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공 여부에 따른 대학생의 유전자재조합식품의 인식, 지식 및 구매 태도에 관한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Genetically Modified Foods Recognition, Knowledge and Purchase Attitude of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Their Major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9 no.1, 2016년, pp.79 - 86  

장재선 (가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nalyze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of food safety education way on the recognition, knowledge and purchase attitude of GMO foods. Data was collected from 270 University students in the Gyeong-gi region throug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lia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기지역 일부 대학생을 대상으로 유전자재조합식품의 인식 수준과 유전자재조합 관련 지식과 구매태도를 조사하였으며, 전공 여부에 따라 유전자재조합식품에 대한 인식, 지식, 구매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전자재조합기술과 이를 이용한 식품에 대한 식품안전교육의 방향 설정에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의약품안전처 통계자료에 따른 세계 유전자 변형 농산물 생산 추이는? 식품의약품안전처 통계자료에 따르면 2009년 미국, 브라질, 아르헨티나, 인도, 캐나다, 중국, 파라과이 등 7개국이 전체 재배면적의 96.5%가 유전자변형 농산물이 재배되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해마다 약 100만여 톤의 콩과 옥수수 등 다소비 농산물을 포함한 유전자변형 농산물을 수입하고 있어, 유전자재조합식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가중되고 있다(Son SJ 2010).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정의한 유전자재조합식품이란? 우리나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유전자재조합식품이란 생물의 유전자 중 유용한 유전자만을 취하여 다른 생물체의 유전자와 결합하여 재배․육성된 안전성 평가를 받은 농․ 축․수산물과 이를 원료로 제조․가공한 식품’으로 정의하고 있으며(KDFA 2007), 반면에 농림축산식품부는 ‘유전자 변형 농산물’이란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MAFRA 2016). 결국, 유전자재조합식품은 유전자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만든 새로운 농, 축, 수산물 중 안전성이 확인되어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유전자재조합식품에 대한 국민의 지식수준과 불안요인을 파악하고 조치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국민들은 식품 안전을 판단하는 부분에 있어 비전문가 이기 때문에 객관적인 사실보다는 직관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어 개별적으로 식품에 대한 경험이나 느낌, 이미지나 관련 지식 등에 의해 인식을 형성하게 된다(You & Yoon 2008). 그리하여 유전자재조합식품에 대한 인식은 위험에 대한 과학적 지식과 개인적 지식이 충분하지 않아 매우 부정적일 가능 성을 가지고 있으며, 보통의 감각으로는 감지할 수도 없기 때문에 위험에 대해 반응하는 심리적 요소가 그 위험의 수용 여부를 좌우한다(Lee GH 2008; Park MH 2008). 그리하여 유전자재조합식품에 대한 국민의 지식수준과 불안요인을 파악 하여 소비자의 불안감을 해소할 정보 제공과 식품안전교육 방안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hoi GE. 2011. Consumers' recgnition and purchase attitude on genetically modified foods. M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 Daejeon, Korea 

  2. Choi JS, Chun HK, Hwang DY, Nam HJ. 2005. Consumer perceptions of food-related hazards and correlates of degree of concerns about food. J Kor Soc Fd Sci Nutr 34:66-74 

  3. Ha JC, Choi SJ, Kwon YT. 2003. Survey of consumer awareness and attitudes regarding genetically modified food in Korea. J Kor Soc Fd Sci Nutr 32:1401-1407 

  4. Huh GO. 2003. The path analysis of consumers' decision-making to purchase GMO foods and request for labelling it. Korean Living Science Association 12:351-362 

  5. Jung EH, Lee EH, Han JH. 2001. Housewife's recognition on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products.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12:29-40 

  6. KDFA. 2007. Practical business affair manual corresponding to GMO food safety control 

  7. Kim HJ, Kim MR. 2001. Comsumer's recognition and information need about GMO in Youngnam region.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1:247-258 

  8. Kim HJ, Kim MR. 2002. An analysis on the factors to distinguish consumers' willingness to purchase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GMO). J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0:83-91 

  9. Kim HJ, Kim MR. 2002. Consumers' awareness and informationseeking behaviors towards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GMO). J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0:73-84 

  10. Kim HS, Kim MJ. 2004. Housesives' basic knowledge, recogniton, and willingness to buy GMO. Korean J Human Ecology 7:113-129. 

  11. Kim MH, Kim JO, Chae GY, Park SR, Kim YS. 2002. Consumer awareness and perception of genetically-modified foods in Korea, 2000-2001. Korean Soc Food Hyg Safety 17:157-165 

  12. Kim MJ. 2001. A study on housewives' attitude and willingness to buy of GM food. Master's Thesis, Sunchon National Univ. Sunchon, Korea 

  13. Kwon SH, Chung IS, Choi MK, Chae KY, Kyung KH. 2008. Changes in Korean consumer's perception and attitudes toward genetically-modified foods. J Fd Hyg Safety 23:182-190 

  14. Lee KH. 2008. Study on the emprical analysis and the implications for the effective food risk communication. Consumer Problem Study 34:104-133 

  15.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6. http://www.mafra.go.kr/search/total Search.jsp 

  16. Moon OP. 2008. Myth and reality of "Food Safety": Korean responses to genetically modified soybeans. Cross Cultural Studies 14:5-41 

  17. Park HY, Kim SW. 2005. A study on consumers' information demand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GMO). J Kor Home Economics Association 43:175-185 

  18. Son SJ. 2010.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GMO labelling. Hanyang Law Review 21:13-31 

  19. Song EG, Yoo HJ. 2008. The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 of perceived risk on food safety consciousness and food safety pursuit between Seoul & Shanghai consumers: Focused on food consumption. Consumer Science Study 19:215-244 

  20. You SH, Yoon HY. 2008. A study of consumer attitude and purchasing behavior toward organic food and genetically modified food. Korean J Agri Management Pol 35:141-16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