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effects of building school forest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cluding changes in mental image of school, attitude toward nature and forest, and awareness of their relationship with school forest. The total number of 770 drawings and 1,124 writings were co...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effects of building school forest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cluding changes in mental image of school, attitude toward nature and forest, and awareness of their relationship with school forest. The total number of 770 drawings and 1,124 writings were collected to be analyzed from three elementary school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student groups, respectively forest school group versus non-forest school group, in their mental image of school. For instance, more often observed in the drawings of forest school group students than their counterparts were natural and human elements, activities associated with nature, and natural or human elements located at central area. Also, more frequently found in the writings of forest school group students than their counterparts were letter-style sentences, stories about school forests, inherent values on nature and forest, and curiosity regarding the nature. These results seem to indicate that in order to materialize educational value of school forests, practical workshops for teachers need to be held as soon as possible and new activity models for students should be developed. In addition to that, long-term research on effectiveness of school forest have to be conducted to a number of schools.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effects of building school forest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cluding changes in mental image of school, attitude toward nature and forest, and awareness of their relationship with school forest. The total number of 770 drawings and 1,124 writings were collected to be analyzed from three elementary school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student groups, respectively forest school group versus non-forest school group, in their mental image of school. For instance, more often observed in the drawings of forest school group students than their counterparts were natural and human elements, activities associated with nature, and natural or human elements located at central area. Also, more frequently found in the writings of forest school group students than their counterparts were letter-style sentences, stories about school forests, inherent values on nature and forest, and curiosity regarding the nature. These results seem to indicate that in order to materialize educational value of school forests, practical workshops for teachers need to be held as soon as possible and new activity models for students should be developed. In addition to that, long-term research on effectiveness of school forest have to be conducted to a number of school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는 학교숲의 조성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와 자연에 대한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평가하고, 학교숲의 교육적 잠재력을 실현하기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자주 사용되어온 설문조사나 지필 검사의 한계점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주로 그림 그리기나 글짓기를 사용하여 학교 숲 조성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기 위한 자료를 수집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기 위해 사용된 각각의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림 조사는 학교숲 조성 기간이 다른 학교에서 학생들의 학교에 대한 인식을 심상(mental image)의 표현에 있어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그림 조사는 S초등학교와 K초등학교 2개 학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각 학교별로 2학년에서 6학년까지 각 학년급별로 2개 학급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학교숲 조성이 초등학생들의 학교에 대한 심상과 자연(숲)에 대한 태도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학교숲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본 연구에서 수집한 자료에 대한 분석 결과를 학교 그림에 대한 정량적 분석, 숲과 나무에 대한 글짓기에 대한 정량적, 정석적 분석 결과를 나누어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아이들이 학교에서의 일상적 생활 속에서 갖게 된 자연체험의 흔적을 살펴보자.
본 연구는 학교숲 조성이 초등학생에게 미치는 효과를 이해하기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3개의 초등학교 학생 1, 124명을 대상으로 그림 그리기, 글짓기를 하게 하여 분석 자료를 수집하고, 그 결과를 정량적, 정성적 방법을 통해 분석한 다음 교사와의 인터뷰를 통해 분석 결과를 확인하고 해석하였다.
본 연구는 흔히 사용되어온 자기보고형 설문조사 이외의 방법으로 학교숲의 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으며, 약 8개월에 걸쳐 상당히 장기적으로 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학교숲을 통한 학생의 변화 여부 및 변화의.방향에 관하여 확정적으로 말할 수 있는 것은 그다지 많지 않다.
가설 설정
나무와 숲은 우리에게 많은 도움을 준다. 첫째, 숲은 커다란 녹색댐의 구실을 한다..
제안 방법
학생들이 그린 그림을 수거하여, 그림에 나타난 요소를 자연요소, 사람요소, 건물(시설물)요소로 나누고 어떤 요소들이 등장하는지를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도화지 크기의 투명한 비닐을 동심원 형태로 중앙부, 주변부, 배경부의 3 영역으로 나누어 표시한 뒤, 각각의 그림위에 덮고 각 영역별로 어떤 요소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지를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도화지 크기의 투명한 비닐을 동심원 형태로 중앙부, 주변부, 배경부의 3 영역으로 나누어 표시한 뒤, 각각의 그림위에 덮고 각 영역별로 어떤 요소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지를 조사하였다.
학생들의 숲에 대한 글짓기 결과에 대해서는 글의 문체, 숲의 유형, 나무와 숲의 가치, 학교에 대한 자부심, 숲(자연)에 대한 호기심, 숲의 파괴자에 대한 인식 등에 관한 항목을 포함하여 분석하였다.
