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적 창의성 모델의 제안 -인지적 측면을 중심으로-
A Suggestion of Cognitive Model of Scientific Creativity (CMSC)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4 no.2, 2004년, pp.375 - 386  

박종원 (전남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과학적 창의성은 창의적 사고만으로 발현될 수 없으며, 과학지식내용과 과학적 탐구기능이 함께 사용되게 마련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학적 창의성을 위한 사고, 과학지식내용, 과학적 탐구기능의 3 요소로 구성된 인지적 측면에서의 과학적 창의성 모델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모델의 공통요소로 가치, 독창성, 정교성을 포함시켰다. 최근에는 발산적 사고가 곧 창의적 사고라고 보기보다는, 과학적 창의성에 여러 가지 다양한 사고가 필요하다고 강조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논의들에 기초하여, 과학적 창의성을 위한 사고로 발산적 사고, 수렴적 사고, 그리고 연관적 사고를 제안하였다. 인지적 측면의 과학적 창의성 모델에 기초하여 구체적인 과학적 창의성 활동 예시를 제시하고, 어떻게 활동자료가 개발될 수 있는지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앞으로 연구에서는 구체적으로 다양한 과학적 창의성 활동유형을 정의하고, 유형별 학습지도자료를 개발하게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reative thinking alone can not lead to scientific creativity. Scientific knowledge and scientific inquiry skills are needed for scientific creativity. Focused only on cognitive aspect, I suggested a cognitive model of scientific creativity (CMSC) consisting of 3 components: thinking for scientific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 과학적 창의성 활동에 취미와 여가생활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강조하기도 한다(Root- Bernstein, 1999). 과학적 창의성에 관련된 이러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면 연구의 범위가 매우 광범위해지므로, 연구의 출발점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우선 인지적 측면에만 초점을 맞추어 논의하고자 한다.
  • , 1983). 따라서 창의성에 대해 공통되고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는 범주가 정확히 주어지지 않았다는 측면에서, 발산적 사고 검사는 창의적 사고에 대한 잠재력을 어림한 것 뿐이라고 볼 수 있다(Runco, 1999), 이런 측면에서 본연구에서는 발산적 사고가 곧 창의적 사고라는 관점보다는, 발산적 사고는 과학적 창의성을 위해 필요한 중요한 몇 가지 사고유형 중 하나라는 관점을 취하고자 한다. 즉, 본 모델에서는 과학적 창의성을 위한 사고에 발산적 사고뿐 아니라, 수렴적 사고와 연관적 사고도 포함시켰다(수렴적 사고와 연관적 사고에 대한 자세한 논의는 뒤에서 다루겠다).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관점에서 과학적 창의성 모델을 제시하고, 그에 대한 근거를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실제적인 과학적 창의성 활동을 개발하기 위한 이론적 기초로 수행된 것이다. 후속 연구에서 제안된 과학적 창의성 모델에 기초하여, 학생들의 과학적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구체적인 활동자료가 개발될 것이다.
  • 그러나, 창의적인 과학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발산적 사고 이외에 다른 사고들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지적되어 왔다. 이러한 논의에 기초하여 본 모델에서는 발산적 사고 이외에 수렴적 사고(convergent 난linki昭)와 연관적 사고(associative thinkingX 과학적 창의성을 위한 사고유형으로 포함시키고, 이에 대한 근거를 논의할 것이다. 각 사고유형의 하위특성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추가로 포함시켰다. 즉, 이제까지의 사고방식이나 개념, 인식을 달리해서 새롭게 생각하고, 새롭게 해석하는 것도 창의성의 중요한 한 측면이며 이것을 발 산적사고의 한 요소로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비 관습적 사고를 통해 이제까지의 우리의 경험이나 인지적 또는 개념적 위상 속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새로운 것을 창안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가설 설정

