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러 종류 콩의 일반 및 기능성 성분 분석
Analysis of the General and Functional Components of Various Soybean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8, 2013년, pp.1255 - 1262  

이솔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윤복 ((주)정.식품 연구소) ,  김향숙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검정콩 2호, 대원콩, 선흑콩, 소명콩, 신팔달콩 2호, 진품콩 2호, 태광콩, 푸른콩에 대해 이화학적 특성과 기능성 성분에 대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분함량은 5.50~6.16% 범위였고, 조단백 함량은 40% 내외로 시료 간 큰 차이는 없었다. 조지방 함량은 푸른콩, 대원콩, 소명콩 및 검정콩 2호가 20% 내외로 비교적 높은 편이었고, 진품, 선흑, 신팔달콩 2호, 태광콩는 15% 내외로 비교적 낮은 편이었다. 회분 함량은 4.89~5.86%로 나타내어 품종 간의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탄수화물 함량은 26.20~35.45%로 분포하였다. 무기질의 함량에서 콩나물용 칼슘 함량은 소명콩이 406.36 mg/100 g으로 가장 높았고, 마그네슘 함량은 신팔달 2호가 247.79 mg/100 g으로 가장 높았다. 이에 반해 진품콩은 칼슘이 199.51 mg/100 g으로 가장 낮았고, 선흑콩은 가장 낮은 마그네슘 함량(90.03 mg/100 g)을 나타냈다. 총 이소플라본 함량은 97.54~402.00 mg/100 g으로 품종 간 차이를 보였다. 시료 중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낸 것은 콩나물용 소명콩이었고,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낸 것은 밥밑용 선흑콩이었다. 총 올리고당 함량은 5.84~9.35 mg/100 g이었다. 총 올리고당 중 sucrose의 함량이 약 50% 정도로 나타났다. Raffinose는 0.52~0.81 mg/100 g으로 함량이 나타났고, stachyose의 함량은 2.05~3.45 mg/100 g으로 나타났다. Bracassisterol, campesterol, stigmasterol, ${\beta}$-sitosterol을 분석한 것으로 ${\beta}$-sitosterol이 평균적으로 식물성 sterol의 50%를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 campesterol, stigmasterol 순서였으며 bracassisterol은 소량이 분석되었다. Phytic acid 함량은 신팔달콩 2호와 진품콩 2호가 0.86%, 1.65%로 이를 제외한 시료들은 약 2% 정도를 함유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식이섬유소 함량은 24.20~29.20% 범위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general and functional components of various soybeans, used for producing soy sauce, tofu, bean sprouts, and for cooking with rice. The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fat, and ash content of soybeans were in the ranges of 5.50~6.16%, 38.49~41.08%, 14.89...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검정콩 2호, 대원콩, 선흑콩, 소명콩, 신팔달콩 2호, 진품콩 2호, 태광콩, 푸른콩에 대해 이화학적 특성과 기능성 성분에 대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분함량은 5.
  •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장류 및 두부용, 콩나물용, 밥밑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 콩 품종인 검정콩 2호, 대원콩, 선흑콩, 소명콩, 신팔달콩 2호, 진품콩 2호, 태광콩 및푸른콩에 대해 일반성분과 기능성 성분에 대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콩이 우리 식생활에서 다양하게 이용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콩은 된장, 간장, 청국장, 두부, 순두부, 비지, 콩나물, 콩국, 콩가루, 콩기름, 콩 단백질 등 매우 다양한 형태로 이용되고 있다. 이처럼 콩이 우리 식생활에서 다양하게 이용되는 이유는 단백질과 지방의 공급뿐만 아니라 무기질, 비타민이 풍부하고 특히 콩에는 곡류의 제한 아미노산인 필수아미노산 lysine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또한 콜레스테롤이 없고 포화지방산이 적으며, 경제적 측면에서도 다른 육류 단백질 급원에 비해 값이 싸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1).
콩은 어떤 형태로 이용되고 있는가? 콩은 된장, 간장, 청국장, 두부, 순두부, 비지, 콩나물, 콩국, 콩가루, 콩기름, 콩 단백질 등 매우 다양한 형태로 이용되고 있다. 이처럼 콩이 우리 식생활에서 다양하게 이용되는 이유는 단백질과 지방의 공급뿐만 아니라 무기질, 비타민이 풍부하고 특히 콩에는 곡류의 제한 아미노산인 필수아미노산 lysine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장류 콩에 사용되는 장류용 콩은 어떤 것을 양질 품종으로 취급하는가? 장류 콩은 발효식품으로써 우리나라에 있어서 가장 대표적인 콩 전통 식품 중의 하나이다. 장류용 콩은 단백질 함량이 높아야 하며 알이 굵고 제색이 황색인 것을 양질 품종으로 취급한다. 콩나물은 고려시대 이전부터 우리나라에서 식용하여 온 고유한 전통식품으로 계절에 상관없이 단기간 내에 신선한 채소를 즐길 수 있다는 장점과 채소를 구하기 어려운 동계기 동안 우리에게 부족하기 쉬운 비타민 C의 공급원으로 크게 기여해 온 중요한 콩 식품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im MJ. 2001. Studies on functional compositions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soybeans. MS Thesis. Yong-in University, Yong-in, Korea. 

