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파래는 해양성 조류 중 녹조류의 일종으로 해양성 조류의 생리활성물질로 알려진 다당체인 푸코이단을 함유하고 있다. 갈파래로부터 추출된 푸코이단의 간 독성 보호효과를 검토하기 위해서 흰쥐를 사용하여 갈파래 푸코이단 추출물 (ULF)을 14일간 매일 1회 복강 내로 선 투여하고 15일째 되는 날에 $CCI_4$를 후투여한 후에 혈액 및 간 조직에서의 지질의 평가와 효소 활성의 변동을 통해 간 독성의 보호효과를 관찰하였다. GOT의 경우 정상군에 비해 대조군에서 $CCI_4$의 간 장애 유발로 인해 효소 활성이 약 3.3 배 증가하였고 시료군인 ULF군은 대조군과 비교 하였을 때 29.8% 감소하여 갈파래 푸코이단 추출물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GPT의 경우에도 $CCI_4$를 투여한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해 약 3.7배 정도 증가하여 간 장애 유발이 확인되었고 ULF은 대조군에 비해 48.15%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갈파래 푸코이단 추출물의 효소 활성 감소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CCI_4$로 간 손상이 초래된 대조군은 MDA 양이 정상군보다 약 2.97배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ULF군은 대조군에 비해 37.64%의 감소율을 보여 갈파래 푸코이단 추출물의 지질과산화 감소효과를 화인할 수 있었다. SOD 활성 정도는 대조군의 효소활성이 정상군에 비해서 1.38배 정도로 낮게 나타났고 ULF군은 대조군에 비해 343%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CAT는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해 약 1.7배 감소하였으며 ULF군은 대조군 보다 30.2% 높게 나타났다. GPx의 경우 대조군은 정상군에 비해 약 3.5배의 감소율을 보였고 ULF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34.43%의 증가율을 보여 효과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측정 결과는 갈파래 추출 푸코이단이 간 독성을 예방하는 보호효과가 있음을 보여 주었다.
갈파래는 해양성 조류 중 녹조류의 일종으로 해양성 조류의 생리활성물질로 알려진 다당체인 푸코이단을 함유하고 있다. 갈파래로부터 추출된 푸코이단의 간 독성 보호효과를 검토하기 위해서 흰쥐를 사용하여 갈파래 푸코이단 추출물 (ULF)을 14일간 매일 1회 복강 내로 선 투여하고 15일째 되는 날에 $CCI_4$를 후투여한 후에 혈액 및 간 조직에서의 지질의 평가와 효소 활성의 변동을 통해 간 독성의 보호효과를 관찰하였다. GOT의 경우 정상군에 비해 대조군에서 $CCI_4$의 간 장애 유발로 인해 효소 활성이 약 3.3 배 증가하였고 시료군인 ULF군은 대조군과 비교 하였을 때 29.8% 감소하여 갈파래 푸코이단 추출물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GPT의 경우에도 $CCI_4$를 투여한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해 약 3.7배 정도 증가하여 간 장애 유발이 확인되었고 ULF은 대조군에 비해 48.15%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갈파래 푸코이단 추출물의 효소 활성 감소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CCI_4$로 간 손상이 초래된 대조군은 MDA 양이 정상군보다 약 2.97배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ULF군은 대조군에 비해 37.64%의 감소율을 보여 갈파래 푸코이단 추출물의 지질과산화 감소효과를 화인할 수 있었다. SOD 활성 정도는 대조군의 효소활성이 정상군에 비해서 1.38배 정도로 낮게 나타났고 ULF군은 대조군에 비해 343%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CAT는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해 약 1.7배 감소하였으며 ULF군은 대조군 보다 30.2% 높게 나타났다. GPx의 경우 대조군은 정상군에 비해 약 3.5배의 감소율을 보였고 ULF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34.43%의 증가율을 보여 효과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측정 결과는 갈파래 추출 푸코이단이 간 독성을 예방하는 보호효과가 있음을 보여 주었다.
The effects of Fucoidan extracted from Ulva lactuca on carbon tetrachloride ($CCI_4$)-induced dysfunction in $CCI_4$-posttreated rats were investigated. Ulva lactuca fucoidan (ULF) of 100 mg/kg concentration was intraperitoneally administered into rats at dose of 1 ml/kg for 14...
