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품질성과지표 중심의 건설프로젝트 품질성과관리시스템 개발
Quality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for Construction Projects Using Quality Performance Indicators 원문보기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7 no.3 = no.31, 2006년, pp.76 - 85  

이현수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박문서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송상훈 (서울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품위주의 원가주도형 품질관리가 경영품질을 경쟁우위 요소로 하는 고객지향적 품질경영으로 전환되면서, 제조기업에서는 품질을 경쟁우위 확보의 핵심이자 경영혁신의 최우선 개념으로 간주하고 있다. 그러나 품질향상을 기업 경쟁력의 핵심 요소로 인식하고 있음에도, 여전히 기업 내 품질경영 추진 기반과 실행 프로그램은 전반적으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편 건설프로젝트 수행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일정 또는 원가에 비해 낮은 관리 비중을 지녀왔던 품질을 새롭게 인식하고 이를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으나, 타산업에 비해 건설산업의 품질은 다소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이러한 건설산업 전반의 품질 수준 저하는 명확하지 않은 품질관리 목표에 따라 현장에서 품질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미흡하고, 결과 중심적인 품질관리에 기인한 바가 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품질성과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품질성과지표를 개발하고, 개발된 지표를 중심으로 지속적인 품질의 모니터링이 가능한 체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이러한 품질성과관리를 통해 건설프로젝트 성공의 선행지표를 모니터링함으로써 건설품질을 향상시키고, 궁극적으로는 건설조직의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Quality is the core competence for customer satisfaction in current competitive business environments. The manufacturing companies regard the quality as the success factor in enhancing competitiveness and foremost concept of the management innovation. But in many cases, the basis for the quality m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품질성과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고, 개발된 지표를 중심으로 지속적인 품질의 모니터링이 가능한 체계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또한 각 성과지표의 계획대비 실적을 보여줌으로써 목표달성도를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림 9는 품질성과계획 단계에서 설정된 목표값에 대한 실적을 게이지 챠트로 확인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차원에 따라 목표달성도의 수치 및 시간에 따른 경향을 모니터링하는 화면을 보여준다.
  • 목표관리를 위한 절차를 시행하고 있다. 또한 기간별로 품질 문제의 발생 및 처리 현황과 원인을 분석하는 보고서를 주기적으로 작성한다.
  • 또한 현재의 품질관리는 작업의 결과인 건물과 설치되는 재료 등 건물이라고 하는 제품을 중심으로 시행된다. 또다른 투입자원인 노무와 장비의 경우, 작업 생산성과 품질에 많은 영향을 주지만(Lee, 2004) 품질관리의 범주에 명확하게 포함되지 않는다.
  • 본 연구에서는 시험 및 검사의 결과와 부적합품의 처리를 통해 발생하는 데이터를 조합함으로써 작업과 관련된 품질관리의 결과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전체 시험 및 검사의 수에 대한 통과 시험(검사)수의 비율인 검사통과율, NCR(NonConformance Report, 부적합보고서)과 CAR(Corrective Action Request, 시정조치요구서)의 발생 및 처리 건수 등을 지표로 선정하였다.
  • 품질관리에 기인한 바가 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품질성과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품질 지표를 개발하고, 개발된 지표를 중심으로 지속적인 품질의 모니터링이 가능한 체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이러한 품질 성과관리를 통해 건설프로젝트 성공의 선행지표를 모니터링함으로써 건설품질을 향상시키고, 궁극적으로는 건설조직의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조직의 정보요구사항들이 경영자들의 주요 성공요소에 의해 결정된다는 데 바탕을 두고 있는 주요성공요인(CSF) 접근법11)에 의해 품질지표와 품질성과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였다.
  • 품질성과를 관리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고 지속적인 측정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예비조사로서 본 연구에서는 현행 품질관리 프로세스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현행 품질성과관리체계와 품질과 관련된 조직구성원을 파악할 수 있으며, 실제로 발생하는 데이터를 검토할 수 있다.
  • 품질비용

    품질수익률과 예방비용, 평가비용, 실패비용 등 품질비용 각 항목의 발생현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림 7은 차원에 따라 품질수익률을 모니터링하고, 일정 기간 동안의 경향을 나타내는 화면을 보여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김문한 외, 건설경영공학, 기문당, 1999 

  2. 김세원 등,' 건설업체의 6시그마 적용 성과 분석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6권 4호, 2005, pp.133- 141 

  3. 김연성 외, 품질경영론, 박영사, 2001 

  4. 남명수, 류량도, 성과관리시스템, 한언, 1999 

  5. 배대권, 건설업의 표준매뉴얼과 표준절차서, 기문당, 2000 

  6. 송상훈 외, '활동 중심의 건설프로젝트 품질비용 측정 및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2권 3호, 2006 

  7. 안영진, TQM: 품질경영, 박영사, 2000 

  8. 유일한 외,' 건설산업의 성과지수 개발을 위한 핵심성과지표 -건설기업 대상 KPI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1 권 2호, 2005, pp.139-150 

  9. 한국능률협회컨설팅, 2004 KPQI 조사결과, 한국능률협회컨 설팅, 2004 

  10. Bassioni, H. A. et al., 'Performance Measurement in Construction', Journal of Management in Engineering, Vol.20, No.2, 2004, pp.42-50 

  11. Cheng, E. W. L. et al., 'Establishment of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Construction Partnering', Journal of Management in Engineering, Vol.16, No.2, 2000, pp.44-52 

  12. Cheung, S. O. et al., 'PPMS: a Web-based construction Project Performance Monitoring System', Automation in Construction, 2004, pp.361-376 

  13. Davis, K. et al.,' Measuring Design and Construction Quality Cost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115, No.3, 1989, PP.385-400 

  14. Garvin, A.,' A Note on Quality: The Views of Deming, Juran, and Crosby', Harvard Business Review, 1990 

  15. Lee, H. S. et al., 'Impact of Labor Factors on Workflow',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130, No.6, 2004, pp.918-923 

  16. Kubal, M. T., Engineered Quality in Construction: Partnering and TQM, McGraw-Hill, 1994 

  17. Ledbetter, W. B.,' Quality Performance on Successful Project',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120, No.1, 1994, pp.34-46 

  18. Love, P. E. D. et al., ' A Project Management Quality Cost Information System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Information and Management, 40(2003), pp.649-661 

  19. Pande, P. S. et al., The Six Sigma Way, McGraw-Hill, 2001 

  20. Pheng, L. S. and Hui, M. S., 'Implementing and Applying Six Sigma in Constructio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130, No.4, 2004, pp.482-489 

  21. Rose, K., 'A Performance Measurement Model', Quality Progress, Vol.28, No.2, pp.63-66 

  22. Stevens, J. D., 'Blueprint for Measuring Project Quality', Journal of Management in Engineering, Vol.12, No.2, 1996, pp.34-3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