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무원인 119구급대원의 직무수행과 관련하여 발생할 수 있는 민$\\cdot$형사상 책임과 그에 따른 법적 보호를 위한 대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ivil and Criminal Liabilities of 119 Rescue and Its Legal Protection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19 no.2 = no.58, 2005년, pp.45 - 62  

배현아 (연세의류원 의류법윤리학과) ,  윤순영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교실) ,  정구영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교실) ,  이경환 (연세의류원 의류법윤리학과) ,  김찬웅 (중앙대학교 용산병원 응급의학과)

초록

본 논문은 우리나라 병원전 응급의료체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119구급대의 법적 지위를 정의하고 직무수행과 관련된 법적책임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검토하여 병원전 응급의료체계의 질향상에 필요한 구급대원의 법적 보호를 위한 대책을 제시하고 나아가 앞으로 발생 가능한 병원전 응급의료체계와 관련된 법적인 소송에 대비한 위험관리와 그 대책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119구급대는 소방법에 근거하여 편성되어 그에 따라 구급대원은 공무원의 법적지위를 갖게 되어 국가배상책임이 일차적이지만, 응급처치와 응급환자 이송이라는 업무의 특성상 민, 형사상 책임이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구급대원의 직무수행과 관련된 법적 문제의 발생을 줄이고, 구급대원을 법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방법으로 의학적 지도관리를 강화하고 구급대원의 응급의료와 관련된 지침서를 마련하고 지침과 절차에 따라 직무를 수행하여야 하며 현장에서 응급실까지의 응급의료체계와 관련된 출동에 대해서는 정확하고 합법적인 기록을 작성하여 보존하여야 한다. 현재 구급대원의 법적보호규정으로 긴급피난적 응급처치와 형사적 책임의 완화 내지 면제를 위해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 의해 임의적 감면사유를 규정하고 있다. 민사적으로도 긴급피난 외에 착한 사마리아인법 또는 구호자 보호법과 같은 새로운 법제정 및 개정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thesis has defined the legal status of 119 rescue who plays a major role in the Korean prehospital emergency medical system and reviewed the various issues that may occur depending on work related legal liabilities. As a resul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present the countermeasures for...

참고문헌 (17)

  1. 정진우외,' 부산지역의 응급환자이송체계에 대한 전향적 분석', 대한응급의학회지, Vol. 13, No.1, pp.23-31(2002) 

  2. 정구영 외, '응급환자의 현황과 응급의료의 실태', 대한응급의학회지, Vol. 8, No. 3(1996) 

  3. 김태민, '제주도내 119 구급대원들의 병원 전 응급처치(Prehospital Emergency Care)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1998) 

  4. 김인주, '119구급대 이용시민 만족도와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2000) 

  5. R. J. Goldberg, 'A Review of Prehospital Care Litigation in a Large Metropolitan EMS System', Ann. Emerg. Med., 1990 May, Vol. 19, No.5, pp.557-61 

  6. D. L. Morgan, Emergency Medical Service Liability Litigation in the United States:1987 to1992, Prehospital Disaster Med 1994, Oct-Dec, Vol. 9, No.4, 214-20 

  7. J. M. Soler, 'The Ten-year Malpractice Experience of a Large Urban EMS System', Ann. Emerg. Med., 1985 Oct, Vol. 14, No. 10, 982-5 

  8. R. J. Goldberg, 'A Review of Prehospital Care Litigation in a Large Metropolitan EMS System', Ann. Emerg. Med., 1990 May, Vol. 19, No.5, 557-61 

  9. 한국보건의료관리연구원, 응급의료체계운영평가보고서(1997) 

  10. R. J. Goldberg, 'A Review of Prehospital Care Litigation in a Large Metropolitan EMS System', Ann. Emerg. Med., 1990 May, Vol. 19, No.5, 557-61 

  11. J. Weaver, K. H. Brinsfield, and D. Dalphond, 'Prehospital Refusal-of-transport Policies: Adequate Legal Protection?'. Prehosp Emerg Care,. 2000 Janmar, Vol. 4, No.1, 53-6 

  12. 박균성, 행정법론(상), 제2판, 박영사, pp.519-520 (2003) 

  13. American College of Emergency Physician Position Paper.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Emergency Physician, Vol. 6, No.1, p.33(1997) 

  14. 미국응급구조사과정 연구과제 제2집, 행정자치부 (1998) 

  15. C. J. Shanaberger, Case Law Involving Base-station Contact, Prehospital Disaster Med 1995 Apr-Jun, Vol. 10, No.2, 75-80 

  16. 구호자보호법(시안) 학술연구, 고려대학교 의사법학 연구소(2000) 

  17. 탁문곤 외, 한국과 선진국의 응급구조사 양성교육 비교분석을 통한 교육제도 발전방안, 소방구급발전연구 논문집, 행정자치부(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