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 청구명세서 자료를 이용한 제왕절개 분만율 위험도 보정의 효과
Impact of Risk Adjustment with Insurance Claims Data on Cesarean Delivery Rates of Healthcare Organizations in Korea 원문보기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예방의학회지, v.38 no.2, 2005년, pp.132 - 140  

이상일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서경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교실) ,  도영미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평가실) ,  이광수 (을지의과대학교 병원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o propose a risk-adjustment model from insurance claims data, and analyze the changes in cesarean section rates of healthcare organizations after adjusting for risk distribution. Methods: The study sample included delivery claims data from January to September, 2003. A risk-adjustment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기존 문헌검토에서 파악된 산모의 임상적 위험 요인울 이용하여 산모의 위험도 차이를 보정하기 위한 모형울 개발하고, 둘째 이 모형울 이용하여 위험도 보정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 이러한 자료의 특성 때문에 이 연구결과를 우리나라 전체 분만 건에 대하여 일반화하기는 어려올 것이다. 이 연구는 연구 결과의 활용 보다는 행정 자료를 이용한 위 험도 보정 방법론의 개발에 초점울 맞추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제한점 에도 불구하고 나름대로 의미가 있는 연구로 판단된다.
  • 이 연구는 의료기관및 의료인의 분만 형태 선택 행위에 대한 평가를 목적으로 청구명세서 자료를 이용한 위 험도 보정 모델울 개발하는데 목적울 두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상병 및 수가 코드를 이용한 위험도를 보정하였기 때문에 산모의 임상적인 상태와는 무관하게 산모 또는 가족의 요구에 의해 시술된 제왕절개 분만울 보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 또한 로지스틱 회귀 분석울 동하여 파악한 위험요인의 영향력 크기와 모델의 판별력과 타당성도 의무기록울 이용한 기존 연구 결과와 큰차이는 없었다. 이 연구는 의료의 질 평가목적으로 행정 자료를 이용한 기존의 연구와 같이, 우리나라에서도 건강보험 진료비 청구 목적으로 수집된 행정 자료를 이용하여 환자의 임상 정보를 파악하고, 평가에 활용할 수 있음울 시사하고 있다. 앞으로 EDI와 같은 전산 매체가 확산됨에 따라 의료기관의 질 평가에 있어서 청구자료의 유용성 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이 연구에서는 이상과같은 의료기관의 분만 청구 자료 중 다음과 같은 특성울 지니는 자료로 국한하여 분석울 시행하였다. 첫째, 분만 산모의 연령은 1跖) 이상 49세 이하로 국한하여 16세 이하나49세 이상의 연령울 가진 명세서는 분석 에서 제외하였다.
  • 이 연구의 목적은 건강보험 요양급여 명세서 자료를 이용하여 제왕절개 분만율에 영향울 미치는산모의 임상적 위험요인의 차이를 보정할 수 있는 방법론울 개발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기존 문헌검토에서 파악된 산모의 임상적 위험 요인울 이용하여 산모의 위험도 차이를 보정하기 위한 모형울 개발하고, 둘째 이 모형울 이용하여 위험도 보정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제왕절개분만 요양 급여 적정성 평가보고서. 2002: 24 

  2. Lee SI, Khang YH, Lee MS. Women' s attitudes toward mode of delivery in South Korea-A society with high cesarean section rates. Birth 2004; 31(2): 108-116 

  3. Graham WJ, Hundley V, McCheyne AL, Hall MH, Gurney E, Milne J. An investigation of women's involvement in the decision to delivery by caesarean section. Br J Obstet Gynaecol 1999; 106: 213-220 

  4. Wilkinson C, Mcllwaine G, Boultion-Joncs C, Cole S. Is a rising caesarean section rate inevitable? Br J Obstet Gynaecol 1998; 105: 45-52 

  5. Jackson NV, Irvine LM, The influence of maternal request on the elective caesarean section rate. J Obstet Gynaecol 1998; 18: 115-119 

