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 감귤식초 발효균주 선발
Sensory Characteristics of Citrus Vinegar fermented by Gluconacetobacter hansenii CV1 원문보기

한국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v.21 no.2 = no.86, 2005년, pp.243 - 249  

김미림 (대구한의대학교 식품조리영양학부) ,  최경호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주산 감귤과즙을 이용하여 감귤식초를 제조할 목적으로 식초산 발효균 CV1과 CV2를 분리하고 식초산 생성능력을 산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균주와 비교 검정하고 165 rDNA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동정하였다. 분리균은 8일간의 발효에 의하여 산도 $5.5\%$ 이상의 식초산을 생성하였으며, 감귤식초 발효에는 사과식초나 감식초 발효에 이용되고 있는 균주 보다 더욱 적합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분리한 균주는 Gluconacetobacter hanenii(CV2) 및 G. hanenii의 변이주(CV1)로 동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itrus juice, a concentrate manufactured by the Jeju Provincial Corporation, was converted into vinegar orderly by alcohol and acetate fermentation. The juice with a 6-fold dilution by distilled water was used as the sole nutrient source throughout the experiments. The diluted juice contained 12.96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런 견지에서 제주산 감귤을 이용한 고 부가가치 상품 개발을 위하여 감귤식초 발효에 적합한 균주를 선발할 목적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선발된 균주를 분리ㆍ동정하고 현재 산업적인 감식초 및 사과식초 발효에 이용되고 있는 균주와 발효력을 대비 시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OAC 198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4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pp 431 

  2. Cho JW, Kim IS, Kim MK, Lee YK, Kim SD. 2000. Characteristics of peach vinegar by parallel complex fermentation.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l. 7: 89-93 

  3. Choi KH, Jeong JS, Moon CH, Kim ML. 2004. Effect of carbon source supplement on the gel production from citrus juice by Gluconacetobacer hansenii TL-2C.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1):170-175 

  4. Chung SK, Kim SH, Choi YH, Song EY Kim SH 2001. Status of citrus fruit production and view of utilization in Cheju. Food industry and Nutrition. 5:42-51 

  5. Hwang OS, Park HJ, Chun HK, Chang CM.1990. A study on the manufacturing of vinegar from fallen apples. Res Rept RDA 32:40-47 

  6. Jeong ST, Kim JG, Chang HS, Kim YB, Choi JU. 1996. Optimum condition of acetic acid fermentation for persimmon vinegar preparation and quality evaluation of persimmon vinegar.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 Agri Products. 3:171-179 

  7. Jwa MK, Lim SB, Yang YT, Koh JS. 1996. Effect of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treatment on quality of citrus juice. Korean J. Food Sci Tech. 28: 750-755 

  8. Kim DH, Lee JS. 2000. Vinegar production from subtropical frui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68-75 

  9. Kim YD, Kang SH, Kang SK. 1996. Studies on the acetic acid fermentation using maesil juice. J Korean Soc Food Nut. 25:695-700 

  10. Koh JS, Ko NK, Kang SS. 1989. Citrus-wine making from mandarin orange produced in Cheju island. J Korean Agric Chem Soc. 32(4):416-423 

  11. Lee GD, Jeong YJ, Seo JH. 2001. Optimization of the vinegar fermentation using concentrated apple juice. J Korean Soc Food Nut. 30:460-466 

  12. Nagy S, Attaway JA. 1980. Citrus nutrition and quality. J American Chemical Soc :3-43 

  13. Noel RK, John GH. 1984. Berg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vol 1. Williams & Wilkins. Baltimore/Lnodon. pp 267 

  14. Rhee CO, Shin DH, Yoon lH, Han PJ. 1979. Studies on the processing quality of Korean citrus fruits. J. Korean Agricultural Chemical soc. 22:28-32 

  15. Rhyu MR, Kim EY, Bae IY, Park YK. 2002. Contents of natringin, hesperidin and neohesperidin in premature Korean citrus frui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1): 132-135 

  16. Seo JH, Jeong YJ, Kim JN, Woo CJ, Yoon SR, Kim TH. 2001. Quality comparison of potato vinegars produced by various Acetobacter bacteria. Korean J Food Preser. 8:60 

  17. Yamada Y, Hosino K, Ishikawa T. 1997. The phylogeny of acetic acid bacteria based on the partial sequence of 16S rRNA: The elevation of subgenus Gluconoacetobacter to genetic level. Biosci Biotech Biochem. 61:1244-125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