  2. Coward L, Barnes NC, Setchell KDR, Barness B. 1993. Geistein, daidzein, and their ${\beta}$ -glucoside conjugates: antitumor isoflavones in soybean foods from American and Asian diets. J Agric Food Chem 31: 1961-1967. 

  3. Jung JW. 2004. Effects of soybean protein on bone mineral density and bone mineral content in ovariectomized rats. M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gue, Korea. 

  4. Korea Soybean Museum Foundation Propulsion Committee. 2005. Soybean. Korea University Press, Seoul, Korea. 

  5. Park KY, Lee YH, Kim SD, Hong EH. 2000. Review and future planning for soybean breeding in Korea. Korea Soybean Digest 17: 13-26. 

  6. AOAC. 200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8th ed. The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Ch 45, p 114-118. 

  7. Lee CY, Lee YB, Lee KH, Park MS, Hwang SY, Hong SB, Yoo YC, Yu BY, Kim CH. 2010. Statistical optimization of culture media contained soy proteins and hypocotyl for the growth of Bifidobacterium lactis BL740 and production of soy isoflavone aglycones. J Appl Biol Chem 53: 126-131. 

  8. Black LT, Bagley EB. 1977. Determination of oligosaccharides in soybeans by high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using an internal standard. J Am Oil Chem Soc 55:228-232. 

  9. KFDA. 2010. Health functional food code.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p 236-248. 

  10. Huang LS, Sok DE, Kim HC, Yoon WK, Kim HM, Kim MR. 2006. Phytate determination in various cultivars of Korean rice. J Food Sci Nutr 11: 67-72. 

  11. AOAC. 200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8th ed. The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Ch 991.43. 

  12. Kang SH. 2012. Physicochemic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Meju and Doenjang with soybean in different seeding times.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3. Kim YH. 1999. Chemical composition and hardness of black-colored soybean seed. J Natural Science of Soonchunhyang University 5: 301-306. 

  14. Kim KH. 1992. The growing characteristics and proximate composition of soybean sprouts. Korea Soybean Digest 9:27-30. 

  15. Yoon YJ.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soybean paste (Doenjang) manufacture with various soybean. M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gue, Korea. 

  16. Choi YB, Son HS. 1998. Isoflavone content in Korean fermented and unfermented soybean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754-750. 

  17. Kim MJ, Kim KS. 2005. Functional and chemical composition of Hwanggumkong, Yakong and Huktae.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844-850. 

  18. Wang H, Murphy PA. 1994. Isoflavone content in commercial soybean foods. J Agric Food Chem 42: 1666-1673. 

  19. Choi YB, Kim KS, Lee KH, Son HS. 1995. Development of soy oligosaccharides. Korea Soybean Digest 12: 68-74. 

  20. Kim SL, Moon JK, Yun HT, Park KY, Lee YH, Ryu YH, Ku JH, Kim SD. 2002. Varietal variation of oligosaccharides during germination in soybean. Korean J Breed 34:244-250. 

  21. Kim KH, Kim DM, Lee BY, Kim SH, Cha SK. 1991. Ther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commended soybean varieties in Korea. Korea Soybean Digest 8: 27-43. 

  22. Kim MH, Kim JB, Lee SY, Kim CY, Lee JR, Yoon MS, Gwag JG, Kim TS. 2008. Quantification of tocopherols and phytosterols from the Korean native soybeans germplasm. Korean J Intl Agric 20: 296-300. 

  23. Kim MJ, Song YJ, Kim HR, Lee SR, Sok DE, Kim SN, Kim MR. 2009. Polyphenol and phytate contents and their relationship to antioxidative activity in soybean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 975-980. 

  24. Kim YM, Kim YW. 1998. Changes of enzyme activity, trypsin inhibitor, tannin and phytic acid during heat treatment of soyb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012-1017. 

  25. Nha YA, Yang CB. 1995.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minerals and phytic acid during germination of soybean. J Korean Living Science Research 13: 165-180. 

  26. Kim HS, Yoon JY, Lee SR. 1994. Effect of cooking and processing on the phytate content and protein digestibility of soyb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603-608. 

  27. Seo WK, Kim YA. 1995. Effects of heat treatments on the dietary fiber contents of rice, brown rice, yellow soybean, and black soybean. Korean J Soc Food Sci 11: 20-25. 

  28. Lee KS, Lee SR. 1993. Analysis of dietary fiber content in Korean vegetable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5:225-231. 

  29. Kim CH, Park JS, Sohn HS, Chung CW. 2002. Determinationo of isoflavone, total saponin, dietary fiber, soy oligosaccharides and lecithins from commercial soy products based on the one serving size-Some bioactive compounds from commercialized soy 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96-102. 

  30. Oh SH. 2006.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eomoktae (Rhynchosia nulubilis) prepared with different treatment. M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