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사대용 식품(Ready-to-eat meals) 중 병원성 세균의 분포와 항생제 감수성 양상
Antibiotic Resistance and Assessment of the Food-borne Pathogenic Microorganisms in Ready to Eat Meal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42 no.4, 2006년, pp.265 - 270  

홍은경 (삼육대학교 대학원 약학과) ,  김윤아 (삼육대학교 대학원 약학과) ,  이도경 (삼육대학교 대학원 약학과) ,  강병용 (삼육대학교 생명과학연구소) ,  하남주 (삼육대학교 대학원 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2005년 11월부터 2006년 3월 초까지 497개의 초밥, 김밥, 샌드위치 등의 식사대용 식품 검체를 수거하여 식품공전을 토대로 식사대용 식품에서 유래되는 미생물학적 인 오염도를 조사하고, 현대 사회에서 항생제 사용의 오남용으로 항생제 내성이 심각한 상황을고려하여 분리된 균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 양상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거된 검체를 실험한 결과 김밥에서 4개(1.4%)의 Escherichia coli가 분리되었고, 초밥, 샌드위치 등에서는 분리되지 앓았다. 또한 김밥에서 12개(4.4%), 초밥에서 8개(5.4%), 샌드위치에서 2개(4.3%)로 총22개(4.4%)의 Staphylococcus aureus가 분리되었다. 식사대용 식품에서 분리된 26개의 균주로 National Committee for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 (NCCLS)의 기준에 의거하여 vancomycin, teicoplanin, gentamycin, cipro-floxacin, synercid, cefotaxime, lincomycin, meropenem, cefazolin, amoxicillin-clavulanic acid으로 총 10개의 항생제를 사용하여 E. coli와 S. aureus의 항생제 감수성 양상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식사대용 식품에서 분리된 E. coli 4균주의 항생제 감수성 양상은 그람 음성균 치료에 주로 사용되는 항생제인 gentamycin, ciprofloxacin, cefotaxine, meropenem, cefazolin에 대해서는 감수성이 높다고 판단되었으나 amoxicillin-clavulanic acid에 대해서는 내성을 나타내었고, S. aureus의 항생제 감수성은 비교적 높다고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measure the level of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and antibiotic resistance pattern of found ready to eat meals such as Him-bap, Cho-bap, Hamburger, Sandwich and packed lunch boxes. A total of 497 samples were collected from supermarket and department of Seou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김밥과 초밥, 샌드위치 등에서 분리된 식사대용 식품의 E. coli 의 항생제 감수성 양상정도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National Committee for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 (NCCLS)의 기준에의거하여 (Table 3), Resistance, Intermediate, Sensitive 정도를 파악하였다.
  • 이처럼 최근 외식산업의 증가와 학교, 병원, 기업 등의 급식 시설의 확산, 그리고 매년 증가되고 있는 농수산물의 수입과 유통에 의하여 식중독의 발생빈도는 높아지고 있으며, 이는 또한 식중독 유발 미생물들의 감염노출 기회를 증가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식사대용 식품의 식중독균에 대한 노출정도를 조사해보고자 하였고, 조사된 기존자료와 비교가 용이하도록 식품공전을 토대로 균 분리에 가장 보편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식사대용 식품에 빈번히 출현하거나인 체 병원성에 관련이 있는 균을 분리하고자 하였다. 또한 최근 항생제 내성균 출현이 빈번해지면서 항생제에 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므로 분리된 균에 대하여 항생제 감수성 양상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 8%)의 비율로 분리되었다(Table 2). 또한 분리된 S. aureus  와 E. coli의 총 비율을 조사해 보았다. 검출된 S.
  •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식사대용 식품의 식중독균에 대한 노출정도를 조사해보고자 하였고, 조사된 기존자료와 비교가 용이하도록 식품공전을 토대로 균 분리에 가장 보편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식사대용 식품에 빈번히 출현하거나인 체 병원성에 관련이 있는 균을 분리하고자 하였다. 또한 최근 항생제 내성균 출현이 빈번해지면서 항생제에 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므로 분리된 균에 대하여 항생제 감수성 양상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현대인들이 식사대용 식품으로 많이 접하고 있는 김밥, 초밥, 햄버거, 샌드위치 등을 대상으로 식품공전을 토대로 오염된 미생물을 검출하고자 하였고, 분리된 미생물들의 항생제 감수성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실험에서 가장 많이 분리된 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김승곤, 김충환, 김태운, 이건섭, 정경석. 2002. 최신병원위생학. 고문사. p. 251-256 