The effects of Fucoidan extracted from Ulva lactuca on carbon tetrachloride ($CCI_4$)-induced dysfunction in $CCI_4$-posttreated rats were investigated. Ulva lactuca fucoidan (ULF) of 100 mg/kg concentration was intraperitoneally administered into rats at dose of 1 ml/kg for 14 days. On the day 15, 3.3 ml/kg of $CCI_4$ dissolved in olive oil (1 : 1) was injected 12 hours before anesthetization. We examined the levels of glutamate oxaloacetate transaminase (GOT),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GPT) in serum of rats, superoxide dismutase (SOD) in mitochondrial fraction and catalase (CAT), glutathione peroxidase (GPx), malondialdehyde (MDA) in liver of rats. SOD, CAT, GPx decreased, and GOT, GPT, MDA increased in the $CCI_4$-treated group. But SOD, CAT, GPx increased, and GOP, GPT, MDA decreased in the ULF and $CCI_4$-treated group. These results showed that ULF had the protective effects on the liver dysfunction of $CCI_4$-treated rats.
The effects of Fucoidan extracted from Ulva lactuca on carbon tetrachloride ($CCI_4$)-induced dysfunction in $CCI_4$-posttreated rats were investigated. Ulva lactuca fucoidan (ULF) of 100 mg/kg concentration was intraperitoneally administered into rats at dose of 1 ml/kg for 14 days. On the day 15, 3.3 ml/kg of $CCI_4$ dissolved in olive oil (1 : 1) was injected 12 hours before anesthetization. We examined the levels of glutamate oxaloacetate transaminase (GOT),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GPT) in serum of rats, superoxide dismutase (SOD) in mitochondrial fraction and catalase (CAT), glutathione peroxidase (GPx), malondialdehyde (MDA) in liver of rats. SOD, CAT, GPx decreased, and GOT, GPT, MDA increased in the $CCI_4$-treated group. But SOD, CAT, GPx increased, and GOP, GPT, MDA decreased in the ULF and $CCI_4$-treated group. These results showed that ULF had the protective effects on the liver dysfunction of $CCI_4$-treated rat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는 갈파래에서 푸코이단을 추출하여 HPLC에 의해 표준품과 대조하여 확인하고 이 푸코이단 추출물이 간독성에 대한 보호 효과를 갖고 있는지를 간 독성 지표와 효소 활성 지표를 통해 밝히고자 한다.
측정하여 검토하였다. 본 측정은 부경대학교 해양과학 공동연구 소에 의뢰하여 실행하였다.
제안 방법
7일 동안 적응시켰다. 실험동물은 cage에 각각 분리시키고 고형사료와 물을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실험동 안 동물들은 22 ± 1°C 의 온도와 60 ± 5 °C 상대습도로유지시켰고 총 21마리의 rat를 7마리씩 3군으로 나누었다 (Table 1).
실험동 안 동물들은 22 ± 1°C 의 온도와 60 ± 5 °C 상대습도로유지시켰고 총 21마리의 rat를 7마리씩 3군으로 나누었다 (Table 1). 정상군 (NOR group)과 대조군 (CON; CCU-treated group)은 0.9% saline을, 시료군 (ULF; Ulva lactuca fucoidan extract + CCU-treated gioup)은 갈파래 푸코이단 추출물 (100 mg/kg)을 1 ml/kg씩 복강 내에 14일간 매일 투여하고 15일째 되는 날에 대조군과 시료 군에서 실험동물의 간 손상의 유도를 위해 사염화탄소를 olive oil에 1 : 1 비율로용해시켜 3.3 mO/kg의 용량을 복강 내로 투여하여 간 독성을 유발시켰다. CC14 투여하고 절식시킨 뒤 12시간 후에 ether로 마취하고 해부하여 혈액과 간을 채취하여 실험하였다.
3 mO/kg의 용량을 복강 내로 투여하여 간 독성을 유발시켰다. CC14 투여하고 절식시킨 뒤 12시간 후에 ether로 마취하고 해부하여 혈액과 간을 채취하여 실험하였다.
푸코이단은 Tako(ll) 방법을 변형하여 추출하고 동결 건조하여 사용하였다.
