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죽음교육이 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생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Death Education Program on Attitude to Death and Meaning in Life among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2 no.2, 2005년, pp.141 - 153  

김숙남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  최순옥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  이정지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  신경일 (부산가톨릭대학교 인성 교양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death education program on attitude to death and meaning in life for university students. Methods: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quasi-experimental and non-synchronized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The study subjects were 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생에서 중요한 시기에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죽음교육을 실시하여 죽음에 대한 태도와 생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자들이 구성한 30시간의 죽음 교육을 통하여 삶과 죽음의 진정한 의미를 탐색하여 건강한 죽음관을 형성하고 동시에 생의 의미 수준을 높이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죽음교육이 대학생들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생의 의미에 어떠한 효과를 미쳤는가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인식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자들이 구성한 30시간의 죽음 교육을 통하여 삶과 죽음의 진정한 의미를 탐색하여 건강한 죽음관을 형성하고 동시에 생의 의미 수준을 높이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죽음교육이 대학생들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생의 의미에 어떠한 효과를 미쳤는가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부산 지역의 일개 대학교 대학생을 대상으로 죽음교육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비 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 설계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의 유사 실험 연구이다.
  •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죽음교육이 대학생들에게 죽음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뿐만 아니라 생의 의미 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동시에 확인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 가설 1: 죽음교육에 참여한 대학생은 참여하지 않은 대학생보다 죽음에 대한 태도점수가 낮을 것이다
  • 1) 죽음교육에 참여한 대학생은 참여하지 않은 대학생보다 죽음에 대한 부정적 태도 점수가 낮을 것이다.
  • 2) 가설 2: 죽음교육에 참여한 대학생은 참여하지 않은 대학생보다 생의 의미에 대한 점수가 높을 것이다.
  • 2) 죽음교육에 참여한 대학생은 참여하지 않은 대학생보다 생의 의미 점수가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강광순. 간호대 학생들의 죽음 및 호스피스에 대한 태도연구. 전남대학교 간호과학논집 2000:5(1):187-201 

  2. 남현숙. 성인의 죽음에 관한 태도와 죽음준비교육 요구분석[석사학위논문]. 서울: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1999. 

  3. 도복름 외 9 인. 최신정신간호학. 서울: 현문사, 1990 

  4. 부위훈. 죽음 그 마지막 성장. 서울: 청계, 2002 

  5. 스즈키 히데코. 가장 아름다운 이별이야기. 서울: 생활성서, 2002 

  6. 신경일, 최순옥, 김숙남, 이정지. 여성가장의 생의 의미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2000;12(2):127-146 

  7. 안춘욱. 죽음에의 대비교육 필요성에 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명지대학교 지방자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2001. 

  8. 알폰소 데켄. 마지막까지 그대 곁에 서울: 성서와 함께, 2002 

  9. 우정길. 죽음교육에 대한 실존주의적 고찰[석사학위논문]. 서울: 고려대학교 대학원, 1997. 

  10. 이영화. 죽음 준비교육 모형개발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11. 이정지, 신경일, 최순옥, 김숙남. 생의 의미 측정도구 개발. 대한간호학회지 2002;32(7):1039-1048 

  12. 차혜진. 죽음교육이 간호 대학생의 죽음불안과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경남: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4. 

  13. 최순옥, 김숙남, 신경일, 이정지. 생의 의미 측정도구개발 II. 미간행 

  14. 최숙향. 죽음준비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중앙대학교 사회개발 대학원, 1995. 

  15. Coleman. The Effect of an Instructional Module on Death and Dying on the Death Anxiety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Trainees. Purdue University, 1983 

  16. Collet LJ, Lester D. Fear of Death and the Fear of Dying. J Psycho 1969;72:179-181 

  17. Feifel H. The Meaning of Death. Princeton: McGraw-Hill, 1959 

  18. Ferrel BR, Coyle N. Textbook of Palliative Nursing.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19. Fischer M. The Effect of a Multi-method Death Education Curricular on Death Anxiety and Attitude toward Aging. University of Arkansas, 1995 

  20. Frankl VE. Man's search for meaning. New York: Washington Square Press, 1963. 이봉우(옮김). 로고테라피의 이론과 실제. 서울: 분도출판사, 1980 

  21. Hutchison TD. Diffential Effects upon Death Anxiety of primary Didactic VS. Primary Experiential Death and Dying Training. The University of Oklahorna, 1990 

  22. Kubler-Ross E. on Death and Dying. Macmillan, 1969. 이인복(옮김). 임종과 죽음에 대한 의문과 해답. 서울: 홍익제 1980 

  23. Maglio DJ, Meta Analysis of the Effects of Death Education on Death Anxiety. Arizona State University, 1992 

  24. Nouwen HJM. Our Greatest Gift. San Francisco: Harper Collins Pub, 1994. 홍석현(옮김). 죽 음, 가장 큰 선물. 서울: 홍성사,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