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생딸기 주스 제조 환경에서의 미생물학적 오염도 조사
Investigation of the Level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the Environment for Juice Produc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37 no.2 = no.180, 2005년, pp.287 - 293  

김세리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심원보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박선자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하광수 (국립수산과학원 양식환경연구소) ,  윤혜숙 (경상남도 농업기술원) ,  하상도 (중앙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근성 (중앙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규호 (한국외국어대학교 환경학과) ,  김민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김광엽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철호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  정덕화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서부경남 진주지역 생딸기 주스 상점에서 미생물학적 오염도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주스 HACCP 도입을 위한 미생물학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총 75점의 시료를 5곳의 상점으로부터 채취하였으며, 일반세균수, coliforms, 그리고 E. coli와 같은 위생지표세균을 평가하였다. 아울러 E. coli O157:H7, Salmonella spp., Staphylococus aureus and Listeia monocytogenes와 같은 병원성 미생물을 검사하였다. 위생지표세균 검사결과 일반세균수는 $0-5.2\;log_{10}\;CFU/(mL,\;g,\;100cm^{2},\;hand)$. coliform은 $0-2.8\;log_{10}\;CFU/(mL,\;g,\;100cm^{2},\;hand)$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또한 4곳의 상점에서 판매되고 있는 딸기 주스에서 E. coli가 검출되었다. 한편, 병원성 미생물의 경우는 S. aureus가 19% 검출되었으며 특히 가장 빈번하게 검출된 시료는 작업자의 손, 딸기, 딸기 주스였다. 그러나 E. coli O157:H7, Salmonella spp.와 L. monocytogenes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안전한 주스의 생산을 위해서는 모든 생산단계에서 미생물학적 위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HACCP 제도가 도입되어야 하며 주스 HACCP 도입을 위해서는 작업자가 HACCP의 원리를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는 교육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in commercial strawberry juices were examined for sanitary indication bacteria, such as aerobic plate count (APC), coliforms, and Escherchia coli, and pathogenic bacteria such as E. coli O157:H7,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and Listeria monocytogenes. APC a...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서부경남 진주지역 생딸기 주스 상점에서 미생물학적 오염도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주스 HACCP 도입을 위한 미생물학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총 75점의 시료를 5곳의 상점으로부터 채취하였으며, 일반세균수, coliforms, 그리고 E.
  • 따라서 본 연구는 서부경남 지역 딸기 주스 상점 5곳을 선정하여 미생물학적 오염도를 조사하고, 그 평가 결과를 HACCP 제도의 도입에 필요한 미생물학적 정보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Schmidt RH, Sims CA, Parish ME, Pao S, Ismail NA. A model HACCP plan for small-scale, fresh-squeezed (not pasteurized) citrus juice operations. Available from: http://hammock.ifas.ufl.edu. Accessed March, 1997 

  2. Schmidt RH, Sims CA, Parish ME, Pao S, Ismail NA. Fresh juice processing GMPs. Available from: http://hammock.ifas.ufl.edu. Accessed April, 1997 

  3.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publishes final rule to increase safety of fruit and vegetable juices. Available from: http://www.cfsan.Fda.gov/-Ird/hhsiuic4.html. Accessed Jan. 18, 2001 

  4. Kundsen, DM, Yamamoto SA, Harris LJ. Survival of Salmonella spp. and E. coli O157:H7 on fresh and frozen strawberries. J. Food Prot. 64: 1453-1488 (2001) 

  5. Yu. KM, Newman C, Archbold DD, Hamilton-Kemp TR. Survival of Escherichia coli O157:H7 on strawberry fruit and reduction of the pathogen population by chemical agents, J. Food Prot. 64: 1334-1340 (2001) 

  6.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procedures for the safe and sanitary processing and importing of juice. Fed. Regist. 63: 20450-20486 (2001) 

  7. Motajemi Y, Fritz K.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and the increase in food borne disease: a paradox? Food control 10: 325-333 (1998) 

  8. Sveum WH, Moberg LJ, Rude RA, Frank JF. Microbiological monitoring of the food processing environment. 3rd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USA. pp. 51-74 (1992) 

  9. Anonymous. Guidelines for effectiveness testing of surgical hand scrub (glove juice test). Fed. Regist, 43: 1242-1243 (1978) 

  10.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ood cod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pp.75-105 (2002) 

  11. Padhye NV, Doyle MP. Rapid procedure for detecting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O157:H7 in food. Appl. Environ. Microbiol. 57: 2696-3698 (1991) 

  12. AOAC. Official Method of Analysis of AOAC Intl. 17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ommunities, Arlington, VA, USA (2000) 

  13. Kang YJ. Measurement and characteristics of biological aerosols in dairy processing plant envrionment. PhD thesis, University of Georgia, Athens, GA, USA (1989) 

  14. SAS Institute, Inc. SAS User's Guide, Statistical Anaysis System Institute, Washington, DC, USA (2002) 

  15. Harrigan WF, McCance ME. Laboratory method in food and dairy microbiology. Academic Press Inc. Ltd. New York, NY, USA (1976) 

  16. Ha KS, Park SJ, Shim WB, Chung DH. Screening of MRSA (Methicilline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nd seb gene in producing strains isolated from food service environment of elementary schools. J. Fd. Hyg. Safety 18: 79-86 (2003) 

  17. Jeong DK, Lyu ES. The microbiological evaluation of environments and facilities at food service operations in elementary schoo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216-220 (2002) 

  18. Hatakka M, Bjorkoth KJ, Asplund K, Maki-Petays N, Korkeala HJ. Genotypes and enterotoxicity of Staphylococcus au reus isolated from the hands and nasal cavities of flight-catering employees. J. Food Prot. 63: 1487-1491 (2000) 

  19. Inikura Y, Ikejima S, Hirata I, Arai T, Kusunoki K, Jin M, Ohta K. The incidence of Staphylococcus aureus in food handler, and coagulase type and enterotoxin producibility of the isolates. Tokyo Metropolitan Res. Lab. Public Health Annual Rep. 38: 145-149 (1987) 

  20. FDA. Guidance for industry, Guide to minimize microbial food safety hazard for fresh fruits and vegetables. Available from: http://csanJda.gov. Accessed Oct. 26, 1998 

  21. Park SJ, Ha KS, Shim WB, Park MK, Chung DH. Envrionmental microbial assessment of food services at elementary schools in Western Gyeongnam province. J. Fd Hyg. Safety. 18: 14-24 (2003) 

  22. Mukherjee A, Dorinda S, Elizabeth D, Francisco DG. Preharvest evaluation of coliforms, Escherichia coli, Salmonella, and Escherichia coli O157:H7 in organic and conventional produce grown by Minnesota farmers. J. Food Prot. 67: 894-900 (2004) 

  23. Laura DR, Henry PF, Frederick Breidt JR. Bacterial contamination of cucumber fruit through adhesion. J. Food Prot. 65: 1881-1887 (2002) 

  24. Bisbini P, Leoni E, Nanetti A. An outbreak of Salmonella harbor associated with roast rabbit in a restaurant. European J. Epidemiol. 16: 613-618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