푸코이단의 추출 방법대로 추출하여 얻어진 갈파래 푸코이단 주줄물과 푸코이단 표준품을 서로 같은 조건하에서 HPLC로 측정하여 검토하였다. 본 측정은 부경대학교 해양과학 공동연구 소에 의뢰하여 실행하였다.
혈청 중의 GOT, GPT의 양은 Fuji dri-chem clinical chemistry analyzer (Fuji dri-chem 3500, Fujifilm, Japan)로 측정하였다.
2 mM cytochrome C 15Q 卩1를 넣은 혼합에 sample 8 卩1를 넣고, xanthine oxidase원액을 10 卩1를 넣어 nHxing 한 후 Elisa 에 이용하여 550 nm에서의 흡광도 변화를 2분 동안 측정하였다. 효소의 활성도는 Sigma사의 superoxide dismutase standard를 표준액으로 비교 측정하였다.
Aebi의 방법(15)을 이용하여 phosphate buffer (0.05 M pH 7.0) 1.9 ml에 sample (homogenate와 mitochondrial fraction^ 800 xg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한 상등액 100 卩1를 buffer로 10, 20, 40, 80배 희석) 0.1 ml 와 과산화수소 용액 1 ml를혼합하여 240 nm에서 90초 동안 흡광도 감소를 측정하였다
실험동물은 cage에 각각 분리시키고 고형사료와 물을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실험동 안 동물들은 22 ± 1°C 의 온도와 60 ± 5 °C 상대습도로유지시켰고 총 21마리의 rat를 7마리씩 3군으로 나누었다 (Table 1). 정상군 (NOR group)과 대조군 (CON; CCU-treated group)은 0.
대상 데이터
갈파래는 부산광역시 기장읍 앞바다 및 광안리 수변공원 주변에 서식하는 것을 채취하고 수 희 세척하여 소금 성분을 최대한 제거한 후 그늘에서 건조하여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은 체중 170〜 180 g 내외의 암컷 흰쥐 (Sprague- Dawley 계 생후 7주)를 대구 효창 사이언스로부터 제공받았고 7일 동안 적응시켰다. 실험동물은 cage에 각각 분리시키고 고형사료와 물을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데이터처리
본 실험에 대한 모든 실험 결과는 평균치와 표준편차로 나타내었고, 통계적 유의성은 SPSS를 이용일원 배치치 분산분석하여 검정하였다';
이론/모형
단백질의 정량은 Lowry 등의 방법(12)에 의해서 750 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표준 단백 시료를 bovine serum albumin (BSA) 으로 정량하였다.
Beau 사lamp 와 FHdovich 의 방법(14)에 따라 0.2 M K-phosphate buffer (pH 7.4)를 672 pl, 1 mM xanthine 100 ill, 1% sodium deoxy안Uorate 30 ill, 1.5 mM KCN 30 pl, 0.2 mM cytochrome C 15Q 卩1를 넣은 혼합에 sample 8 卩1를 넣고, xanthine oxidase원액을 10 卩1를 넣어 nHxing 한 후 Elisa 에 이용하여 550 nm에서의 흡광도 변화를 2분 동안 측정하였다. 효소의 활성도는 Sigma사의 superoxide dismutase standard를 표준액으로 비교 측정하였다.
성능/효과
Table 2와 같이 GOT의 경우 정상군에 비해 대조군에서 CC»의 간 장애 유발로 인해 효소 level이 약 3.3배 증가하였고 시료군인 ULF군은 대조군과 비교 하였을 때 29.8% 감소하여 갈파래 푸코이단 추출물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GPT의 경우에도 CC14를 투여한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해 약 3.
8% 감소하여 갈파래 푸코이단 추출물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GPT의 경우에도 CC14를 투여한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해 약 3.7배 정도 증가하여 간 장애 유발이 확인되었고, ULF군은 대조군에 비해 48.15%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갈파래 푸코이단 추출물의 효소 level 감소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Table 3과 같이 CC»로 간 손상이 초래된 대조군은 MDA 양이 정상군보다 약 2.97배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ULF군은 37.64%의 감소율을 보여 갈파래 푸코이단추출물의 과산화지질 감소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비해 343% 이상의 효과를 보였다. 또한 CAT는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해 약 L7 배 감소하였고, ULF군에서의 효소 활성은 대조군보다 30.2% 높게 나타났다 GPx의경우 대조군은 정상군에 비해 약 3.5배의 감소율을 보였으며 ULF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34.43%의 증가율을 보였다.