  • - 창의성은 내용 의존적이다. 따라서, 과학적 창의성 모델에는 과학지식내용(scientific knowledge contents) 이 포함되어야 한다.
  • . 과학적 창의성 모델은 인지 심리학적 측면뿐 아니라, 과학의 본성을 반영해야 한다. 따라서, 일반적 창의성에서 강조되어 왔던 발산적 사고뿐 아니라, 실제 창의적인 과학 활동을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고 (thinking for scientific creativity)들이 포괄적으로 포함될 필요가 있다.
  • . 과학적 창의성은 구체적인 과학탐구활동 속에서 발현된다. 따라서, 과학적 창의성 모델에는 과학적 탐구기능들(scientific inquiry skills)이 포함되어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교육부 (1997). 고등학교 교육과정 (I):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p. 334).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2. 김영채(2001). 창의적 문제해결: 창의력의 이론, 개발과 수업, 교육과학사 

  3. 박종원(1998). 과학활동에서 연역적 사고의 역할.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1), 1-17 

  4. 박종원(2000). 학생의 과학적 설명가설의 생성과정 분석- 과학적 가설의 정의와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4), 667-679 

  5. 박종원(2001). 학생의 과학적 설명가설의 생성과정 분석- 대학생 반응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21(3), 609-621 

  6. 박종원(2002). 개념체계의 연속적 세련화와 정교화를 통한 개념 변화 분석 - 이론적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2), 357-377 

  7. 우종옥, 이경훈, 이항로(1994). 과학교육학 목표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2), 159-169 

  8. Alexander, P. A.(1992). Domain knowledge: Evolving themes and emerging concerns. Educational Psychology, 27, 33-51 

  9. Baer, J.(1999). Domains of creativity. In M. A. Runco & S. R. Pritzker (Eds,) Encyclopedia of Creativity (pp. 591-596). Londin: Academic Press 

  10. Chalmers, A. F.(1978). What is this thing called science? Open University Press 

  11. Cropley, A. J.(1999). Definition of creativity. In In M. A. Runco & S. R. Pritzker (Eds.) Encyclopedia of Creativity (pp. 511-524). Londin. Academic Press 

  12. Cropley, A. J., & Urban, K. K.(2000). Programs and strategies for nurturing creativity. In K A. Heller, F. J. Monks, R. J. Sternberg, and R. F. Subotnik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Giftedness and Talent (pp. 485-498). Oxford: Elsevier Science Ltd 

  13. Diakidoy I-A. N., & Constantinou, C. P.(2001). Creativity in physics: Response fluency and task specificity 

  14. Dunbar, K(1997). How scientists think: On-line creativity and conceptual change in science. In T. B Ward, S. M. Smith and J. Vaid (eds) Creative Thought: An Investigation of Conceptual Structures and Processes (Washington, D. 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461-494 

  15. Feldhusen, J. F.(1995). Creativity: a knowledge base, metacognitive skills, and personality factors.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29, 255-268 

  16. Feldhusen, J. F., & Clinkenbeard, P. R.(1986). creativity instructional materials: A review of research.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20, 153-182 

  17. Gardner, H.(1983).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 New York: Basic Books 

  18. Gruber, H. E.(1989). Networks of enterprise in scientific creativity. In B. Gholson, W. R. Shadish, Jr., R A. Neimeyer, & A.C. Houts. (Eds.) Psychology of Science: Contributions to metascience (pp.246-265).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Guilford, J. P.(1956). The structure of intellect. Psychological Bulletin, 53, 267-293 

  20. Guildford, J. P.(1968). Intelligence, creativity, and their educational implications. San Diego, CA: EDITS 

  21. Hanson, N. R.(1961). Patterns of Discovery: An Inquiry into the Conceptual Foundations of Scienc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 Harrington, D. M., Block, J., & Block, J. H.(1983). Predicting creativity in preadolescence from divergent thinking in early childhoo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5, 609-623 

  23. Hu, W., & Adey, P.(2002). A scientific creativity test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4), 389-403 

  24. Holyoak, K J. & Thagard, P.(1999). Mental Leaps: Analogy in Creative Thought (London: The MIT Press) 

  25. Engle, D. E., Mah, J. J., & Sadri, G.(1997). An empirical comparison of entrepreneurs and employees: Implications for innovation.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0, 45-49 

