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조류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of Methanolic Extracts from Seaweed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5 no.8, 2006년, pp.1097 - 1101  

김병목 (강릉대학교 해양생명공학부) ,  전준영 (강릉대학교 해양생명공학부) ,  박영범 (강원도립대학 식품가공제과제빵과) ,  정인학 (강릉대학교 해양생명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실험에는 강원도의 대표적인 갈조류로 재래종다시마, 괭생이모자반, 그리고 수심이 비교적 깊은 곳에 식생하는 곰피와 구멍쇠미역, 녹조에 속하는 고리매, 우리나라 국민이 가장 많이 소비하고 있는 해조이면서 홍조류에 속하는 김과 동해안 특산 홍조류이며 지역민들이 즐겨 먹고 있는 지누아리의 해조 7종이 사용되었다. 이 7종의 해조로부터 75% 메탄올로 상온에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용매를 완전히 제거한 후 다시 메탄올에 용해하는 메탄올 가용성 분획(SF)과 메탄올에 녹지 않지만 물에 용해하는 극성이 강한 성질의 불용성 분획(ISF)으로 분리하여 각 분획의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DPPH를 이용한 전자공여능과 hydroxy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여 항산화효과를 분석하였다. 메탄올 가용성 분획은 구멍쇠미역, 고리매, 괭생이모지반이 $26.60{\sim}23.40%$로 높았으며 재래종다시마와 김이 9.26%와 8.66%로 낮았다. 메탄올 불용성이며 수용성 분획은 재래종다시마와 김에서 29.70%와 21.01%로 가장 높았으며 그 외의 해조에서는 지누아리 8.76%, 곰피 6.46%, 고리매 4.87%, 구멍쇠미역 2.05%, 괭생이모자반 1.95%로 아주 낮았다. DPPH를 이용한 전자공여능 평가와 hydroxy radical 소거능 평가에서 메탄올 가용성 분획이 높은 해조, 즉 구멍쇠미역과 괭생이모자반에서 우수한 항산화효과를 보였으며 이와 같은 평가결과는 총페놀 함량이 높은 것과 잘 일치하였다. 갈조류인 곰피는 전자공여능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hydroxy radical 소거능은 나타나지 않았다. 메탄올 추출물에서 재용해하지 않는 메탄올 불용성 분획은 실험에 사용된 7종의 해조 모두에서 총페놀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자공여능과 hydroxy radical 소거능 평가에서 효과를 전혀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해조의 항산화효과는 메탄올에 용해하는 성분이 강한 항산화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효과는 페놀 화합물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seven species of seaweeds (Sargassum horneri, Grateloupia filicina, Kjellmaniella crassifolia, Porphyra tenera, Ecklonia stolonifera, Scytosiphon lomentaria, Agarum cribrosum) from Gangwon coast were collected for antioxidative assays. The methanol soluble and insoluble (water solub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강원도 연안에서 산업적 효용성이 높은 대형 종의 해조를 선정하여 메탄올로 추출하고 그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추출물의 추출량과 연관하여 알아보았으며 이는 해조로부터 항산화력이 있는 추출물을 제조하고자 할 때 유용한 재료를 선정하는데 좋은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가설 설정

  • 2) Values within column with different superscript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Tseng YC, Xiong YL, Webster CD. 2005. The preservation of the quality of the muscle in the frozen Australian red claw crayfish (Cherax quadricarinatus) by prestorage antioxidant dipping treatments. Int J Food Sci Technol 40: 841-848 

  2. Proctor PH, Reynolds ES. 1984. Free radicals and disease in man. Physiol Chem Phys Med NMR 16: 175-195 

  3. Kuo JM, Yeh DB, Pan BS. 1999. Rapid photometric assay evaluating antioxidative activity in edible plant material. J Agric Food Chem 47: 3206-3209 

  4. Ito K, Hori K. 1989. Seaweed chemical composition and potential food uses. Food Rev Intern 5: 101-144 

  5. Yan X, Nagata T, Fan X. 1998. Antioxdative activities in some common seaweeds. Plant Foods for Human Nutrition 52: 253-262 

  6. Wong CK, Ooi VE, Anq PO. 2000. Protective effects of seaweeds against liver injury caused by carbon tetrachloride in rats. Chemosphere 41: 173-176 

  7. Lee KH, Jeong IH, Lee JH. 1984. Effects of muscle extracts of fish and shell-fish on the oxidation of methyl linoleate. J Korean Soc Food Nutr 13: 444-450 

  8. Park JH, Kang KC, Baek SB, Lee YH, Rhee KS. 1991. Separation of antioxidant compounds from edible algae.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256-261 

