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행동이론에 근거한 가임여성 대상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 Theory Base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Childbearing Aged Women in Korea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9 no.6, 2004년, pp.725 - 733  

오세영 (경희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김경아 (인제대학교 백병원 비만연구센터) ,  유혜은 (경희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정해랑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품질평가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was well received that well grounded behavioral theories were important in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but there are only a few programs available for Korean wome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for childbearing-aged women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 인식전환단계는 현재 식습관에 대한 문제점 인식과 식습관교정을 위한 자신감과 동기부여증가를 목적으로 하였다. 문제점 인식을 위해 부적절한 영양 및 체중관리의 문제점과 바람직한 식습관의 중요성을 제시하였고, 서약서 작성, 식생활 자가평가, 실천가능한 행동목표 설정 등의 활동을 통해 정서적으로 식습관교정의 필요성을 수용하고 능동적으로 교육에 임하며 식습관교정에 대한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 전자에서는 자아효능감과 행동수행력 을 높이고, 긍정적인 물리적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구성되었다(Table 4). 교육대상자 가 자신의 식생활을 추적하는 방법을 익히는 것을 목적으로 식행동이나 식이섭취의 기록 및 평가법 및 실천가능한 적절한 목표설정에 대해 교육하는 내용을 다루었다. 그 밖 에 원치 않은 행동을 유도하는 계기에 대한 관리방법 (cue management), 식습관 교정이 실패하거나 만족할 만하지 못할 때 경험하는 좌절감을 긍정적인 사고를 함으로써 극복하는 방법(positive self-talk), 부적절한 행위를 바람직한 행위로 바꾸는 방법 (countering, 예로는 바람직한 외식법이 있음)에 대해서도 다루었다.
  • 부적절한 영양 및 체중관리 문제점 장에서는 가임여성의 식생활과 체중의 문제점 다루어 영양관리의 필요성을 인지하도록 하였다. 구체적 예를 제시하고자 잘못된 체중감량 방법들의 문제점도 지적하였다. 바람직한 식습관의 중요성에서는 식사의 규칙성과 균형성 및 가공식품섭취 감소의 필요성과 이러한 식습관을 통해 얻을 수 장점 등을 제시하였다 (결과기대, 가치기대).
  • 식습관교정 부분에서는 영양소, 식품군, 교환단위 등 식습관교정에 필요한 지식을 제공하였다(행동수행력). 그 다음 대상자의 현재 식습관을 과제물을 참고하여 교육자와 교육대상자가 함께 평가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사항 순위를 정하도록 하여 자신에게 맞는 목표를 설정함으로써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높여 주고자 하였다(자아효능감). 식습관과 생활 습관 개선을 위한 구체적 행동지침을 '아침 결식줄이기', '아침식사 잘하기', '칼슘부족 개선', '철분 부족 개선' , '단백질 부족개선', '채소과일섭취 부족개선' , '바른외식법' , '패스트푸드 줄이기' , 그밖의 문제식품(커피, 소금, 설탕) 줄이기' 측면에서 제시하여 교육대상자의 식습관 문제에 따라 교육자에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교육 할 수 있게 교육안을 구성하였다(행동중심).
  • 그 밖 에 원치 않은 행동을 유도하는 계기에 대한 관리방법 (cue management), 식습관 교정이 실패하거나 만족할 만하지 못할 때 경험하는 좌절감을 긍정적인 사고를 함으로써 극복하는 방법(positive self-talk), 부적절한 행위를 바람직한 행위로 바꾸는 방법 (countering, 예로는 바람직한 외식법이 있음)에 대해서도 다루었다. 또한 자신이 식습관 교정 중이라는 것을 타인에게 알려 협조를 얻는 방법 (commitment) 과 호의적인 물리적 환경을 조성하는 방법(예로는 냉장고에 권장하는 음식 보관, 필요한 메모를 냉장고 문에 붙여놓기 등이 있음) 에 대해 교육하도록 하였다.
  • 본 연구는 가임여성을 대상으로 이론에 근거한 보건영양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에 관한 것이다. 우선 정성적, 정량적 방법으로 영양교육프로그램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여 필요한 주제와 방법을 파악하였다.
  • 사회 인지론은 한 개인의 행동은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끊임없어 상호작용을 하면서 한부분이 변화하면 다른 부분의 변화를 가져와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으로 결과 기대(특정행동 수행에 따른 결과에 대한 기대)와 가치기대(특정행동 수행 결과에 부여하는 기대), 행동수행력(행동 변화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 자아효능감(행동수행에 대한 자신감), 환경 등이 주요개념이다(Glanz 1990; Boyle & Morris 1999). 본 연구는 영양상태 불균형의 우려가 높은 가임여성을 대상으로 이론에 근거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다음에서는 개발 과정을 제시하였다.
  • 또한 준거인 (significant others) 이 교육대상자의 식습관 조절을 지지하고 도와줄 것을 서약하게 하는 방법도 제시하였다(환경적 요인). 필요하다면 목표를 다시 설정하고 과제를 부여하여 필요한 교육을 실시하도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nliker J, Damrun D (1999): Using the stages of change model in a 5 a day guidebook for WIC. J Nutr Educ 31(3): 175-176 