그림과 글짓기에 대한 분석이 끝난 뒤, 분석 결과에 대한 현장 교사의 확인을 위하여 현재 학교에서 학교숲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 3명, 교장 1명, 학교숲 운영위원 1명, 생명의 숲 학교숲 담당자 1명, 연구진 1명이 참석한 가운데 집중 토론회를 개최하였다. 토론회는 2004년 6월 19일 양재동 교육문화회관의 회의실에서 진행되었으며, 회의 내용은 대전 MBC 방송국에서 촬영하였고, 촬영한 필름을 보면서 녹취록을 작성하였다.
위해 실시하였다. 그림 조사는 S초등학교와 K초등학교 2개 학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각 학교별로 2학년에서 6학년까지 각 학년급별로 2개 학급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먼저 학생들에게 A3 크기의 도화지를 나누어 주고 '우리 학교 그리기'를 주제로 자유롭게 그림을 그리도록 하였다.
그림 조사는 S초등학교와 K초등학교 2개 학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각 학교별로 2학년에서 6학년까지 각 학년급별로 2개 학급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먼저 학생들에게 A3 크기의 도화지를 나누어 주고 '우리 학교 그리기'를 주제로 자유롭게 그림을 그리도록 하였다. 그림을 그리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나 내용에 대해 교사는 제한을 두지 않고 다만 주제를 현격히 벗어나지 않도록 지도하였다.
글짓기 조사는 3개 학교 모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나무와 숲'이라는 주제를 주고 A4 크기의 미리 만들어 간 용지에 형식에 구애됨이 없이 자유롭게 글을 쓰도록 하였다. 작성된 글들을 취합하여 한글 문서작성 소프트웨어를 통해 입력하고 2명의 연구보조원이 읽고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에 차이가 있을 경우 글을 함께 읽으면서 불일치를 해소하였다.
자유롭게 글을 쓰도록 하였다. 작성된 글들을 취합하여 한글 문서작성 소프트웨어를 통해 입력하고 2명의 연구보조원이 읽고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에 차이가 있을 경우 글을 함께 읽으면서 불일치를 해소하였다. 조사 결과에 대해서는 SPSS-10 Window 프로그램을 통해 빈도 분석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 데이터
2004 년 현재 전국 301개 학교가 학교숲 운동에 동참하고 있으며, 2003년까지 학교에 약 12만 여주의 나무를 심은 것으로 조사되었다(조만희, 2004). 처음 사업을 시작하였을 때 1학년에 갓 입학한 아이들이 이제 초등학교를 졸업하여 중학교에 입학하였다. 그에 따라 본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많은 단체와 개인이 이 사업의 효과에 대해 궁금증을 가지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에 위치한 3개의 초등학교를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학교숲 조성 기간에 따른 교육적 효과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6년째인 학교 2곳과 2004년에 학교숲 조성을 시작하는 학교 1곳을 선정하였다.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학교숲 조성 기간에 따른 교육적 효과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6년째인 학교 2곳과 2004년에 학교숲 조성을 시작하는 학교 1곳을 선정하였다.
개최하였다. 토론회는 2004년 6월 19일 양재동 교육문화회관의 회의실에서 진행되었으며, 회의 내용은 대전 MBC 방송국에서 촬영하였고, 촬영한 필름을 보면서 녹취록을 작성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그림은 총 770장이며, S 초등학교 학생이 그린 405장의 , 그림과 K 초등학교 학생이 그린 365장의 그림이 분석되었다. 학교 숲 조성 6년째인 S 초등학교의 경우 그림의 91.
분석에 사용된 글은 총 1, 124편이며, S 초등학교 학생이 409편, K 초등학교 학생이 396편, 그리고 H 초등학교 학생이 319편을 작성하였다. 학교 숲을 조성한 지 오래된 학교의 학생들은 최근에 조성된 학교의 학생들에 비해 편지체 혹은 대화체의 글을 사용하는 빈도가 높고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2=34.
앞으로 꽃과 숲을 가꿉시다. (S 초등학교 3학년).
데이터처리
그림을 그리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나 내용에 대해 교사는 제한을 두지 않고 다만 주제를 현격히 벗어나지 않도록 지도하였다. 그림에 등장하는 요소에 대해서는 SPSS-10 Window 프로그램을 통해 빈도분석 및 x2-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림에 등장하는 요소의 상대적 위치와 중요성에 대해서는 Asprinall & Ujam (1992)이 제시한 개인구념심리학(Personal Construct Psy- chology)에서 사용하는 투사법을 응용하여 도화지를 중앙으로부터 .