  9. Heo SJ, Lee KW, Song CB, Jeon YJ. 2003. Antioxidant activity of enzymatic extracts from brown seaweeds. Algae 18: 71-81 

  10. Kim DS, Park YH. 1984. Uronic acid composition, block structure and related properties of alginic acid. Bull Korean Fish Soc 17: 391-397 

  11. Do JR. 1997. Extraction and purification of agar from Gelidium amansii. J Korean Fish Soc 30: 423-427 

  12. Han BH, Bae TJ, Kim BS. 1984. Stability of chlorophyll during processing and storage of salted undaria pinnatifida.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71-77 

  13. Lee KH, Song SH, Jeong IH. 1987. Quality changes of dried lavers during processing and storage. Bull Korean Fish Soc 20: 408-418 

  14. Jung KJ, Jung BM, Kim SB. 2001. Effect of porphyran isolated from laver, Porphyra yezoensis, on lipid metabolism in hyperlipidemic and hypercholesterolemic ra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633-640 

  15. Kim JA, Lee JM. 2004. Changes of 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Hizikia fusiformis (harvey) OKAMURA with blanching time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0: 219-226 

  16. Kim YM, Do JR, In JP, Park JH. 2005.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activities of laver (Porphyra tenera) protein hydrolysates. Korean J Food Nutr 18: 11-18 

  17. Sahoo D. 2000. Farming the Ocean-Seaweed Cultivation and Utilization. Aravali Books Internationa (P) Ltd, New Delhi. p 13 

  18.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 fisheries. 2004. Statistical year book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19.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4. Report on 2002 national nutrition survey by season 

  20. Fujimoto KH, Kaneda OT. 1985. Screening for antioxygenic compounds in marine algae and bromophenols as effective principles in a red algae Polysiphonia ulceolate. Bull Japan Soc Csi Fish 51: 1139-1143 

  21. Ismael, amin, Tan Siew Hong. 2002. Antioxidant activity of selected commercial seaweeds. Mal J Nutr 82: 167-177 

  22. Schmuck A, Fuller CJ, Devaraj S, Jialal I. 1995. Effect of aging on susceptibility of low-density lipoproteins to oxidation. Clin Chem 41: 1628-1632 

  23. Podda M, Grundmann-Kollmann M. 2001. Low molecular weight antioxidants and their role in skin aging. Clin Exp Dermatol 26: 578-582 

  24. Lee J, Koo N, Min DB. 2004. Reactive oxygen species, aging, and antioxidative nutraceuticals. Compr Rev Food Sci Food Safty 3: 21-33 

  25. Kim JA, Lee JM. 2004. The change of biologically functional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Hizikia fusiformis with drying methods. Korean J Food Culture 19: 200-208 

  26. Yoo MY, Kim SK, Yang JY. 2004. Characterization of an antioxidant from sporophyl of Undaria pinnatifida. Kor J Microbiol Biotechnol 32: 307-311 

  27. Park KE, Jang MS, Lim CW, Kim YK, Seo YW, Park HY. 2005. Antioxidant activity on ethanol extract from boiled- water of Hizikia fusifumi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 435-439 

  28. Han HS, Bae SJ, Kim MH. 2004. Effects of Porphyra tenera extracts on formation of collagen cross-link in ovariectomized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324-330 

  29. Jung KJ, Jung BM, Kim SB. 2002. Effect of porphran isolated from laver, Porphyra yezoensis, on liver lipid peroxidation in hyperlipidemic rats and on immunological functions in m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325-329 

  30. Lee JG, Lim YS, Joo DS, Jeong IH. 2002. Effects of diet with sea tangle (Kjellmaniella crassifolia) on calcium absorption, serum composition and feces in rats. J Korean Fish Soc 35: 601-607 

  31. Dewanto V, Xianzhong W, Liu RH. 2002. Processed sweet corn ha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0: 4959-4964 

  32.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33. Halliwell B, Gutteridge JM, Aruoma OI. 1987. The deoxyribose method: a simple 'test tube' assay for determination of rate constants for reactions of hydroxyl radicals. Anal Biochem 165: 215-219 

  34. SPSS V12.0. 2001. SPSS base 12.0 user's guide. p 349-357 

  35. Liu Z, Ma LP, Zhou B, Yang L, Liu ZL. 2000. Antioxidative effects of green tea polyphenols on free radical initiated and photosensitized peroxidation of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Chem Phys Lipids 106: 53-63 

  36. Tedesco I, Russo M, Russo P, Iacomino G, Russo GL, Carraturo A, Faruolo C, Moio L, Palumbo R. 2000. Antioxidant effect of red wine polyphenols on red blood cells. J Nutr Biochem 11: 114-1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