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설공사 품질관리 적정성 확인 점검 결과를 통한 건설 품질관리 개선방안
Improvement of Construction Quality Management through Analyzing Construction Work's Quality Inspection Results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7 no.1, 2016년, pp.110 - 118  

정상기 (한국건설품질진흥원) ,  박정은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과) ,  차용운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과) ,  한상원 ,  현창택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과)

초록

최근 국내 건설 산업은 높은 경제성장률과 신기술 도입 등으로 인하여 대형화, 초고층화, 첨단화가 되어가고 있으며, 건설 품질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과 요구 수준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는 과거의 양적인 성장위주에서 벗어나 시장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한층 더 체계적이고 수준 높은 품질관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정부는 이러한 시대적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건설공사의 시공 및 사용재료에 대한 적정성 여부와 부실시공 방지 등 품질확보를 위한 점검을 강화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점검 강화에도 불구하고 품질관리에 대한 인식 부족 및 형식적인 품질관리 운영 등으로 인하여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으며, 품질관리 점검 시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지적사항이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반복적인 지적사항을 줄이고, 부적절한 품질관리와 부실시공을 방지하기 위해 서울시 품질시험소에서 2012년 3월부터 2014년 10월까지 393개 건설현장의 품질관리 적정성 확인 점검을 통해 도출한 지적사항 3,443건을 심층 분석하여 실효성 있는 현장 품질관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현장 품질관리의 개선방안을 통해 부적절한 품질관리와 부실시공의 방지,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지적사항의 감소, 현장의 품질관리 업무향상과 같은 개선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struction projects are getting more complex and larger-sized with a high economic growth rate and development of new construction technologies. In addition, interests and demands on standards of construction quality are further increasing. This trend requires more systematic and a higher level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반복적인 지적사항을 줄이고 부적절한 품질관리와 부실시공을 방지하기 위하여 품질관리 적정성 확인 점검 결과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여 실효성 있는 현장 품질관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반복적인 지적사항을 줄이고, 부적절한 품질관리와 부실시공을 방지하기 위하여, 품질관리 적정성 확인 점검 결과에 대한 현황분석을 통해 현장 품질관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높아지는 건설품질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과 요구 수준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또한 자유개방에 따른 국제 경쟁체제를 맞이하면서 사용자의 의식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건설품질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과 요구 수준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건설교통부 2004). 이러한 변화는 과거의 공기단축이나 사업비 절감 등 양적인 성장위주에서 고품질의 구조물 완성을 요구하는 질적인 성장으로 변화되어 가고 있음을 보여준다(방형윤 2004). 이로 인해 건설프로젝트의 품질관리를 통한 고품질 확보는 해당 건설사의 최우선 목표 과제로 규정되고 있다.
건설공사의 특징은 무엇인가? 건설산업에 있어 품질의 정의는 동일한 제품을 반복적으로 생산하는 제조업과 많은 차이가 있다. 건설공사는 주문(계약)에 의해 발주자가 원하는 시설물을 만들며 공정 하나하나가 반복적인 공정이 상대적으로 적고 공사과정에 여러 주체(설계사, 협력사, 자재공급사 등)가 관련되어 있으며, 각 공종마다 책임소재가 불분명한 근로자들에 의해 공사가 수행되는 독특한 특징이 있다(박윤철 2008). 따라서 건설공사에서 여러 가지 조건과 특성을 고려하여 품질을 정의하면 '고객, 조직 및 기타 이해관계자가 명시적, 묵시적, 의무적으로 요구 또는 기대1)하는 특성을 얼마나 충족 시키는가'로 정의할 수 있다.
품질결함을 유발하는 원인에는 어떤것들이 있는가? 2009, 지성준 외 2015). 품질결함을 유발하는 다양한 원인들이 있으나, 그 중에서도 명확하지 않은 품질관리 목표, 현장에서의 품질관리 중요성에 대한 인식 미흡으로 인한 결과중심적인 품질관리에 기인한 바가 크다고 볼 수 있다(송상훈 외 2006). 따라서 건물의 성능저하 예방과 공사비 증가, 공사기간 지연 등을 줄이기 위해서는 품질결함이 발생하기 전에 이에 대한 원인을 조기에 발견하고 제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Bae, D. G., Kim, K., and Kim, J., (2005). "A Cluster Analysis of the Audit Result on Quality Management System in Architectural Design and Engineering Firms",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6(2), pp. 120-128. 

  2. Bae, D. G., (2007). "Improving Quality by Managing ISO 9000 Audit Nonconformity in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Ph. D. Dissertation, Hanyang Univ. 

  3. Choi, B. J., Park, J. M., Choi, S. W., and Choi, H., (2007). "The Improvement Plan of Quality and Organization Management through the Survey of Actual Condition in Construction Work,"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AIK, 8(1), pp. 689-694. 

  4. Choi, D. S., (2002). "The Quality Management System of the Road Construction Project : the Problems and Recommendations," MS thesis, Chung-Ang Univ. 

  5. Construction Econom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CERIK), (2004). A Study on Outsourcing of Quality Inspection/Testing Activities in Construction Works,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6. Jeon, B. H., (2005). "A Study on the Regulation Improvements for the Efficiency of Quality Control in Construction," MS Thesis, Chung-Ang Univ. 

  7. Ji, S., Cha, Y., and Han, S., (2015). "A Correlation Analysis of Influence Factors of Nonconformity in Construction Projects,"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6(2), pp. 21-28. 

  8. Kang, H. J., (2007). "A Study on the Practical Applications Improvements of Quality Management System," MS Thesis, Inha University. 

  9. Kang, H. K. (2004). "A Study on Improving Human Resource Operation of Quality Management System in Apartment-House Projects," MS Thesis, University of Seoul. 

  10. Kim, D. K. (2013). "The Study on Improving Methods of ITP(Inspection and Test Plan) to Enhance the Connectivity on the Quality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Construction Project," MS Thesis, Chung-Ang Univ. 

  11. Lee, J. Y. (2008).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Quality Cost Elements in Construction," Ph. D. Dissertation, Dong-A Univ. 

  12. Park, H. Y. (2010). "A Study on the Improved Quality Management System for Quality Assurance on Construction Site," M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 

  13. Park, Y. C. (2008). "A Study on the Scheme Activating Construction Qual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ISO 9000s," MS Thesis, Chung-Ang Univ.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