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미선나무의 분포변화 예측
Projection of climate change effects on the potential distribution of Abeliophyllum distichum in Korea 원문보기

농업과학연구 = CNU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38 no.2, 2011년, pp.219 - 225  

이상혁 (충남대학교 대학원) ,  최재용 (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  이유미 (국립수목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anges in biota, species distribution range shift and catastrophic climate influence due to recent global warming have been observed during the last century. Since global warming affects various sectors, such as agriculture and vegetation, it is important to predict more accurate impact of future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기후변화가 우리나라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멸종위기종에 포함된 미선나무를 대상으로, 현재의 잠재적인 분포지를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미래 예상분포역으로 모델링하였다. 이를 통해, 기후변화의 취약성을 검토하여 향후 현지내(In-situ) 보전을 위한 보전가능지역을 찾아 서식지 증가, 감소, 보존정도 및 자생지의 이동추이를 살펴 서식지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 수립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 본 연구는 기후변화가 우리나라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멸종위기종에 포함된 미선나무를 대상으로, 현재의 잠재적인 분포지를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미래 예상분포역으로 모델링하였다. 이를 통해, 기후변화의 취약성을 검토하여 향후 현지내(In-situ) 보전을 위한 보전가능지역을 찾아 서식지 증가, 감소, 보존정도 및 자생지의 이동추이를 살펴 서식지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 수립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이 2007년에 발표한 제 4차 평가보고서에서는 지구온난화에 대해 뭐라고 하였는가? 최근 지구온난화에 따른 급격한 기후변화와 이로 인한 자연재해, 환경, 해양, 수산, 농업, 생태계 보고, 상업 등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에 대한 과학적 증거들이 제시되면서 기후변화가 전지구적으로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IPCC; Intergover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이 2007년에 발표한 제 4차 평가 보고서는 “지구온난화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라고 판정하였으며, “1970년 이후 지구적 평가 자료에 의하면 인위적 온난화는 물리적・생물적 시스템에 뚜렷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결론을 내렸다(IPCC, 2007). 기후변화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영향 예측의 목적에 접합한 모형을 선정하고, 기후시나리오를 설계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평가를 실시하게 된다(Ahn 등, 2008).
기후변화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하는가? ”라고 결론을 내렸다(IPCC, 2007). 기후변화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영향 예측의 목적에 접합한 모형을 선정하고, 기후시나리오를 설계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평가를 실시하게 된다(Ahn 등, 2008). 시나리오는 가능한 미래의 상태에 대한 일관성 있는 기술로써(Carter 등, 1994) 기후변화 영향, 적응 및 취약성 평가를 할 때 반드시 필요하다.
미선나무를 대상으로, 현재의 잠재적인 분포지를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미래 예상분포역으로 모델링하는 것은 무엇을 목적으로 하는가? 본 연구는 기후변화가 우리나라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멸종위기종에 포함된 미선나무를 대상으로, 현재의 잠재적인 분포지를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미래 예상분포역으로 모델링하였다. 이를 통해, 기후변화의 취약성을 검토하여 향후 현지내(In-situ) 보전을 위한 보전가능지역을 찾아 서식지 증가, 감소, 보존정도 및 자생지의 이동추이를 살펴 서식지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 수립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hn SR, Lee YJ, Park GA, Kim SJ. 2007. Analysis of Future Land Use and Climate Change Impact.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28(2B): 315-224. [in Korean] 

  2. Collins WD, Bitz CM, Blackmon ML, Bonan GB. 2006. The Community Climate System Model Version 3 (CCSM3). Journal of Climate 19(11): 2122-2143. 

  3. Elith J, Ferrier S, Huettmann F, Leathwick J. 2006. The evaluation strip : A new and robust method for plotting predicted responses from species distribution models. Ecol. Model. 186(3): 280-289. 

  4. Gordon HB, Rotstayn LD, McGregor JL, Dix MR, Kowalczyk EA, O'Farrell SP, waterman LJ, Hirst AC, Wilson SG, Collier MA, Watterson IG, Elliott TI. 2002. The CSIRO MK3 Climate System Model. [Electronic publication]. Aspendale: CSIRO Atmospheric Research. (CSIRO Atmospheric Research technical paper, no. 60). 130 pp. 

  5. Han WJ, Ahn SE. 2007. Climate Change Impact Assessment and Development of Adaptation Strategies in Korea III. KEI (Korea Enviornment Institute) RE-01. pp. 1-2. [in Korean] 

  6. IPCC. 2007. Climate Change: Physical Science Basis. Paris, France. pp. 2-21. 

  7. Johns TC, Durman CF, Banks HT, Roberts MJ, McLaren AJ. 2006. The new Hadley centre climate model HadGEM1: Evaluation of coupled simulations. Journal of climate 19(7): 1327-1353. 

  8. Jungclaus JH, Botzet M, Haak H, Keenlyside N, Luo JJ, Latif M, Marotzke J, Mikolajewics U, Roeckner E. 2005. Ocean circulation and tropical variability in the AOGCM ECHAM5/MPI-OM. Journal of Climate 19(16): 3592-3972. 

  9. Jung HC, Jeon SW, Lee DK. 2002. Impact assessment on the forest systems of the Korean peninsula due to the global warming. J. Korean Env. Res. & Reveg. Tech 5(5): 1-10. 

  10. Kim MY. 2004. Korean Endemic Plants. Solgwahak Publishing, Korea. [in Korean] 

  11. Laster RB. 2008. Plan B 3.0. pp. 103-140. 

  12. Marti O, Braconnot P, Bellier J, Benshila R, Bony, S. 2005. The new IPSL climate system model: IPSL-CM4. Institute Pierre Simon Laplace, technical report. 

  13. Phillips SJ, Dudik M, Schapire RE. 2004. A maximum entropy approach to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In Proceedings of the Twenty-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chine Learning. pp. 655-662. 

  14. Phillips S, Anderson R, Schapire R. 2006. Maximum entropy modeling of species geographic distributions. Ecological Modelling 190: 231-259. 

  15. Phillps SJ, Dudik M. 2008. Modeling of species distributions with Maxent: new extensions and a comprehensive evaluation. Ecography 31(2): 161-175. 

  16. Scinocca JF, McFarlane NA, Lazare M, Li J, Plummer D. 2008. The CCCma third generation AGCM and its extension into the middle atmosphere.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8: 7055-7074. 

  17. Song WK. 2011. Habitat network modeling of Leopard cat (Prionailurus bengalensis) based on the spatial graph theory.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 Seoul, Korea.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