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도씨의 항산화능에 대한 원적외선 처리의 효과
Effect of Far-Infrared Irradiation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Grape Seed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4 no.10, 2005년, pp.1619 - 1624  

정석문 (경남대학교 식품생명공학부) ,  김소영 (경남대학교 식품생명공학부) ,  하정욱 (경남대학교 식품생명공학부) ,  이승철 (경남대학교 식품생명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원적외선 조사가 포도씨의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10, 20, 30, 40 그리 고 60분 간격으로 원적외선 조사를 한 후, 각각의 물, 메탄올 그리고 70$\%$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여 총 페놀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여 포도씨의 항산화능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들 측정 결과, 무처리구 각각의 추출물의 총 폐놀 함량 결과 0.95mM, 3.4mM그리고 3.28mM에 비해 원적외선 10분 조사구는 각각 1.84 mM,4.52 rnM 그리고 4.82 mM의 상당히 증가한 값을 나타내었다. 또, 라디칼 소거능의 경우, 무처리구의 추출물 33.87$\%$, 76.55$\%$ 그리고 60.89$\%$에 비해, 원적외선 10분 조사구는 각각 58.55$\%$, 89.41$\%$ 그리고 84.62$\%$를 나타내었다. GC/MS를 이용한 페놀 화합물의 성분 분석에서는 vanillic acid와 3,4-hydroxy benzoic acid 같은 저분자 페놀 화합물이 원적외선 처리에서 새로이 형성됨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원적외선 조사에 의해 포도씨에 존재하는 불활성화된 페놀성 화합물이 유리 활성화됨으로서 포도씨 추출물의 항산화능이 증가하였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 of far-infrared (FIR) irradiation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grape seed (GS) was evaluated. GS (5 g) were placed in Pyrex petri dishes (8.0 cm diameter) md FIR irradiated at 150$^{\circ}C$ for 10, 20, 30, 40 or 60 min with a FIR heater. After FIR irradia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Lee 등(17, 18)은 원적외선 처리로 인하여 왕겨와 땅콩 껍질의 고분자 polyphenol들이 유리 되어 항산화능이 증가되 었다는 결과를 보고한 바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원적외 선 조사가 포도씨 추출물의 총 페 놀함량, DPPH 라디 칼 소거 능 등의 항산화력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항산화 성분의 존재를 확인함으로서 포도씨 추출물의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이광연, 고광출, 이재창, 유영산, 김선규 1985 앞으로의 포도 재배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서울. p 1-7 

  2. Yoo MA, Chung HK, Kang MH. 2004. Evaluati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different cultivar grape seed waste. Food Sci Biotechnol 13: 26-29 

  3. Saito M, Hosoyama H, Ariga T, Kataoka S, Yarnaji N. 1998. Antiulcer activity of grape seed extract and procyanidins. J Auric Food Chem 46: 1460-1464 

  4. Jorge M, Richardo DS, Jacques R, Veronique C, Annie C, Michel M. 1991. Procyanidin dimers and timers from grape seeds. Phytochemistry 30: 1259-1264 

  5. Ricardo da Silva JM, Darmon N, Fenandez Y, Mitjavila S. 1991. Oxygen free radical scavenger capacity in aqueous ?models of deferent procyanidins from grape seeds. J Agric Food Chem 39: 1549-1552 

  6. Ariga T, Koshiyama I, Fukushima D. 1988. Antioxidative properties of procyanidins B-1 and B-3 from azuki beans in aqueous systems. Agric Biol Chem 52: 2717-2722 

  7. Castillo J, Benavente-Garda O, Lorente J, Alcaraz M, Redondo A, Ortuno A, Del Rio J. 2000. Antoxidant activity and radioprotective effect against chromosomal damage induce in vivo by X -rays of flavan-3-ols(procyanidins) from grape seeds (Vitis viniierat: Comparative study versus other phenolic and organic compounds. J Agric Food Chem 48: 1738-1745 

  8. Ariga T. 1999. Antioxidative functions. preventive action toward disease and utilization of proanthocyanidins. J Jpn Oil Chem Soc 48: 1087-1096 

