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종교건축 수공간의 현상학적 특성과 의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henomenological Meaning and Characteristic of Water Space in Religious Architecture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14 no.6 = no.53, 2005년, pp.193 - 201  

손광호 (인제대학교 디자인학부) ,  김강섭 (일본공업대학 건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nalyzed and interpreted the phenomenologlc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water space in religious architecture through field studies and phenomenologlcal approaches, focusing on the religious architecture Introducing water space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The phenomenologi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물은 예부터 모든 종교의식의 도구로 이용되어왔으며, 주위 환경과 다양한 관계를 가진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현대건축 가운데 수공 간이 도입된 종교건축을 대상으로, 현장 연구를 통해 종교건축 수공간의 현상학적 특성과 의미를 분석, 해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선행연구 1)의 연장 선상에서 수공 간을 집중적으로 연구한 논문이다. 사례분석은 현상학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며, 현장 중심 2)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 이와 같이 경험된 공간은 즉, 건축공간에 대한 신체적 체험은 선험적 경험이나 상황, 조건, 시간 등에 따라 다르게 지각되므로 연구자의 체험은 자신의 감각적, 주관적, 의식적, 전체적 의식의 파악이고 경험이다. 본 연구에서는 종교건축공간과 수공 간의 상호 관계에 대해 현상학적인 관점에서 접근한다. 현상학적 지각체험 요소(4가지)를 중심으로 주관적 신체와 현상적인 것에 대해 정리한다.
  • 1) 장소- 이 교회의 내부는 쾌적하고 조용하면서도 물속에 있는 듯한 분위기 (underwater effects’。)를 연출한다. 재료의 물 성이 지닌 투명성으로 건물에 강한 메시지를 담고 있으며, 자연에 대한 경험과 함께 종교적 체험으로까지 연결될 수 있도록 의도하였다.8) 또한 내부 수공 간의 수초와 분수, 케이프 케네디 문을 통해 볼 수 있는 외부의 수공 간(분수)은 장소성을 강하게 느끼게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종교건축공간과 수공 간의 상호 관계에 대해 현상학적인 관점에서 접근한다. 현상학적 지각체험 요소(4가지)를 중심으로 주관적 신체와 현상적인 것에 대해 정리한다. 분석의 시점은 현장 조사 당시를 기준으로 하며, 현상학적 분석의 틀은<표 5>와 같다.

가설 설정

  • 1) 공간적 특성- 수공 간은 원형 예배실 외부를 감싸고 있는 형태이다. 수공 간의 폭은 약 2m이며 물의 깊이는 약 40cm 정 도이다.
  • 1) 공간적 특성- 잔디밭과 건물 사이에 직사각형 형태의 수 공간이 있다. 이 넓은 연못 안에는 인근 산에서 운반해온 작은 바위와 야생풀을 담은 박스를 두었다.
  • 1) 장소- 물의 절의 벽 11)은 수공 간과 건축과의 관계를 극대화 시킨다. 즉 차단이면서도 유입이고 인공이면서도 자연이며, 인간의 의지를 거절하면서도 수용하는 이른바 애매한 성격을 보인다.
  • 1) 장소- 성 피터 교회에서 내부 수공 간은 독특한 위치, 움직임이 있는 물이다. 수공 간의 기능은 교회라는 장소 특성에 부합되는 상징적 요소이며, 회중들에게 정숙한 분위기를 느끼게 한다.
  • 2) 맥락- 예배당 전면 유리창은 전체가 열려 직접 자연을 접하게 한다. 회중들은 바람에 나부끼는 나뭇잎 소리와 물소리, 새들의 노래 소리 그리고 빛과 물, 하늘, 공기가 창출하는 다양한 멜로디를 들으면서 하나님이 창조하신 자연을 만끽하며 평화를 느낀다.
  • 2) 상징적 특성- 이 교회의 종탑은 연못의 모서리에 위치하여 채플의 형태와 어우러진다. 이 교회의 물은 존재 자체가 상징성을 가지며, 수공 간에 반사된 종탑으로 인해 연못과 잔디밭을 포함한 대지 전체가 확장된 하나의 건축으로 연결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손광호, 현대건축 수공간의 현상학적 체험과 해석, 경상대학교 박사논문, 2005.8 

  2. 조준호.박상규, 스티븐 홀 건축의 현상학적 접근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논문집 제18권 제2호, 1998.10 

  3. 이승환.이영수, 생태적 특성을 적용한 수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대한 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23권 제1호, 2003.4 

  4. 남상욱.정의용, 건축디자인에 있어 현상학적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논문집 제13권 제1호, 1993.4 

  5. 조준호.박한규, Steven Holl 건축의 현상학적 접근에 관한 연구, 대한 건축학회학술발표논문집 제18권 제2호, 1998.10, p.508 

  6. 김영훈, 안도 타다오의 작품에 나타나는 수공간의 공생적 해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7권 9호 통권 155호, 2001.9 

  7. New World Architects Steven Holl, 건축과 환경, 2001.2 

  8. 곽광수, 물의 이미지, 대한건축회지 36권 2호 통권 165호, 1992.3?? 

  9. 길성호, 수용미학과 현대건축, 시공문화사, 2003 

  10. A+U Philip Johnson& John Burgee, 집문사, 1999.9 

  11. Domus 698, 1980 

  12. Anthony Krafft, AC11(Architecture Contemporaine Contemporary Architecture), internationale annuelle, 19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