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함기포장과 진공포장이 도축 후 단기 유통 돈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ir and Vacuum Packaging on the Qualities of Pork during the First 4 Days Post Mortem 원문보기

Korean journal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25 no.4, 2005년, pp.415 - 422  

문윤희 (경성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축 후 24시간 냉장한 지육에서 양쪽 등심을 분할하고 한쪽은 진공포장, 나머지 한 쪽은 함기포장하여 $4^{\circ}C$에 냉장하였다. 그리고 냉장 1, 2 및 3일째의 물리화학적 품질을 비교하였다. 냉장 1일(도축 후 2일)째의 함기포장한 육은 진공포장한 육에 비하여 육즙 감량이 적은 반면 보수력과 관능적 조직감 평가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p<0.05).냉장2일째의 함기포장육은 진공포장육에 비하여 육즙 감량이 적고 전단력이 낮은 반면 적색도가 높고, taurine과 alanine 함량이 많으며, 기호도가 우수하게 나타났다(p<0.05).냉장 3일째의 함기포장육은 진공포장육에 비하여 육즙감량이 적고, 저작성 및 전단력이 낮은 반면 VBN 함량 $(12.37\;mg\%)$이 높고 일반 세균수$(2.6\times10^4\;CFU/cm^2)$가 많았으나(p<0.05), 신선도가 유지되고 있었다. 냉장 기간이 같은 경우, 함기포장육의 pH, 지방 산패도, 명도, 황색도, 가열 감량, 경도, 탄력성, 응집성, 뭉침성, 유리 아미노산 함량 및 가열육 향은 진공포장육에 비하여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에 도축 후 유통 기간이 짧은 돈육의 경우 경비 절감을 위하여 진공포장 방법을 재고할 필요가 있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ork loin used in this study was obtained from carcass chilled for 24 hours after slaughter and divided into 2 pare. The first part was air packaged and the other part was vacuum packaged, both of which were chilled at $4^{\circ}C$. After 2 days of slaughter, the qualities of air pack...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포 장 후 3일 정도의 돈육을 포장 개봉하여 소매 판매용인 랩 포장으로 재 포장 후 판매하더 라도 신선도에 있어서는 아무 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도축 후 하 루 동안 냉장한 지육의 등심 을 함기포장과 진공포장하고 냉 장 1, 2 및 3일째의 품질을 비교한 결과로 도축 후 유통 기 간이 짧은 돈육의 포장 방법 선택에 필요한 자료를 제시하 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rewer, M. S., Ikins, W. G., and Harbers, C. A. Z. (1981) TBA values, sensory characteristics, and volatiles in ground pork during long-time frozen storage: Effect of packing. J. Food Sci. 57, 558-563 

  2. Choi, Y. I., Gho, H. G., and Kim, I. S. (1998) A study on the physicochemical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chilled porks. Korean J. Anim. Sci. 40, 59-68 

  3. Choi, Y. S., Cho, S. H., Lee, S. K., Rhee, M. S., and Kim, B. C. (2002) Meat color, Tbars and Vbn changes of vacuum packaged Korean pork loins for export during cold storag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2, 158-163 

  4. Choi, Y. S., Park, B. Y., Lee, S. K., Kim, I. S., and Kim, B. C. (2002) Composi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vacuum packaged Korean pork loins for export during cold storag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2, 151-157 

  5. Egan, A. F. and Grau, F. H. (1981)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he role of brochothrix themosphacta in the spiolage of fresh and processed meat. In 'psychrotophic microorganisms in spoilage and pathogenicity', (ed), Roberts, T. A., Hobb, G., Christian, J. H. R., and Skovgaard, N. Academic Press, London. p. 211 

  6. Gokalp, H. Y., Ockerman, H. W., Plimpton, R. F., and Harper, W. J. (1983) Fatty acids of neutral and phospholipids, rancidity scores and Tba values as influenced by packaging and storage. J. Food Sci. 48, 829-834 

  7. Hofmann, K., Hamm, R., and Bluchel, E. (1982) Neues uber die bestimmung der wasserbindung des fleisches mit hilfe der filterpapierpress methode. Fleischwirtschaft. 62, 87-93 

