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emisia Herb is the dry aboveground part of Artemisia asiatica (Compositae). This is listed officially in the Korean Herbal Pharmacopoeia and used mainly in stopping all kinds of bleeding, regulating menses and curing menstrual disorders as well as in alleviating pain. Eupatilin and jaceosidin wer...
Artemisia Herb is the dry aboveground part of Artemisia asiatica (Compositae). This is listed officially in the Korean Herbal Pharmacopoeia and used mainly in stopping all kinds of bleeding, regulating menses and curing menstrual disorders as well as in alleviating pain. Eupatilin and jaceosidin were isolated from Sazabalsuk and Sajuarisuk. and identified by means of spectral methods $(UV,\;^1H\;and\;^{13}C-NMR,\;MS) $ and quantitative analysis using HPLC. Regression equations for two flavonoid component standards obtained from Artemisia asiatica were $y=76069_x\;+\;107329\;(r=0.9999^{**})$ for eupatilin, $y=76651_x\;+\;77399\;(r=0.9996^{**})$ for jaceosidin. The eupatilin content of Sazabalsuk was 240mg, jaceosidin was 10mg in 100 g dry leaves. The Sajuarisuk were 330mg, 123mg in 100g dry leaves, respectively.
Artemisia Herb is the dry aboveground part of Artemisia asiatica (Compositae). This is listed officially in the Korean Herbal Pharmacopoeia and used mainly in stopping all kinds of bleeding, regulating menses and curing menstrual disorders as well as in alleviating pain. Eupatilin and jaceosidin were isolated from Sazabalsuk and Sajuarisuk. and identified by means of spectral methods $(UV,\;^1H\;and\;^{13}C-NMR,\;MS) $ and quantitative analysis using HPLC. Regression equations for two flavonoid component standards obtained from Artemisia asiatica were $y=76069_x\;+\;107329\;(r=0.9999^{**})$ for eupatilin, $y=76651_x\;+\;77399\;(r=0.9996^{**})$ for jaceosidin. The eupatilin content of Sazabalsuk was 240mg, jaceosidin was 10mg in 100 g dry leaves. The Sajuarisuk were 330mg, 123mg in 100g dry leaves, respectively.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는 쑥으로부터 flavonoid성분인 eupatilin과 jaceosidin을 추출·분리하고 이들의 물리화학적 성질과 정량분석법을 개발하여 보고한다.
제안 방법
사자발쑥의 잎 36 kg에 acetonee 가하여 3시간씩 3회 수욕상에서 주줄하여 얻은 acetone엑스에 MeOH 및 hexane을 거의 동량 가하여 분획여두를 사용하여 분획하였다. MeOH가 용분획 154g을 상기와 같이 sihcagel column에 걸어 얻은 분획을 재결정하여 735 mg의 순수한 화합물1을 얻었다 모액은 농축하여 15.
약쑥의 eupatihn과 jaceosidin을 분리하여 그 화학구조를 분 광학적 방법 ('H and l3C-NMR, MS)으로 확인하였다 이를 지표물질로 하여 HPLC 분석조건과 HPLC용 검체의 조제, 표준 검량선을 작성하였다. 약쑥 eupatilin 성분의 검량선은 y= 76069x + 107329(r=0.
성능/효과
인체 혈액암세포(HL-60)에서 eupatiline 300 μM농도까지 용량 의존적으로 세포 사멸을 유도하였으며, DNA합성의 지표 인 thymidine uptake를 억제하였다 이러한 euqatilin의 세포 증식억제와 사멸유도 효과가 apoptosis에 의해 일어났는지 확인해보고자 TUNEL staining을 해본 결과, eupatilin을 처리한 세포에서 현저히 apoptosis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eupatilin의 apoptosis 유도 기전이 cytochrome C의 방출과 caspase 3, 7, 9의 활성화를 통해 일어남을 확인하였다(이, 2003).
