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선나무(Abeliophyllum distichum Nakai)의 새로운 자생지 보고 - 경기도 여주시 자생지-
Recently Augmented Natural Habitat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in Yeoju-si, Gyunggi-do,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8 no.1, 2014년, pp.62 - 70  

이호영 (동국대학교 생태계서비스연구소) ,  김태관 (동국대학교 생태계서비스연구소) ,  오충현 (동국대학교 바이오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새롭게 확인된 경기도 여주시 미선나무 자생지를 대상으로 식생현황 및 분포규모와 신규 자생지의 의미를 분석하고 향후의 보전 및 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미선나무는 세계에서 우리나라에만 분포하는 특산식물로 1속 1종만이 존재한다. 그동안 보고된 미선나무 자생지는 충청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중남부 지역에 편중되어 있었으나 여주시 자생지의 발견으로 분포역이 중부지역까지 확장되었다. 대상지는 $37^{\circ}20{\sim}21^{\prime}N$, $137^{\circ}43{\sim}21^{\prime}E$, 해발 99~120m에 위치하고 있으며, 하천을 끼고 있는 산자락 전석지대의 지형적 특징을 보이고 있다. 자생지의 규모는 약 $530m^2$로 좁은 면적이었으며, 자생지 내에 미선나무는 약 1,200여 개체가 분포하고 있다. 출현하고 있는 개체들은 수고 0.5m 이하의 어린 개체가 대부분이었고, 1.0m 이상의 성숙한 개체는 약 300여 개체로 확인되었다. 여주시의 미선나무는 뿌리나 줄기를 이용한 영양번식에 의해 개체군이 유지 및 확산되고 있다. 자생지의 식생은 교목층에서는 리기다소나무와 갈참나무가 우점하고, 아교목층은 생강나무, 갈참나무, 신나무 등이 출현하고 있다. 관목층은 미선나무가 우점하는 가운데 국수나무, 회잎나무, 쥐똥나무 등이 출현하였으며, 초본층은 낮은 식피율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sis the vegetation status, the habitat size and the meaning of new natural habitat,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conservation or management on the newly augmented natural habitat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in Yeoju-si, Gyunggi-do, Korea. A. distichum is a K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본 대상지가 최근 자생지 인근의 골프장 건설 계획에 따른 골프장 진입로에 포함되어 자생지의 존립에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여주시의 새로운 미선나무 자생지에 대한 식생현황 및 분포 규모를 자세히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선나무 자생지는 무엇으로 부터 위협을 받고 있는가? 이번에 새롭게 보고되는 경기도 여주시 미선나무 자생지는 미선나무의 경기도 지역 자생을 확인하는 의미를 가진다. 하지만 본 대상지가 최근 자생지 인근의 골프장 건설 계획에 따른 골프장 진입로에 포함되어 자생지의 존립에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여주시의 새로운 미선나무 자생지에 대한 식생현황 및 분포 규모를 자세히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한국특산식물이란 무엇인가? 특산식물은 식물체의 특성, 종자전파, 기후변화, 지각변동, 격리기작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일정 지역 내에서 제한된 분포양상을 보이는 분류군을 말하며(Kim and Chun, 1991), 식물지리학적으로 한정된 지역에 적응한 진화적 극상의 산물로 그 나라 식물상의 특이성을 설명할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Lee, 1969). 따라서 한국특산식물(Korean Endemic Plants)은 한반도의 자연환경에서 적응․진화해온 세계적으로 한국에만 분포하는 유일하고도 독특한 식물로 우리나라만이 가지고 있는 귀중한 유전자원이다(Kim, 2004). 우리나라의 특산식물은 독일의 탐험가 Schlippenbach(1854)에 의해 처음으로 세계에 알려진 이후 1952년 Nakai에 의해 642종 402변종 72품종으로 총 1,118종류로 보고되었고, 이 분류체계는 한동안 무비판적으로 사용되었으나 너무 세분화하였다는 비판과 함께 현재는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Paik, 1999).
특산식물이란 무엇인가? 특산식물은 식물체의 특성, 종자전파, 기후변화, 지각변동, 격리기작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일정 지역 내에서 제한된 분포양상을 보이는 분류군을 말하며(Kim and Chun, 1991), 식물지리학적으로 한정된 지역에 적응한 진화적 극상의 산물로 그 나라 식물상의 특이성을 설명할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Lee, 1969). 따라서 한국특산식물(Korean Endemic Plants)은 한반도의 자연환경에서 적응․진화해온 세계적으로 한국에만 분포하는 유일하고도 독특한 식물로 우리나라만이 가지고 있는 귀중한 유전자원이다(Kim,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harlesworth, D. and B. Charlesworth(1995) Quantitative genetics in plants: the effect of the breeding system on genetic variability. Evolution 49(5): 911-920. 