  8. Jin, S. K., Kim, I. S., and Hah, K. H. (2002) Changes of ph, drip loss and microbes for vacuum packaged exportation pork during cold storag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2, 201-205 

  9. Kim, B. C., Han, C. Y., Joo, S. T., and Lee, S. (1999) Effects of displaying conditions of retail-cuts after vacuum packed storage on pork quality and shelf-life. Korean. J. Anim. Sci. 41, 75-88 

  10. Kim, B. K., Woo, S. C., and Kim, Y. J. (2004a) Effect of mugwort pelleted diet on storage stability of pork loin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4, 121-127 

  11. Kim, I. S., Min, J. S., Lee, S. O., Shin, D. K., Kang, S. N., and Lee, M. (1999) The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quality of domestic and imported chilled pork bellies. Korean. J. Anim. Sci. 41, 317-326 

  12. Kim, I. S., Min, J. S., Lee, S. O., Shin, D. K., Lee, J. I., and Lee, M. (1998a)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domestic vacuum packaged pork loins for export during chilled storage. Korean J. Anim. Sci. 40, 401-412 

  13. Kim, I. S., Min, J. S., Lee, S. O., Shin, D. K., Lee, J. I., and Lee, M. (1998b) Establishment of shelf-life of domestic vacuum packaged pork loins by microbial levels. Korean J. Anim. Sci. 40, 499-506 

  14. Kim, I. S., Min, J. S., Shin, D. K., Lee, S. O., Lee, J. I., and Lee, M. (1998) The quality comparison of domestic and imported chilled pork shoulder in Korean market. Korean J. Anim. Sci. 40, 671-680 

  15. Kim, S. K., Kim, I. S., Song, Y. M., Hur, S. J., Hah, K. H., Kim, H. Y., Lyou, H. J., Ha, J. H., and Kim, B. W. (2004b)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rossbred pigs with carcass grad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4, 246-252 

  16. Kim, Y. B., Rho, J. H., and Lee, N. H. (1996) A study on the shelf-life of vacuum packaged imported chilled pork. Korean J. Anim. Sci. 38, 597-604 

  17. Korean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2) Food Code. Mun-Youngsa, Seoul, pp. 212-251 

  18. Laleye, L. C., Lee, B. H., Simard, R. E., Carmichael, L., and Holley, R. A. (1984) Shelf life of vacuum - or nitrogen - packed pastrami: effect of packing atmospheres, temperature and duration of storage on microflora change. J. Food Sci. 49, 827-831 

  19. Lee, J. R., Joo, Y. K., Shin, W. J., Cho, K. J., Lee, J. W., Lee, J. I., Lee, J. D., and Do, C. H. (2004) Comparison of carcass and pork physical characteristics by market weight and gender of Berkshir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4, 108-114 

  20. Lee, S. K., Ju, M. K., Kim, Y. S., Kang, S. M., and Choi, Y. S. (2005) Quality comparison between Korean native black ground pork and modern genotype ground pork during refrigerated storag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5, 71-77 

  21.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MAF). (2001) Micro-biological inspection method of the meat (MAF Notification No. 2001-6) 

  22. Moon, Y. H. (2004)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alatability of loin from crossbred Jeju black pig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4, 238-245 

  23. Moon, Y. H., Jung, I. C., and Kim, M. S. (1966) Studies on palatability of vacuum, air package and frozen beef tenderloin.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16, 155-159 

  24. SAS (1988) SAS/STAT User's Guide. Release 6.03 edition,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25. Stone, H. and Didel, Z. L. (1985) Sensory evaluation practices. Academic Press Inc., New York, USA, p. 45 

  26. Takahashi, K., Fukazawa, T., and Yasui, T. (1967) Formation of myofibrillar fragments and reversible contraction of sarcomers in chicken pectoral muscle. J. Food Sci. 32, 409-415 

  27. Turner, E. W., Paynter, W. D., Montie, E. J., Basserkt, M. W., Struck, G. M., and Olson, F. C. (1954) Use of 2-thiobarbituric acid reagent to measure rancidity of frozen pork. Food Technol. 8, 326-3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