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배양식에 따른 벼 줄무늬잎마름병 전염원인 애멸구의 밀도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nsity of the Small Brown Planthopper and the Rice Stripe Virus Disease in Rice Cultivation System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19 no.4, 2006년, pp.488 - 490  

이두구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심형권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박종철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최만영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강미형 (전북농업기술원 남원고냉지화훼시험장) ,  김재덕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박진우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  노태환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보리 재배면적 증가로 인하여 월동한 애멸구 밀도증가가 벼 줄무늬잎마름병의 대면적 발생 위험이 상존하고 있다. 특히 호남지역은 보리재배 논과 1모작 이앙 또는 직파재배 논이 혼재하고 있어 보리 수확과 동시에 보독충인 애멸구는 벼가 자라고 있는 논으로 대규모 이동하여 병 발생을 조장하고 있다. 재배양식에 따른 줄무늬잎마름병 발생양상은 1모작 이앙과 담수직파 재배에서 병발생이 각각 2.5, 2.4%로 이모작 이앙 1.3%보다 높았다. 보리재배 논과의 2m 이내의 거리에서 보리 수확 3일전 애멸구 밀도는 5마리에서 수확 3일후 63마리로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보리재배 논과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서 애멸구 밀도는 크게 감소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double cropping fields, there has been a risk of increase rice stripe viral disease outbreaking as the vector, small brown planthopper that overwinter in barley fields increases. Especially rice cultivation in Honam region has two types of cropping system such as rice only cropping in a season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있는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남부지방에서는 보리 재배면적 증가, 애멸구 월동충 밀도 및 경란전염에 의한 애멸구의 보독충율증가로 인해 병 발생이 대면적화할위험 상존하고 있어, 애멸구의 발생분 S, 생태, 진단기술, 매개충 발생소장을 구명하여 예찰 및 방제 대책을 수립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mano, E. 1937. Relation of rice stripe with several gramineous plants. Journal of Plant Protection, Japan 24: 774-780 

  2. Chung B. J. 1974. Studies on the occurrence, host range, transmission, and control of rice stripe disease in Korea. Korea Journal of Plant protection 13(4): 181-204 

  3. Chung K. Y., R. K. Park, K. S. Chung, S. K. Lee, B. T. Jun and Y. D. Jin. 1975. A Newly developed high yielding rice variety 'Milyang 15'. Research Report ORD 17(Crop): 17-24 

  4. Fukushi, T. 1933. Transmission of virus through the eggs of an insect vector. Proc. Imp. Acad. 9: 457-460 

  5. Fukushi, T. 1935. Multiplication of virus in its insect vector. Proceedings of the Imperial Academy of Japan 11: 301-303 

  6. Fukushi, T. 1939. Retention of virus by ist insect vector through several generations. Proceedings of the Imperial Academy of Japan 15: 142-145 

  7. Kim D. S., J. I. Cho, J. K. Kimand K. J. Kim. 1969. Studies on the rice stripe disease in the middle and southern part of Korea I. Varietal resistance of stripe disease. Research Report ORD. 12: 35-41 

  8. Kim D. K. 1985. Effect of transplanting dates on the occurrence of rice stripe and black-streaked dwarf virus disease in Yeongnam district. Korean Journal Plant Pathology 1(2):109-114 

  9. Kisimoto, R. 1969. Ecology of insect vectors. forecasting. And chemical control. In the virus diseases of the rice plant, 243-255. Baltimore, Maryland, Johns Hopkins Press 

  10. Kitani, K. and A. Kiso. 1966. Studies on rice stripe virus disease. IV. Effect of blasticidin-S on the transmitting ability of infective small brown planthopper, Laodelphax striatellus Fallen, transmitting the rice stripe virus. Annals of the Phytopathological Society of Japan 32, 89 

  11. Kuribayashi, K. 1931. On the relation between rice stripe disease and Delphacodes striatellus Fallen. Journal of Plant Protection, Japan 18: 565-640 

  12. Nasu, S. 1969. Vectors of rice viruses in Asia. In the virus disease of the rice plant. Baltimore, Maryland; Johns Hopkins Press. pp. 93-109 

  13. Okuyama, S. K. Yora and H. Asuyama. 1968. Multiplication of the rice stripe virus in its insect vector, Laodelphax striatellus Fallen. Annals of the Phytopathological Society of Japan 34: 255-262 

  14. Park R. K., Y. T. Jung, Y. D. Jin, D. K. Kim and D. H. Lee. 1982. Studies on the occurrence status of rice virus diseases in Yeeongnam area. Research Report ORD 24(Crop): 98-106 

  15. Park S. H., H. T. Shin, B. G. Yang,Y. K. Choi , J. E. Choi, J. G. Lee, S. Y. Cho, N. P. Park and Y. H. Shin. 1982. New high yielding rice variety 'Dongjinbyeo'. Research Report ORD 24(Crop):57-63 

  16. Shinkai, A. 1962. Studies on insect transmission of rice virus diseases in Japan. Bulletin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Tokyo, C 14: 1-112 

  17. Sugiyama, M. 1966. Studies on methods of forecasting rice stripe disease. I. Kinds of indicator plants. Annals of the Phytopathological Society of Japan. 32: 83 

  18. 鄭鳳朝. 1973. 벼 바이러스의病의 發生現況과 防除對策. 韓國植物保護學會誌. 12(4): 157-168 

  19. 野賴久義. 1940. 稻縞葉枯病の發生に就て朝農報14 (10)23-26 

  20. 신서균, 권순국. 1971. 줄무늬잎마름병에대항품종및이식기별발병소장. 충남농촌진흥원 시험연구보고서. pp. 276-2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