작성된 글들을 취합하여 한글 문서작성 소프트웨어를 통해 입력하고 2명의 연구보조원이 읽고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에 차이가 있을 경우 글을 함께 읽으면서 불일치를 해소하였다. 조사 결과에 대해서는 SPSS-10 Window 프로그램을 통해 빈도 분석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성능/효과
둘째, 나무는 먼지를 흡수하고 맑은 공기를 내보낸다.... 셋째, 숲은 생태계의 공원과 다름없다. 숲에는 온갖 종류의 식물, 동물이 어우러져 살아가고 있다.
학교숲 조성 사업을 시작한 지 오래된 학교의 학생들이 최근에 조성을 시작한 학교의 학생들에 비해 숲이나 자연에 대한 호기심을 표현하는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교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시작한 학교의 학생에 비해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오래된 학교의 학생들이 그린 그림 속에서는 올해 시작한 학교의 학생들이 그린 그림에 비해, 자연 요소가 더 빈번하게 나타나고, 사람 요소가 더 빈번하게 나타나며, 건물 요소는 덜 빈번하게 나타나고, 사람이 자연과 관련된 활동을 하는 장면이 더 빈번하게 나타나며, 그림의 중앙부에 자연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가 많이 나타났다.
또한, 학교숲을 오랫동안 조성해 온 학교의 학생들이 쓴 글 속에서는 올해 시작한 학교의 학생들이 쓴 글에 비해, 숲을 향한 편지체나 대화체의 글이 더 빈번하게 나타나고, 일반적인 숲보다는 학교숲을 소재로 쓴 글이 더 빈번하게 나타나고, 학교에 대한 자부심을 나타내는 글이 더 빈번하게 나타나며, 숲의 파괴자로서 다른 사람보다는 우리(나 포함)를 지목하는 경우가 더 빈번하게 나타나고, 숲에 대해 목적적 가치를 부여하는 글이 더 빈번하게 나타나고, 자연에 대한 호기심을 나타내는 글도 더 빈번하게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은 흔히 자신들만의 공간을 원한다. 흔히 아지트라고 할 수 있는 이러한 공간은 학교 숲을 통해 제공될 수 있는데, 학교 관리자들은 이러한 아지트 공간을 좋아하지 않는다.
셋째, 학교에 숲이 있다는 것만으로도 학생들의 변화로 이어질 가능성은 적지 않다. 학교 숲을 올해에 시작한 학교와 시작한 지 6년 된 학교 사이에는 학생들의 숲에 대한 태도와 관점에 있어 두드러진 차이가 있다.
결론적으로 학교숲은 학생들의 성장과 발달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판단을 뒷받침하는 많은 증거들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교사 인터뷰 결과 이러한 가능성이 현실로 나타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요구에 맞는 다양한 형태의 학교숲 설계와 조성, 준비된 교사들의 적극적인 지도, 교과교육과 연계된 지속적인 활동 프로그램이 필수적이라는 점도 확인되었다.
후속연구
방향에 관하여 확정적으로 말할 수 있는 것은 그다지 많지 않다. 따라서 앞으로 몇 년 혹은 몇 십년에 걸쳐 장기적인 변화를 추적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학생들은 아무래도 동적인 것에 관심이 있는데, 나무와 풀 등 식물적 요소만으로는 학생들의 관심을 끌고 호기심을 자극하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학교숲을 조성하는 과정에서 연못이나 잠자리 비오톱 등을 조성하여 곤충이나 동물들이 서식하거나 찾아올 수 있도록 하면 학생들은 쉽게 유인할 수 있고, 이러한 유인 요소에 의해 숲에 찾아온 아이들은 숲에서 그 밖의 다양한 것들을 관찰하고 발견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
연못, 텃밭, 가축 사육장, 간벌목을 활용한 모험놀이시설 등의 조성에 대해서도 매칭펀드의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금에 대한 사용처의 폭을 넓혀 주어야 한다. 그러나 교사가 학생들로 하여금 숲에서 일어나는 미세한 변화를 관찰할 기회를 주게 되면, 학생들은 나무와 풀이 멈춰 있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변하고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호기심을 갖게 될 수 있다는 점도 동시에 지적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학교숲 효과에 대한 장기적 연구가 필요하다. 학교숲의 효과에 대해서는 10년 혹은 20년 정도에 걸친 장기적인 조사와 연구가 추진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지금부터 이러한 장기적인 연구를 기획하고 예산을 책정하며 연구 방법과 절차 등에 대해 보다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는 방식으로 모니터링을 할 필요가 있다. 특히 새로운 공간 모델을 도입하고 그에 따른 학생들의 동선 변화나 머무는 시간 등을 관찰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 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