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식품재료로 상용되는 식물로부터 분리한 향기추출물의 항산화능 탐색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Volatile Extracts from Plants Commonly Used in Korean Food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37 no.5 = no.183, 2005년, pp.723 - 729  

장혜원 (동국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화정 (동국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광근 (동국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식물체로 한국에서의 식품 재료로 주로 사용되는 미나리, 쑥갓, 참깨가 지닌 향기 성분의 항산화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식물체 식품재료의 향기 성분은 감압하의 증기 증류와 dichloromethane을 용매로한 액체-액체 연속 추출을 이용하여 추출하였고, 추출된 향기 성분의 정성 및 정량 분석과 이들이 지닌 항산화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는 미나리, 쑥갓, 참깨의 고유한 향기 성분을 가진다는 것과 이들의 향기 추출물이 Aldehyde/Carboxylic acid assay와 Lipid MA assay에서 항산화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쑥갓의 향기 추출물은 $500{\mu}g/mL$의 농도에서 두 실험결과에서 모두 50% 이상의 항산화능을 나타냈다. Aldehyde/Carboxylic acid assay에서 $100{\mu}g/mL$의 농도에서 참깨의 향기 추출물이 90%이상의 항산화 효과를 보였고, 쑥갓과 미나리의 향기추출물이 각각 63%, 12%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다. $500{\mu}g/mL$의 농도에서 hexanal 산화 저해 효과는 참깨>쑥갓>미나리의 순으로 나타났다. 쑥갓, 참깨의 향기 추출물은 95% 이상의 항산화 효과를 보였고, 미나리의 향기 추출물은 25%로 가장 작은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이 세 가지 식품소재의 향기성분들은 천연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과 비교하여도 뒤떨어지지 않았다 Lipid MA assay에서는 $100{\mu}g/mL$의 농도에서 MA형성에 대한 저해 효과는 마늘이 $20{\mu}g/mL$의 농도에서처럼 51%로 가장 높았고 미나리와 참깨가 각각 41%, 12%를 나타냈었다. $500{\mu}g/mL$의 농도에서 MA 저해 효과는 쑥갓>미나리>참깨의 순으로, 각각 54, 48, 29%를 나타냈다. 참깨는 20, $100{\mu}g/mL$의 농도에서처럼 가장 작은 효과를 보여줬고, 쑥갓은 50% 이상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다. Aldehyde/Carboxylic acid assay에서는 참깨가 가장 높은 효과를 보여줬지만 Lipid MA asaay에서는 그에 비해 가장 낮은 효과를 나타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olatile compounds of dropwort (Oenanthe javanica DC), crown daisy (Chrysanthemum coronarium L. var. spatiosum), and sesame (Sesamum indicum L.) were isolated by steam distillation under reduced pressure (DRP) and liquid-liquid continuous extraction (LLE). Aroma extracts of the plants were identif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세 가지 국내 식품재료에 함 유된 향기 성분을 정량, 정성 분석하고 그 향기성분의 항산화 능력을 측정했다. 즉, 미나리, 쑥갓, 참깨를 감압하의 증기 증 류와 dichloromethane을 용매로한 액체-액체 연속 추출로 분리 된 향기 성부을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GC/MS) 와 gas chromatography-flame ionization detector(GC-FID)-> 이용하여 정성 및 정량 분석하였고, 향기성분의 항산화능력eAldehyde/Carboxlic acid assay와 Lipid MA(malonaldehyde) assay를 통해서 측정되었다.
  • 식물체로 한국에서의 식품 재료로 주로 사용되는 미나리, 쑥 갓, 참깨가 지닌 향기 성분의 항산화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식물체 식품재료의 향기 성분은 감압하의 증기 증류와 dichlo- romethane을 용매로한 액체-액체 연속 추출을 이용하여 추출하 였고, 추출된 향기 성분의 정성 및 정량 분석과 이들이 지닌 항산화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가설 설정

  • 2)Solvent peak excluded.
  • 3)Values are on dried weight of Chrysanthemum coronarium in ㎍/g.
  • 3)Values are on dried weight of Sesamum indicum in ㎍/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Nakami M. Antioxidant antimutagens In food. Crit. Rev. Food Sci. Nutr. 29: 273-300 (1990) 

