물체의 무게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기" 수업을 녹화하였다. 녹화한 수업 비디오는 전사하여 분석 자료로 삼았다. 교수 행동 요소는 귀납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약호화 체계를 개발하였다. 수업 유형은 전체적인 수업의 조직, 교수학습 과정에서의 교수 방법, 학생들에게 주어진 탐구의 구조와 조직에 따른 개방성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자료 분석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본 연구자 및 과학교육전문가 3명과 과학교육 박사과정 3명이 수업에서 나타난 교수 행동 요소와 수업 유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의 과학 탐구 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수 행동 요소는 모두 23가지였으며, 각 교사들에게서 관찰된 교수 행동 요소와 제시되는 순서는 많은 차이가 있었다. 수업 유형은 모두 7가지가 발견되었으며, 가장 많이 발견된 유형은 비조직적 교사 중심의 안내된 탐구(UTG)였다. 학생들의 탐구적 사고를 요구하는 교수 행동 요소보다는 교사의 안내된 탐구 수행과 이와 관련된 교수 행동 요소가 많았으며 교사 중심의 수업, 내용 중심의 수업 전개, 형식적인 탐구 과정 거치기라는 특징이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lements of teaching behavior and classify instructional types through the teacher's classroom observation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classrooms. 18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elected at Seoul city and Kyungkido. The topic of lesson was 'How the w...

주제어

참고문헌 (21)

  1. 교육부(1997). 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 

  2. 교육인척자원부(2001).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과학 4-2. 대한교과서주식회사 

  3. 권재술(1994). 학교 과학교육의 과제와 과학교육 연구의 방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1), 103-108 

  4. 박성혜(2000).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 교수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과학에 대한 학문적 배경,과학 교수에 대한 태도, 과학 교수 효능에 대한 신념의 상호 관계성 조사(I) - 양적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4), 542-561 

  5. AAAS(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1993). Benchmarks for science literac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6. Abrams, E.(1998). Talking and doing science: Important elements in a teaching-for-understanding approach. In Mintzes, J. J., Wandersee, J. H., & Novak, J. D. (Eds.). Teaching science for understanding: A human constructivist view. San Diego, CA: Academic Press 

  7. Appleton, K.(1995). Problem solving in science lessons-how students explore the problem space.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5, 383-393 

  8. Huber, R. A., & Moore, C. J.(2001). A model for extending hands-on science to be inquiry based.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1(1), 32-42 

  9. Kelly, J.(2000). Rethinking the elementary science methods course: a case for content, pedagogy, and informal science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2, 755-777 

  10. Lee, K. W. L., Tan, L. L., Goh, N. K., Chia, L. S., & Chin, C.(2000). Science teachers and problem solving in elementary schools in Singapore. Research in Science & Technological Education, 18(1), 113-126 

  11. Lin, H. S.(1995). The development of beginning chemistry teachers' teaching technique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San Francisco, CA 

  12. Marx, R. W., Blumenfeld, P. C., Krajicik, J. S., & Soloway, E.(1997). Enacting project-based science.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97(4), 341-358 

  13. Michelsohn, A. M., & Hawkins, S.(1994). Current practice in science education of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 Raizen & A. Michelsohn (Eds) The Future of Science in Elementary Schools: Educating Prospective Teachers. San Francisco: Jossey-Bass 

  14. Newton, P., Driver, R, & Osborne, F.(1999). The place of argumentation. in the pedagogy of school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5), 553-576 

  15. NRC(National Research Council),(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16. Ramsey-Gassert, L., Shroyer, M. G., & Staves, J. R (1996). A quality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science teaching self-efficacy of elementary level teachers. Science Education, 80, 283-315 

  17. Roth, W. M., & Bowen, G. M,(1994). Mathematization of experience in a grade 8 open-inquiry environment: An introduction to the representational practices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3), 293-318 

  18. Sapiro, B. L.(1996). A case study of change in elementary student teacher thinking during an independent investigation in science: Learning about 'the face of science that does not yet know'. Science Education, 80(5), 535-560 

  19. Slater, T. F., Carpenter, J. R., & Safko, J. L.(1996). Dynamics of a constructivist astronomy course for in-service teachers.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44, 523-528 

  20. Strauss, A. L., & Corbin, J.(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Sage, 2nd ed., 312 

  21. Tafoya, E., Sunal, D., & Knecht, P.(1980). Assessing inquiry potential: A tool for curriculum design maker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80, 43-4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