  2. Anstine D, Grinenko D (2000): Rapid screening for disordered eating in college aged females in the primary care setting. J Adolescent Health 26: 338-342 

  3. Bauer K, Sokolik C (2002): Basic nutrition counseling skill development, pp.8-13, Wadsworth/Thomson learning, Baltimore CA 

  4. Boyle MA, Morris DH (1999): Community nutrition in Action. 2nd ed. pp.236-259, West/Wadworth, Belmont CA1999 

  5. Cheong SH, Kim JS, Lee MY, Lee JH, Chang KJ (2001): A study on dietary intake and vitamin and mineral supplement use by Korean college students attending web class. Nutr Sciences 4(2): 104-111 

  6. Choi HJ, Jun YS, Park MK, Choi MK (1999): The effect of daytime jobs on the dietary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s among evening class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4(2): 175-185 

  7. Contento IR, Balch GI, Bronner YL, Lytle LA, Maloney SK, Olson CM, Swadener SS (1995): The effectiveness of nutrition education and implications for nutrition education policy, programs, and research: a review of research. J Nutr Educ 27(6): 277-422 

  8. Glanz K, Lewis FM, Rimer BK (1990):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Jossey-Bass, San Francisco 

  9. Kang HJ, Kim KM, Kim KJ, Ryu ES (2001): Effect-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the mothers of preschool children in kindergarten. Korean J Nutr 34(2): 230-240 

  10. Kim HR, Park HR, Lee SK, Lee KH, Hwang MH (2001): A study of efficient delivery of health center based nutrition service through linkage with social welfare centers,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1. Kim KA (1999): Analysis of factors related to health behavior and development of nutrition education counseling program dor university female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Seoul Women’s University 

  12. Kim KA, Kang HJ, Kim KW (1999): A study of weight control attempt, psychosocial status, nutrition behavior and related factors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2): 91-101 

  13. Kim KW, Kang HJ, Kim KA, Kim SH (2001): Development of website-base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female college students and young wome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6(4): 657-667, 2001 

  14. Kim WY, Cho MS, Lee HS (200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ini dietary Assessment Index for Koreans. Korean J Nutr 36(1): 83-92 

  15. Kwon S-O (2003): A study on eating behaviors of child-bearing aged women and their needs for nutrition education program.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16. Kwon WJ, Chang KJ (2000): Evaluation of nutrient intake, eating behavior and health-related lifestyle of Korean college students. Nutr Sciences 3(2): 89-97 

  17. Oh S-Y, Kwon S-O (2003): Needs assessmen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child-bearing aged women using focus group interview. J Science Human Life 7(1): 154-164 

  18. Park HS, Lee HO, Sung CJ (1997): Body image, eating problems and dietary intakes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in urban area of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2(4): 505-514 

  19. Sigman-Grant M (1996): Stages of change- A framework for nutrition interventions. Nutr Today 31(4): 162-170 

  20. Van Horn LV, Dolecek TA, Grandis GA, Skweres L (1997): Chapter 8. Adherence to dietary recommendations in the special intervention group in the Multiple Risk Factor Intervention Trial. Am J Clin Nutr 65(suppl): 289S-304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