  6. Mould TAJ, Chong S, Spencer JAD, Gallivan S. Women's involvement with the decision preceding their caesarean section and their degree of satisfaction. Br J Obstet Gynaecol 1996; 103: 1074-1077 

  7. Flamm BL. The patient who demands cesarean delivery. In: flamm BL, Quilligan EJ, eds. Cesarean section: Guidelines for appropriate utilization. New York: Springer-Verlag 1995: 207-221 

  8. World Health Organization. Appropriate technology for birth. Lancet 1985: 11: 436-437 

  9. 국민건강보험공단. 2002년 제왕절개분만 실태분석. 2002 

  10. Menacker F, Curtin S. Trends in cesarean birth and vaginal birth after previous cesarean, 1991-99. National Vital Statistics Report. 2001 

  11. Aron DC, Harper DL, Shepardson LB, Rosenthal GE, Impact of risk-adjusting cesarean delivery rates when reporting hospital performance. JAMA 1998; 279: 1968-1972 

  12. Bailit JL, Dooley SL, Peaceman AN. Risk adjustment for interhospital comparison of primary cesarean rates. Obstet Gynecol 1999; 93: 1025-1030 

  13. Elliott JP. Russell MM, Dickason LA. The labor-adjusted cesarean section rate. A more infonuative method than the cesarean section rate for assessing a practitioner' s labor and delivery skill. Am J Obstet Gynecol 1997; 177: 139-143 

  14. Keeler EB, Park RE, Bell RM, Gifford DS, Keesey J. Adjusting cesarean delivery roles for case mix. Health Serv Res 1997; 32(4): 511-528 

  15. Kritchevsky SB, Braun BI, Gross PA, Newcomb CS, Kelleher CA, Simmons BP. Definition and adjustment of cesarean section roles and assessments of hospital performance, Intern J Qual Health Care 1999; 11(4): 283-291 

  16. Lieberman E, Lang JM, Heffner LJ, Cohen A. Assessing the role of case mix in cesarean delivery roles. Obstet Gynecol 1998; 92(1): 1-7 

  17. Lee S, Khang Y, Ha B, Lee M, Kang W, Koo H, Kim C. Inter-hospital comparison of cesarean section rates after risk adjustment. Korean J Prev Med 2001,34(4). 337-346 (Korean) 

  18. Koroukian, SM, Trisel, B, & Rimm, AA. Estimating the proportion of unnecessary cesarean sections in Ohio using birth certificate date. J Clin Epidemiol 1998; 51(12): 1327-1334 

  19. Kozinszky Z, Orvos H, Zoboki T, Katona M, Wayda K, Pal A, Kovacs L. Risk factors for cesarean section of primiparous women aged over 35 Years. Acta Obstet Gynecol Scand, 2002; 81: 313-316 

  20. Rabillout M, Ecochard R, Guilhot J, Toselli A, Mahriez IC, Matillon Y. Study of the Variations of the cesarean sections rate in the Rhone-Alpes region(France): effect of women and maternity service characteristics, Eur J Obstet Gynecol Reprod Biol 1998; 78: 11-17 

  21. A joint project of the pennsylvania health care cost contrastment council(PHC4) and the pennsylvania department of health. c-section deliveries in pennsylvania, 1999. 2002 

  22. Jezzoni LI. Risk adjustment for measuring healthcare outcomes, 2nd ed. Chicago, Illinois: Health Administration Press: 1997, 331-363 

  23. Park H. Assessment of severity adjustment measures for AMl patient, in Korea. J Korean Soc Qual Assur Health Care 2003, 10(2): 164-175 (Korean) 

  24. Iezzoni LI. Assessing quality using administrative data. Ann Intern Med 1997: 127(8): 666-674 

  25. Iezzoni LI. Risk adjustment for measuring healthcare outcomes, 2nd ed. Chicago, lllinois: Health Administration Press: 1997,349 

  26. Iezzoni LI. The Risk of risk adjustment. JAMA 1997;278(19): 1600-16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