  2. 식품의약품안전청. 2004. 식품의약품안전청 식중독 발생현황 

  3. 식품의약품안전청. 1993, 1994, 2005. 식품공전 

  4. Atanassova, V., A. Meindl, and C. Ring. 2001. Prevalence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staphylococcal enterotoxins in raw pork and uncooked smoked ham-a comparison of classical culturing detection and RFLPPCR. Int. J. Food Microbiol. 68, 105-113 

  5. Bean, N.H. and P.M. Griffin. 1990. Foodbome disease outbreaks in the United States, 1973-1987: pathogens, vehicles and trends. J. Food Prot. 53, 804-817 

  6. Cho, D.T. 1995. signifinance of methicillic-resistant S. aureus as anosocomial pathogen. J. Infect. 27, 11-13 

  7.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2. Bacteriological Analytical Manual 

  8. Jung, C.H. and H.J. Kang. 1993. AntiMicrobiol susceptibilities and lactamase production of S. aureus isolate from bulk milk and domestic animals. Kor. J. Vel. Publ. Hlth. 17(3) 

  9. Kang, Y.S, S.K. Yoon, S.H. Jwa, D.H. Lee, G.J. Woo, Y.S. Park, and C.M. Kim. 2002. Prevalence of Staphylococcus aureus in Kimbap. J. Fd Hyg. Safety 17, 31-35 

  10. Kim, D.H., K.R. Kwon, K.H. Lee, Y.R. Ju, K.S. Oh, and H.S. Kark. 1989. Studies on staphylococcal food-poisoning and enterotoxin productivity. Report of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26, 111-121 

  11. Kim, D.H., K.R. Kwon, K.H. Lee, Y.R. Ju, and K.S. Oh. 1988. Study on Staphylococcal enterotoxin. Report of NIH Korea. 25, 297-307 

  12. Kim, H.J., J.G. Park, D.S. Lee, and H.D. Paik. 2002. Changes of Indicator Microorganisms and Pathogenic Bacteria in Spinach during Cook-Chill Process. Kor. J. Food Ssi. Thchnol. 34, 927-930 

  13. Lee, J.W., K.S. Park, J.G. Kim, S.H. Oh, Y.S. Lee, J.H. Kim, and M.W. Byun. 2005. Combined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and rosemary extract on the shelf-life of a ready-to-eat hamburger steak. Radiat. Phys. Chem. 72, 49-56 

  14. Lee, K.U., Y.J. Kim, M.S. Lee, and B.H. Kim. 1998. Nonstaining method for determination of gram reactions and comparison of the API Staph (OMS) and Cowan and Steel procedures for the identification of Staphylococcus and Micrococcus. Report NIH Kor. 25, 277-288 

  15. Mortmore, S. 2001. How to make HACCP really work in practice. Food Control. 12, 209-215 

  16. Notermans, S. and M. Borgdorf. 1997. A global perspective of food borne disease. J. Food Prot. 60, 655-666 

  17. Ryu, P.Y., Y.I. Kim, J.H. Rhee, S.S. Chung, T.H. Ahn, J.H. Shin, D.W Ryang, and Y.H. Kim. 1995. AntiMicrobiol resistance and plasmid profile of 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J. Infection 27, 15-29 

  18. Suk, S.U. and S.C. Park. 1985. Staphylococcal infection. J. Infection. 17, 115-122 

  19. Schlundt, J. 2002. New directions in foodbome disease prevention. Int. J. food Microbiol. 78, 3-17 

  20. Yi, D.H. and H.S. Hong. 1999. Isolation and cultural conditions of Actinomycetes strain producing effective antibiotic for MRSA. 건국기술연구논문집. 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