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부의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과 안전성우려의 관련 요인
Consumer Perceptions of Food-Related Hazards and Correlates of Degree of Concerns about Food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4 no.1, 2005년, pp.66 - 74  

최정숙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  전혜경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  황대용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  남희정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국의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의 주부 10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전화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식품안전에 대하여 불안을 느끼는 사람이 55.4%, 불안을 느끼지 않는 사람이 34.6%로 식품안전성에 대해 불안을 느끼는 사람의 비율이 1.9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안전에 대한 불안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유아나 초등학생의 자녀여부, 학력, 채소류 구입 장소, 브랜드, 보존료나 착색료 등의 식품첨가물, 원재료의 원산지 등이었다. 불안요인 중 잔류농약은 대상자의 96.0%가, 보존료나 착색료 등 식품첨가물 95.7%, 환경호르몬 93.0%, 식중독균 등 유해 미생물 91.7%, 유전가변형식품은 90.2%가 불안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로는 잔류농약이나 식품첨가물보다 미생물의 발생으로 인한 식품오염으로 나타날 수 있는 식중독의 경우 더욱 치명적일 수 있으므로 이러한 사실을 일반 소비자들에게 인식시킬 필요가 있다. 불안을 느끼는 식품으로, 도시락은 대상자의 93.3%가, 수입 식품은 92.7%, 패스트푸드 89.9%, 햄과 소시지 등 식육가공식품 88.7%, 외식(패스트푸드 이외의 식품) 81.6%, 통조림과 냉동식품 등 가공식품 83.5%, 컵라면 등 인스턴트식품 82.0%, 쌀 47.4%, 식용유 53.8%, 우유 및 유제품은 56.6%가 불안하다고 느꼈다. 식품의 제조(재배) 및 원료(원산지)를 제시해주는 식품표시에 대하여 신뢰하지 못하고 불안을 느끼는 대상자가 많으므로(75.2%) 표시 제도와 인증제도의 적절한 운용을 통해 식품에 관련한 충분한 정보가 소비자들에게 전달될 수 있는 대책이 강구되어야 하겠다. 신선식품(농축산물)구입시 가장 우려되며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사항은 '수입산인지 국내산인지'이었으며 '유통기한', '무농약 및 유기재배 여부', '만질 때 혹은 외관상으로 느껴지는 신선함' 등이 그 다음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공식품 구입시에는 '보존료 및 착색료 등의 식품첨 가물'(93.6%), '유통기한'(92.4%), '원재료가 무농약$.$유기재배인지'(88.8%)에 대하여 염려된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식품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식품생산에서 소비단계까지 개선사항으로 '비료, 농약 살포, 수확시 관리 등 생산단계'(59.6%) 및 '물, 토양, 대기 등 자연환경'(43.6%)의 개선이 중요하다는 견해가 많았다. 위의 결과로 볼 때 식품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식품위생과 안전성, 식품표시에 대한 홍보와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소비자들의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과 신뢰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농장단계에서 오염원을 줄이는 방안이 최종생산물의 검사에 기반을 둔 식품안전정책보다도 안전성 확보에 훨씬 유효하다는 사고방식이 보편화되고 있으므로 농산물 생산단계에 우수농산물관리 제도(good agricultural practices)를 정착시키고, 나아가 사전예방 원칙을 적용한 HACCP 시스템을 도입하여 식품(특히 축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여야 하겠다. 또 food chain 전반에 관한 이력정보의 부족과 정보의 신뢰성이 문제가 되므로 생산단계부터 가공단계, 유통단계, 그리고 판매 단계 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과정을 소비자가 역으로 거슬러 올라가 확인할 수 있는 '이력정보체계 (traceability system)'를 활성화하여야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consumer perceptions of food-related hazard in 500 housewives from all over Korea. The subjects were selected by stratified random sampling method. The survey was perform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through telephone interview by skilled interviewers.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진행되었던 연구는 식품오염에 대한 일부지역 소비 자의 의 식 수준을 조사하는 것 에 치중하여 이루어졌으며 그리고 식품안전에 대한 불안요인을 잔류농 약, 식품첨가물, 유전자변형식품, 환경호르몬, 포장 및 용기 등 일부 측면에만 국한하여 실시하여 왔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체 주부를 모집단으로 하여 식품 안전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위해요인별 인식, 식품 표시정보의 신뢰성, 식품안전 주요 책 임 자, 식 품안전 확보를 위한 중요단계 등에 대한 소비자인식을 알아보고 개인적 인 특성과 인식도와의 관련성을 조사하여 소비자들의 식품안전에 대한 신뢰구축 및 안전농산물 생산정책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NS not significant. *p<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Mossel DAA, Drake DM. 1990. Processing food for safety and reassuring the consumer. Food Technol 44: 63-67 