참고문헌 (27)
Cho, M. H. (2004), The base of toxicology, Young Chi (ed.), 116-110
Ashburm, L. L., Endicott, K. M., Daft, F. S., and R. D. Little (1947), The nonportal distribution of trabecule in dietary cirvhosis of mouse and huinea pigs, Am. J. Path. 23, 159
Butler, T. C. (1990), Reduction of carbon tetrachloride in vivo and reduction of carbon tetrachloride and chloroform in vitro by tissues and tissues constituents, J. Pharmacol. Exp. Ther. 134, 311-319
McCay, P. B., Lai, E. K., Poyer, J. L., Dubose, C. M., and E. G. Janzen (1984), Oxygen and carbon-centered free radical formation during carbon tetrachloride metabolism, J. BioI, Chem. 259, 2185-2143
C. S. Jeong, K. W. Jung, and J. S. Jeong (1999), Hepatoprotective Effect of Subfractions of Carthamus tinctorius L. Semen on the Reversal of Biotransformation Enzyme Activities in $CCl_4$ -induced Hepatotoxic Rats, J. Fd Hyg Safety 14(2), 172-178
Lee, J. H. end Y. J. Sun (1980), The content of minerals in algae, J. Korea Soc. Food Sci. Nutr. 9, 51-58
Cho, K. J. , Lee, Y. S., and B. lL. Ryn (1990), Antitumor effect and immunology activity of seaweeds toward sarcoma-180, J. Korea Fish. Soc. 23, 315-352
Schaeffer, D. J. and V. S. Krylov (2000), Ami-HIV activity of Extracts and compounds from algae and Cyanobacteria, Ecotoxicol. Environ. Safety 45, 208-227
Nagumo, T. and T. Nishino (1997), Fucan Sulfates and their anticogulant activities. In S. Dumitriu.(ed.), PoIysaccharides in Medicinal Applications. New York-Basel-Hong Kong, 545-574
In Hyu Lee, Yong-Pil Lee, and Young Sheen Ahn (1986), Flora of Marine Algae in Cheju Island 1. Ulvaceae, The Korean Journal of PhycoIogy 1(1), 157-167
Tako, M., M. Uehara, Y. Kawashima, I. Chinen, and F. Hongo (1996),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fucoidan from Okinawamozuku, Oyu Toshitsu Kagaku, J. Appl. Glycosci. 43, 143-148
Lowry, O. H., Rosenbrough. N. J., Farr, A. S., and R. J. Randall (1951), Protein Measurenment with Folin phenol reagent, J. Biol. Chem. 193. 256-261
Ohkawa, A., Ohishi, N., and K. Yagi (1979), Assay for lipid peroxides in animal tissues by thiobarbituric acid reaction, Anal. Biochem. 95, 351-358
Gabriel L. Plaa and William R. Hewitt (1982), Hayes: Principles and Methods of Toxicology, Raben Press, 407-445
Mcphalen, C. A., Vincent, M. G., and J. N. Jansonius (1992), X-ray structure refinement and comparison of three forms of mitochondrial aspartate aminotransferase, J. Mol. Biol. 225, 495-517
H. R. Ling, H. Siren, M. L. Riekkola, P. Vuorela, H. Vuorela, and R. Hiltunen (1996), Optimized separation of pharmacologically active flavonoids from Epimedium species by capillary electrophoresis, Journal of Chromatography A 746, 123-129
Tainer, J. A., Getzoff, E. D., Richardson, J. S., and D. C. Richardson (1983), Structure and mechanism of Cu, Zn, superoxide dismutase, Nature 306, 274-287
Gutteridge, J. M. C., Beard, A. P. C., and G. J. Quinlan (1983), Superoxide-dependent lipid peroxdation. Problem wih the use of catalase as a specific probe for Fenton-derived hydroxyl radicals, Biochem. Biophys. Res. Commun. 117, 901-907
Yosjikawa, T., Murakami, M., Yoshida, N., Seto, O., and M. Kondo (1983), Effects of superoxide dimutase and catalase on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in rats, Thromb. Haemostas 50, 869-872
Fridovich, I. (1986), Biologic effects of the superoxide radicals, Arch. Biochem. Biophysm. 247, 1-15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