  2. Winata A, Lorenz K. Antioxidant potential of 5-N-pentadecylre-sorcinol. J. Food Proc. Preserv. 20: 417-429 (1996) 

  3. Hettiarachchy NS, Glenn KC, Gnanasambandam R, Johnson MG. Natural Antioxidant extract from fenugreek for ground beef patties. J. Food Sci. 61: 516-519 (1996) 

  4. Ford SM, Hook JB, Bond JT. The effects of butylated hydroxyanisol and butylated hydroxy toluene on ranal function in the rat. I. Effects on fluid and electrolyte excretion. Food Cosmet. Toxicol. 18: 15-20 (1980) 

  5. Frankel EN. Antioxidant in lipid foods and their impact on food quality. Food Chem. 57: 51-55 (1996) 

  6. Ka MH, Choi EH, Chun HS, Lee KG. Antioxidant activity of volatile extracts isolated from Angelica tenuissimae Roots, Peppermint leaves, Pine needles, and Sweet flag leaves. J. Agric. Food Chem. 53: 4124-4129 (2005) 

  7. Lee CB. A pictorial book of Korean plant. Hangmunsa, Seoul, Korea. pp. 731, 820 (1983) 

  8. Rhee HJ, Koh MS, Choi OJ. A study on the volatile constituents of the water Dropwort (Oenanthe javanica DC). Korean J. Soc. Food Sci. 11: 386-395 (1995) 

  9. Kang H.J, Lee SH, Kim YC, Song ES, Park MJ, Lee H.S. Antihepatotoxic activity of Chrylsanthemum coronarium L. var. spatiosum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138-143 (2003) 

  10. Urzua A, Mendoza L. Antibacterial activity of fresh flower heads of Chrylsanthemum coronarium. Fitoterapia 74: 606-608 (2003) 

  11. Hirose N, Inoue T, Nishiahra K, Sugano M, Akimoto K, Shimizu S, Yamada H. Inhibition of cholesterol absorption and synthesis in rats by sesamin. J. Lipid Res. 32: 629-638 (1991) 

  12. Ryu SN, Lee EJ, Yoon HS, Kang SS. Chemical structure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lignan component in sesame. Korean J. Crop Sci. 48: 65-71 (2003) 

  13. Namiki M, Kobayashi T. The chemistry and physiological frunctions of sesamine. Food Rev. Int. 11: 281-329 (1995) 

  14. Fukuda Y, Nagata M, Osawa T, Namiki M. Chemical aspects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roasted sesame seed oil, and the effect of using the oil for frying. Agric. Biol. Chem. 50: 857-862 (1986) 

  15. Kovats E. Gas chromatographic characterization of organic substances in the retention index system. Adv. Chromatogr. 1: 229-247 (1965) 

  16. Lee KG, Shibamoto, T. Antioxidant activities of volatile components isolated from Eucalyptus species. J. Sci. Food Agric. 81: 1573-1579 (2001) 

  17. Park BS, Lee KG, Shibamoto T, Lee SE, Takeoka GR. Antioxidant activity and characterization of volatile constituents of Taheebo (Tabebuia impetiginosa Martius ex DC). J. Agric. Food Chem. 51: 295-300 (2003) 

  18. Lee KG, Mitchell AE, Shibamoto T.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properties of aroma extracts from various bean. J. Agric. Food Chem. 48: 4817-4820 (2002) 

  19. Yanagimoto K, Ouchi H, Lee KG, Shibamoto T. Antioxidative activity of fractions obtained from brewed coffee. J. Agric. Food Chem. 52: 592-596 (2004) 

  20. Song GS, Kwon YJ. Analysis of volatile constituents of Oenanthe stolonifera DC. J. Korean Soc. Food Nutr. 19: 311-314 (1990) 

  21. Schieberle P. Odor-active compounds in moderately roasted sesame. Food Chem. 55: 145-152 (1995) 

  22. Chang LE, Yen WJ, Huang SC, Duh PD. Antioxidant activity of sesame coat. Food Chem. 78: 347-354 (2002) 

  23. Lee KG, Shibamoto T.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potential of volatile extract isolated from various herbs and spices. J. Agric. Food Chem. 50: 4947-4952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