  2. Chung, G.Y., M.S. Park, B.M. Nam, K.N. Hong, J. Jang, H.J. Jeong and K.O. Yoo(2010)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Gallasan (Andong-si?Uiseong-gun, Gyeongbuk). Korean J. Plant Res. 23(1): 99-1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2013) www.cha.go.kr 

  4. IUCN(2001) IUCN Red List Categories and Criteria version 3.1. 

  5. Jin, Y.H., J.H. You, H.W. Cho and C.H. Lee(2005) Flower Color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beliophyllum spp.. J. Kor. Flower Res. Soc. 13(2): 83-8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Kang, U., C.S. Chang and Y.S. Kim(2000) Genetic Structure and Conservation Considerations of Rare Endemic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Oleaceae) in Korea. Journal of Plant Research 113: 127-138. 

  7. Kim, D.K. and J.H. Kim(2008) A new natural habitat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Korean J. Pl. Taxon. 38(4): 573-58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im, D.K., K.R. Park and J.H. Kim(2002) A taxonomic study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Oleaceae) based on RAPD analysis. Korean J. Plant Res. 15(1): 26-3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M.Y.(2004) Korean Endemic Plants. Solkwahak, Seoul, pp. 12-13. (in Korean) 

  10. Kim, T.W. and S.H. Chun(1991) A Comprehensive Reexamination of Endemic Woody Plants in Korea. Seoul National Univ. Col. of Agric. Res. 16(2): 1-3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Y.S.(1998) Morph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populations in Korea. Journal of Resource Development 17(1): 67-8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oh, S.H.(2001) Reproductive characteristics of distyly of Forsythia species.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 Seoul, Korea, 56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Lee, T.B.(1983) Endemic plants and their distribution in Korea. Bulletin of the Arboretum Seoul National University 4: 71-113. (in English with Korean abstract) 

  14. Lee, T.B.(2003) Cloured Flora of Korean (II). Hyangmunsa, Seoul, 910pp. (in Korean) 

  15. Lee, W.T. and B.S. Kil(1991) The investigation on natural growth region of Abeliopyllum distichum Nakai. Korean J. Pl. Taxon. 21(1): 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Lee, W.T.(1969) A Discussion on Korean endemic genera Plants. Korean J. Pl. Taxon. 1(2): 15-21. (in Korean) 

  17. Lim, D.O., I.C. Hwang, H.W. Choi and Y.S. Kim(2009)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proposal of Abeliophyllum distichum subpopulations in the Byeonsanbando National Park. Kor. J. Env. Eco. 23(2): 116-12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Lim, D.O., Y.S. Kim and H.C. Lee(2008) The Specific Plant Species and Conservation of the Bukhan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22(2): 138-14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Paik, W.K.(1994) Substance of the Korean Endemic Plants and Investigation of Their Distribution. Bulletin of the KACN 13: 5-8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Paik, W.K.(1999) The status of endemic plants in Korea and our tasks in the 21st century. Korean J. Pl. Taxon. 29(3): 263-27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Park, C.M., S.H. Park, H.K. Oh and M.S. Soh(2010)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method of Abeliophyllum distichum new habitats in the Byeonsanbando.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41(2): 58-6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Shin, H.T., M.H. Yi, Y.S. Kim, B.C. Lee and J.W. Yoon(2010) Recently Augmented Natural Habitats of 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and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in Korea. Korean J. Pl. Taxon. 40(4): 274-27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You, J.H., H.W. Cho, S.G. Jung and C.H. Lee(2004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growth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Abeliophyllum distichum habitats. Kor. J. Env. Eco. 18(2): 210-2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You, J.H., H.W. Cho, S.G. Jung and C.H. Lee(2004b) Vegetation Structure around Abeliophyllum distichum Habitats. Kor. J. Env. Eco. 18(4): 382-39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Yu, T.Y., D.Y. Yeam, Y.J. Kim and S.J. Kim(1976) Studies on Dimorphism and Heterostyly-incompatatibility of Abeliophyllum distichum. Seoul Natl. Univ., Coll. of Agric. Bull. 1(1): 113-1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