약쑥으로부터 얻은 화합물 1과 2는 모두 미황색 화합물들로서 flavonoid 정색반응에 각각 양성을 나타내며 IR spectrum 이 두 화합물 모두 flavonoid의 특이적인 흡수 band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보아 두 화합물 모두 flavonoid 계 화합물로 추정되었다
화합물 1 및 2의 UV spectrum을 보면 band I이 각각 340 nm 및 344nm에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아 flavone계 화합물로 추정되며 NaOAc에 의해 band II가 모두 bathochromic shift 되는 것으로 보아 C-7위치에 OH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NaOH에 의해 band I이 모두 bathochromic shift 되나 화합물 1은 흡수강도가 감소하므로 4'-OH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나 화합물2는 64 nm bathochromic shift 되어 나타나고 있는 band I의 흡수강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4-0H가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화합물 1 및 2의 UV spectrum을 보면 band I이 각각 340 nm 및 344nm에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아 flavone계 화합물로 추정되며 NaOAc에 의해 band II가 모두 bathochromic shift 되는 것으로 보아 C-7위치에 OH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NaOH에 의해 band I이 모두 bathochromic shift 되나 화합물 1은 흡수강도가 감소하므로 4'-OH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나 화합물2는 64 nm bathochromic shift 되어 나타나고 있는 band I의 흡수강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4-0H가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또한 AICI3에 의해 화합물 1,2 모두 bathochromic shift 되어 있으므로 두 화합물에서 5-OH가 존재함을 추정할 수 있었다 (Marco et al.
88 ppm 에서 3개의 OCH3가 singlet signal로 각각 나타나고 있으며 662 및 692에서 각각 나타나는 E분의 smglet signale 각각 H-3 및 H-8 또는 H-6 proton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Bnng portone H-2', 5' 6로 추정되는 ABX type의 splitting pattern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C-3' 및 4' 위치에 OH 또는 OCH3기가 존재하고 있음을 추정할 수 있었으며, C-5 및 C-7 위치에 결합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던 두 개의 OH기의 signale 1302 및 10 64 ppm에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화합물2의 1H-NMR data는 화합물1과 매우 유사하나 1보다 OCH3기가 하나 적으며, mass spectrum에 의해서 B ring에 하나의 OH와 OCH3 존재함을 할 수 있었다 B nng proton 의 1H-NMR data와 shift reagent에 의한 UV spectral data 를 종합하여 화합물 2는 eupatihn의 4'-OCH3기가 OH로 치환된 jaceosidin으로 결정할 수 있었다.
약쑥의 eupatihn과 jaceosidin을 분리하여 그 화학구조를 분 광학적 방법 ('H and l3C-NMR, MS)으로 확인하였다 이를 지표물질로 하여 HPLC 분석조건과 HPLC용 검체의 조제, 표준 검량선을 작성하였다. 약쑥 eupatilin 성분의 검량선은 y= 76069x + 107329(r=0.9999), jaceosidine y=76651x + 77399 (r=0 9996)으로 각각 직선성이 인정되었다 강화사자발쑥의 잎에는 eupatilin이 240 mg( 100 g 잎), jaceosidin이 10mg(100g 잎) 함유되어 있고, 싸주아리쑥의 잎에는 eupatihn이 330 mg (100 g잎), jaceosidin이 123mg(100g 잎)씩 각각 함유되어 있 음이 확인되었다.
후속연구
개똥쑥(A. annus)에서 분리한 artemisinine 현재 각광받고 있는 신약으로 항말라리아 치료제로 개발되었으며 곧 시판될 예정이다. 또한, artemisinin 생합성 중간 산물인 amorpha- 4, 11-dienei- 생성하는 유전자를 분리하여 특성분석 결과를 보고 한 바 있다(Chang et al.
7)은 100g의 강화사자발쑥에는 10 mg, 싸주아리쑥에는 123 mg 함유되어 있음을 알았다. 따라서 향후 쑥의 종류, 생육시기, 수확후 저장 조건 등에 따른 이들 성분의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14)
金洙哲 1992 抗癌本草, 바람과 물결, 서울, pp 174-175
이형주 2003 기능성식품 소재화를 위한 암 예방 기능성 식물성분 소재의 탐색, 작용 기작 및 생산조건, 바이오그린21 사업성과 발표, 농촌진흥청, pp 327-330
장혜옥 1992 약쑥 추출물의 항 위염 및 위궤양 작용, 박사학위 청구논문,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Chinese Herbal Medicine 1991 Eastland Press, Seattle, pp 71-2
Chang, Y J , S. H. Song, S H Park, and S U KIm 2000 Amorpha-4, 11-diene synthase of Artermsia annua cDNA Isolation and bactenal expression of a terpene synthase involved in arterrusmm bIOsynthesis Arch Biochern Biophys 383. 178-184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