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갈파래(Ulva lactuca) 추출분획의 암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 및 면역활성 효과를 조사하였다. 갈파래의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분획물의 제조는 hexane, ethyl ether, methanol, butanol, $H_2O$의 용매를 이용하여 행하였다. 인간 백혈암세포주(U937), 생쥐 신경아종세포주(NB41A3), 인체간암세포주(HepG2),큰지 신경교세포주(C6) 등에 대한 갈파래 분획물의 세포독성을 측정하였다. 갈파래의 Ethyl ether 층은 4종류의 세포 모두에서 가장 높은 세포독성을 나타냈다. 또한 수층 역시 비교적 높은 세포독성을 나타냈다. 4종류의 세포 모두에서 농도의존적 경향을 나타냈다. 갈파래 분획물의 큰쥐 대식세포주(RAW 264.7)에 대한 면역활성 효과도 조사하였다. 갈파래 추출물의 5가지 분획물 모두에서 농도의존적으로 NO 생산을 활성화시켰다. 이러한 결과들로 잔파래가 항암 덴 면역활성을 나타내는 천연 소재개발에 있어 유용한 후보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xtracted fractions of the green seaweed Ulva lactuca were studied to verify the cytotoxicity and immunostimulating activity. The fractions from the ethanol extract of U. lactuca were prepared by the systematic extraction procedure with solvents such as hexane, ethyl ether, methanol, butanol and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갈파래(Ulva lactuca) 추출분획의 암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 및 면역활성 효과를 조사하였다. 갈파래의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분획물의 제조는 hexane, ethyl ether, methanol, butanol, HQ의 용매를 이용하여 행하였다.
  • 4종류의 세포 모두에서 농도의존적 경향을 나타냈다. 갈파래 분획물의 큰쥐 대식세포주(RAW264.7)에 대한 면역활성 효과도 조사하였다. 갈파래 추출물의 5가지 분획물 모두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NO 생산을 활성화시켰다.
  • 본 연구는 갈파래의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용매별 분획을 행하여 얻은 각각의 분획물들의 생리활성을 연구하기 위해 다양한 암세포주들에 대한 세포독성 및 면역활성을 검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Azuine, M. A., U. C. Goswami and J. J. Katal. 1992 Antimutagenic and anticarcinogenic effects of carotenoids and dietary palm oil. Nutr. Cancer 17, 287-295 

  2. Bin, J.-H., H. -D. Kim and B.-H. Ryu. 1996. Anticomplementary activities of rhamman sulfate extrated from Monastraomsa nitidum. Kor. J. food & Nutr. 4, 490-495 

  3. Carmichael, J., W. G. De Graff, A. F. Gazder, J. D. Minna and J. B. Mitchell. 1987. Evalution of a tetrazolium based semiautomated colorimetric assay : assessment of chemosensitivity testing. Cancer Res. 47, 936-942 

  4. Choe, M. 1991. Dietary fats and cancer. J. Kor. Soc. Food Nutr. 20, 513-518 

  5. Drageted, L. O., M. Strube and J. C. Larsen. 1993. Cancer-protective factor in fruit and vegetable: biochemical and biological background, Pharmacol. Toxicol. 72, 116-135 

  6. Hiqashi-Okaj, K., S. Otani and Y. Okai. 1999. Potent suppressive effect of a Japanese edible seaweed, Enteromorpha prolifera (Sujiao-nori) on initiation and promotion phases of chemically induced mouse skin tumorigenesis. Cancer Lett. 140, 21-25 

  7. Ito, H. and M. Sugimura. 1976. Antiumor polysaccharide fraction from Sargassume thunbergii. Chem. Pharm. Bull. 24, 114-115 

  8. Kim, J. H., B. S. Choi, Kim, J. J. Kim, K. M. Kim, N. C. Yoo, J. H. Choi, H. Y. Lim, J. K. Roh, K S. Lee and B. S. Kim. 1993. Effects of verapamil, tamoxifen and cyclosporin A for the modulation of multidrug resistance in human lung cancer cell lines. J. Kor. Cancer Assoc. 25, 225-230 

  9. Michael, C. A., A. S. Dominic and M. Anue. 1988. Feasibility of drug screening with panels of human tumor cell lines using a microculture tetrazolium assay. Cancer Res. 48, 589-595 

  10. Newmark, H. L. 1996. Plant phenolics as potential cancer prevention agents, Adv. Exp. Med. Biol. 401, 25-34 

  11. Ryu, B. H., B. H. Choi, D. S. Kim and M. S. Ha. 1986. Desmutagenic effects of extract obtained from seaweeds. Bull. Kor. Fish. Soc. 19, 502-508 

  12. Steinmetz, K. A. and J. D. Potter. 1991. Vegetable, fruit and cancer II mechanism. Cancer Causes Aontril. 2, 427-442 

  13. Yoo, J. S., B. S. Cheun and N.-G. Kim. 2001. Determination of $Na^+$ channel blocker in seaweeds. Kor. J. Environ. Biol. 19, 107-112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