  26. Jackson, P. W., & Messnick, S.(1967). The person, the product, and the response: Conceptual problems in the assessment of creativity. In J. Kagan (ed.), Creativity and Learning (pp. 1-19). Boston: Houghton Mifflin 

  27. Kuhn, T. S,(1977).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8. Langley, P., Simon, H. A, Bradshaw, G. L., & Zytkow, J. M.(1987). Scientific Discovery: Computational explorations of the creative processes. London: The MIT Press 

  29. Lawson, A. E.(1995). Science Teaching and Development of Thinking (Belmont, C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30. Maier, N. R. F.(1931). Reasoning in humans: II. The solution of a problems and its appearance in consciousness. Journal of Comparative Psychology, 12, 181-194 

  31. Mansfield, R S., & Busse, T. V.(1981). The psychology of creativity: scientists and their work. Chicago: Nelson-Hall 

  32. McComark, A. J., & Yager, R E.(1989). A new taxanomy of science education, Science Teacher, 56(2), 47-48 

  33. Miller, A. I.(1996). Metaphors in creative scientific thought. Creativity Research Journal, 9, 113-130 

  34. Millar, A. I.(2000). Insights of Genius: Imagery and creativity in science and art. London: The MIT Press 

  35. Novak, J. & Gowin, B.(1984). Learning how to learn. Cambridge University Press 

  36. Park, Jongwon & Kim, Ikgyun.(2002). Analysis of the students' processes of generating scientific explanatory hypothesi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Conference of Australasian Science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Cairns, Australia 

  37. Park, Jongwon, & Sooja, Han.(2002). Deductive reasoning to promote the change of concept about force and mo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6), 593-610 

  38. Park, Jongwon, Kim, Ikgyun, Kim, Myungwhan, & Lee, Moo.(2001), Analysis of the students' processes of confirmation and falsification of the hypotheses in electrostatic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3(12), 1219-1236 

  39. Peirce, C. S.(1955). Abduction and induction. In J. Buchler (ed.) Philosophical Writings of Peirce (New York: Dover Publications, INC), 150-156 

  40. Rebaglia, A.(1999). Scientific discovery: Between incommensurability of paradigms and historical continuity. Foundations of Science, 4, 337-354 

  41. Renzulli, J. S.(1978). What makes giftedness? reexamining a definition, Phi Delta Kappan, 59, 180-184 

  42. Rothenberg, A.(1996), The Janusian process in scientific creativity. Creativity Research Journal, 9(2,3), 207-231 

  43. Root-Bernstein, R.(1999). Discovery. In In M. A. Runco & S. R. Pritzker (Eds.) Encyclopedia of Creativity (pp. 559-571). Londin: Academic Press 

  44. Runco, M. A.(1999). Divergent thinking. In In M. A. Runco & S. R Pritzker (Eds.) Encyclopedia of Creativity (pp. 577-682). Londin. Academic Press 

  45. Sternberg, R. J.(1996). Successful Intelligence. New York: Basic Books 

  46. Sternberg, R. J.(1999). Handbook of Creativit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7. Song, Jinwoong, Park, Jongwon, Kwon, Sunggi, & Chung, Byunghoon.(2001). Idealization in Physics: Its types, roles and implications to physics learning. In Pinto, R, & Surinach, S. (Eds,), Physics Teacher Education Beyond 2000. (pp. 359-366). Paris: Elsevier 

  48. Thagard, P.(1997). Coherent and creative conceptual combinations. In T. B Ward, S. M. Smith and J. Vaid (Eds) Creative Thought: An Investigation of Conceptual Structures and Processe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29-141 

  49. Walberg, H. J., & Stariha, W. E.(1992). productive human capital: learning, creativity and eminence. Creativity Research Journal, 5, 323-341 

  50. Ward, T. B., Saunders, K. N., & Dodds, R A.(1999). Creative cognition in gifted adolescents. Roeper Review, 21, 260-266 

  51. Weisberg, R W.(1986). Creativity: Genius and other myths. New York: Freeman 

  52. Wolpert, L.(1992). The Unnatural Nature of Science.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