  2. Lee SR. 1983. The study on food safety. Ewha University press, Seoul 

  3. Chang WS, Heo SW. 1997. The hazard problem of imported agricultural products and som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Kor J Intl Agric 10: 40-49 

  4. Kim HJ, Kim MR. 2003. Consumers' awareness and information needs towards food hygiene (I): Focused on pesticide residues. J Korean Home Econ 41: 15-26 

  5. Kim HJ, Kim MR. 2002. Consumers' awareness and information-seeking behaviors towards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GMO). J Korean Home Econ 40: 73-84 

  6. Bahk KJ, Chun SJ, Park KH, Hong CH, Kim JW. 2003. Survey on the foodborne illness experience and awareness of food safety practice among Korean consumers. J Fd Hyg Safety 18: 139-145 

  7. Han MY, Ahn MS. 1998. A study on the purchase action of processed foods and the recognition for food additives of urban housewives. Korean J Dietary Culture 13: 119-126 

  8. Smith D, Riethmuller P. 1999. Consumer concerns about food safety in Australia and Japan. Int J Soc Econ 26: 724-741 

  9. Kuperis P, Adamowicz W, Veeman M, Hrudey S. 1996. The demand for food safety: An empirical analysis of preferences for pesticide and hormone regulation by Alberta consumers. Staff paper 96-5. Department of Rural Economy, University of Alberta, Canada 

  10. 社?法人 中央調査社. 2002. 食品の安全性と信賴に關する主婦調査. 日本 

  11. Lee GB. 1996. Women consumer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food safety and the factors related to safety concern. MD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12. Sloan AE. 1995. Feeling safe about food safety. Food Technol 49: 29-35 

  13. Choi BS. 1989. Rationalization of government regulation for consumer protection -with a focus on consumer safety-. Hangjungnonchong 28: 179-210 

  14. Bahk GJ, Kim YC, Lee HS, Rho MJ, Cho YH, Lee YH, Lee KM, Roh WS, Yang JH, Kim JS, Lee SP. 1999. A study on attitudes toward food safety issue in Korea-focus on the public official related to food hygiene. J Fd Hyg Sagety 14: 34-44 

  15. 엄영숙. 1996. 도시민들의 식품안전성에 대한 인식. 전북대 산업경제연구소 논문집 27: 291-305 

  16. Han JI, Kim SA. 1998. The recognition level of food contamination with residual pesticides and hazardous heavy metals in Taejon a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3: 454-465 

  17. Han WK, Lee JG. 1991. A study on the consumer recognition of food safety and food additives. Korean J Soc Food Sci 7: 23-34 

  18. Warren VA, Hillers VN, Jennings GE. 1990. Beliefs about food supply safety: A study of cooperative extension clientele. J Am Diet Assoc 90: 713-714 

  19. Lee MS. 1990. The present state of Korean food-pollution and a study of how housewives in Chuncheon think about the food-pollution. MD Dissert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20. Shim EH. 1994.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concerning food contamination and their food related behavior. MD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21. Jolly DA, Schutz HG, Diaz-Knauf KV. 1989. Organic foods: consumer attitudes and use. Food Technol 43: 60-66 

  22. Lee JY. 2003. Secure on food safety and permissible dose range of food additive. Chungangbubhak 5: 35-71 

  23. Wheelock V. 1998. Public perception of food safety. J R Soc Health 108: 130-130 

  24. Lee HY. 1997. A study on consumers' behavior relative to food's safety. MD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5. Jeong YK. 1998. Consumer information needs for development of the consumer information program -focused on Puchon city-. J Korean Home Econ 36: 71-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