  9. Halliwell B, Gutteridge JMC. 1984. Oxygen toxicity, oxygen radicals, transition metals and disease. J Biochem 219: 1-14 

  10. Ames BN, Saul RL. 1987. Oxidative DNA damage, cancer and aging. Oxygen human disease. Ann Inter Med 107: 536-539 

  11. Buxiang S, Fukuhara M. 1997. Effects of co-administration of butylated hydroxy toluene,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flavonoide on the activation of mutagens and drug-metabolizing enzymes in mice. Toxicology 122: 61-72 

  12. Hirose M, Takesada Y, Tanaka H, Tamano S, Kato T, Shirai T. 1998. Carcinogenicity of antioxidants BHA, caffeic acid, sesamol, 4-methoxyphenol and catechol at low doses, either alone or in combination and modulation of their effects in a rat medium-term multi-organ carcinogensis model. Carcinogenesis 19: 207-212 

  13. Namiki M. 1990. Antioxidants/antimutagens in food. Crit Rev Food Sci Nutr 29: 273-300 

  14. Pokorny J. 1991. Natural antioxidant for food use. Trends Food Sci Technol 9: 223-227 

  15. Jayaprakasha GK, Negi PS, Sikder S, Rao LJ, Sakariah KK. 2000. Antibacterial activity of Citrus reticulata peel extracts. Z Naturforsch 55: 1030-1034 

  16. Inous S, Kabaya M. 1989. Biological activities cause by far-infrared radiation. Int J Biometeorol 33: 145-150 

  17. Lee SC, Kim JH, Jeong SM, Kim DR. 2003. Effect of far-infrared radiation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rice hulls. J Agric Food Chem 51: 4400-4403 

  18. Lee SC, Jeong SM, Kim SY, Park HR, Nam KC, Ahn DU. 2006. Effect of far-infrared radiation and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water extracts from peanut hulls. Food Chem 94: 489-493 

  19. Kim SY, Jeong SM, Park WP, Nam KC, Ahn DU, Lee SC. 2006. Effect of heating conditions of grape seeds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grape seed extracts. Food Chem (in press) 

  20. Gutfinger T. 1981. Polyphenols in olive oils. J Am Oil Chem Soc 58: 966-968 

  21.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2. Du M, Ahn DU. 2002. Simultaneous analysis of tocopherols, cholesterol and phytoterols by gas chromatography. J Food Sci 67: 1696-1700 

  23. SAS Institute. 1995. SAS/STAT User's Guide.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24. Ra KS, Suh HJ, Chung SH, Son JY. 1997. Antioxidant activity of solvent extract from onion skin.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595-600 

  25. Jang JK, Han JY. 2002. The antioxidant ability of grape seed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524-528 

  26. Herrmann K. 1989. Occurrence and content of hydroxy-cinnamic and hydroxybenzoic acid compounds in foods. Crit Rev Food Sci Nutr 28: 315-347 

  27. Hartley RD, Morrison WH, Himmelsbach DS, Borneman NS. 1990. Cross-linking of cell wall phenolics to arabinoxylans in graminaceous plants. Phytochemistry 29: 3701-3709 

  28. Jeong SM, Kim SY, Park HR, Lee SC. 2004. Effect of far-infrared radiation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Citrus unshiu pee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580-1583 

  29. Niwa Y, Kanoh T, Kasama T, Negishi M. 1998. Activ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in natural medicinal products by ?heating, brewing and lipophilization. A new drug delivery system. Drug Exp Clin Res 14: 361-372 

  30. Natella F, Nardini M, Di Felice M, Scaccini C. 1999. Benzoic and cinnamic acid derivatives as antioxidants: Structureactivity relation. J Agric Food Chem 47: 1453-1459 

  31. Laranjinha J, Vieira O, Madeira VMC, Almeida LM. 1995. Two related phenolic antioxidants with opposite effects on vitamin E content in low density lipoproteins oxidized by ferrylmyoglobin: consumption vs regeneration. Arch Biochem Biophys 323: 373-3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