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장기생태연구 장소로서 구축된 남산 소나무림의 생태적 특성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S. et Z.) Forest on Mt. Nam as a Long Term Ecological Research (LTER) Site 원문보기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v.29 no.6, 2006년, pp.593 - 602  

이창석 (서울여자대학교 환경.생명과학부) ,  조용찬 (서울여자대학교 환경.생명과학부) ,  신현철 (서울여자대학교 환경.생명과학부) ,  이충화 (국립산림과학원 산림환경부) ,  이선미 (서울여자대학교 환경.생명과학부) ,  설은실 (서울여자대학교 환경.생명과학부) ,  오우석 (서울여자대학교 환경.생명과학부) ,  박성애 (서울여자대학교 환경.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가 장기 생태 연구를 위해 구축된 서울 남산의 영구 방형구에서 소나무림의 종 조성, 주요 종의 공간분포, 직경 및 수고 계급 빈도 분포,그리고 종 다양성이 분석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도심의 다른 지역(인왕산 및 홍릉),도시 외곽 지역(아차산, 북한산, 불암산, 청계산, 대모산 및 수락산) 및 자연 지역(설악산, 속리산 및 월악산)의 자료와 비교하여 남산 소나무림의 특징을 밝혔다. 남산 소나무림은 도심의 다른 지역의 소나무림과 유사한 종 조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도시 외곽의 것과는 약간의 차이를 보였고, 자연 지역의 것과는 큰 차이를 보였다. 남산 소나무림이 보여준 그러한 차이는 대체로 그곳에서 높은 식피율을 나타낸 때죽나무, 팥배나무, 주름조개풀, 가중나무, 서양등골나물 등에 기인하였다. 주요 수종의 직경 및 수고 계급 분포를 분석하여 예측한 결과, 남산의 소나무림은 때죽나무 숲으로 천이될 가능성을 보였다. 이러한 대체 수종은 아교목일 뿐만 아니라 비내음성 종으로서 그러한 천이 경향은 퇴행 천이로 해석될 수 있었다. 도시 외곽 및 자연 지역의 소나무림들은 각각 토지 극상으로서 그 자체가 유지되거나 참나무 숲으로 천이될 가능성을 보여 남산 지역과 차이를 나타내었다. 남산 소나무림의 종 다양성은 도시 외곽 및 자연 지역의 것보다 낮았다. 이처럼 낮은 종 다양성의 원인은 이 지역의 종 조성을 다른 지역의 것과 다르게 하는데 기여한 몇몇 종의 과도한 번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한 차이를 가져온 식물들은 오염된 공업단지에 번성하는 종(때죽나무와 팥배나무), 교란된 지소를 선호하는 종(주름조개풀) 및 외래종(가중나무와 서양등골나물)이었다. 그러한 결과는 남산이 심한 환경 오염과 과도한 인간 간섭에 노출되어 있음을 반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pecies composition, spatial distribution of major species, diameter and height classes distribution, and species diversity were .analyzed in the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hereafter referred as pine) forest in the permanent quadrats, which were designed for Long Term Ecological Research (L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가 장기 생태 연구를 위해 구축된 남산 소나무군락의 생태적 특성을 밝히는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소나무군락의 종 조성, 주요 종의 공간분포, 직경 및 수고 계급의 빈도 분포와 종 다양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 이러한 영구 조사구의 자료는 현 단계에서 그 자료에 대한 해석보다는 현재 성립되어 있는 주요 식물의 생장에서 성숙 단계를 거쳐 노화에 이르는 과정, 새로운 종과 개체의 보충과 이입, 그리고 그러한 과정을 통한 그 숲의 대치 과정을 변화하는 환경요인과 연관시켜 모니터링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김지홍, 이병천, 이유미. 1996. 남산 및 광릉 산림생태계의 식물 종 다양성의 비교 평가. 한국임학회지 85: 605-618 

  2. 박봉규. 1987. 남산공원 (서울)의 식생과 토양요인에 관하여. 자연보존 60: 13-18 

  3. 서울특별시. 1992. 남산 제 모습 가꾸기 기본계획. 서울특별시, 서울. 23 

  4. 서울시. 2000. 서울시 비오톱 현황조사 및 생태도시 조성 지침. 서울특별시, 서울 

  5. 이경재. 1986. 남산공원의 자연환경실태 및 보전대책. 서울특별시, 서울. 78p 

  6. 이은복. 1987. 남산의 식물상. 자연보존 59: 36-48 

  7. 이창석, 이안나. 2003. 한국에서 수분수지의 생태적 중요성과 대기오염 및 토양 산성화로 인한 식물의 수분스트레스 증대 효과. 한국생태학회지 26: 143-150 

  8. 이창석, 조현제, 문정숙, 김재은, 이남주. 1998. 복원 및 경관생태학적 원리에 근거한 남산의 생태공원화 계획. 한국생태학회지 21: 723-733 

  9. 이창석. 1995a. 한국 소나무림의 교란체제. 한국생태학회지 18: 179-188 

  10. 이창석. 1995b. 한국 소나무림의 교란 후 재생. 한국생태학회지 18: 189-201 

  11. 이창석. 1989. 솔잎혹파리 피해 소나무림의 천이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12. 이창석. 1992. 대기오염으로 파괴된 식생의 복원에 관한 연구 (박사후 과정 연구보고서). 한국과학재단, 서울 

  13. 임양재, 박재홍, 한창섭. 1987. 서울 남산의 식생. 중앙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논문집 제1편, 서울 

  14. 전병익. 1995. 남산의 식생과 자연보존대책. 광복 50주년 기념 남산 제모습 찾기 학술발표회. 산림청, 서울, pp 1-18 

  15. 전영우. 2004.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소나무. 현암사, 서울 

  16. 최기룡. 1998. 한반도 후빙기의 저지대 식생사. 한국생태학회지 21: 169-174 

  17. Barbour MG, Burk JH, Pitts WD, Gilliam FS, Schwartz MW. 1999. Terrestrial Plant Ecology, 3 Ed. Addison Wesley Longman, New York 

  18.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de der Vegetationskunde, 3rd ed. Springer-Verlag, New York 

  19. Critchfield, WB, Little, EL. 1966. Geographic distribution of the pines of the world. USDA Forest Service Miscellaneous Publication 991 

  20. Environmental System Research Institute (ESRI). 2005. ArcView GIS. Environmental System Research Institute, Inc., New York 

  21. Freedman B. 1995. Environmental ecology : The impacts of pollution and other stress on ecosystems structure and function. Bill Freedman, Canada 

  22. Grey GW, Deneke FJ. 1986. Urban forestry, 2nd ed.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23. Hill MO. 1979. DECORANA -A FORTRAN program for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reciprocal averaging. Cornell University Ithaca, New York 

  24. Hong SK, Nakagoshi N. 1996. Biomass changes of a human-influenced pine forest and forest management in agricultural landscape system. Korea J Ecol 19: 305-32 

  25. Lee CS, Hong SK. 1998. Changes of landscape pattern and vegetation structure in rural area disturbed by fire. Korean J Ecol 21: 389-399 

  26. Lee, CS, Kim JH, Yi H, You YH. 2004. Seedling establishment and regeneration of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S. et Z.) forests in Korea.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99: 423- 432 

  27. Lee CS, Moon JS, Hwangbo JK, You YH. 2002. Selection of pollution- tolerant plants and restoration planning to recover the forest ecosystem degraded by air pollution in the industrial complex. Korean J Biol Sci 6: 59-64 

  28. Lee HW, Lee CS. 2006.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establishment and expansion of the invasive alien species of tree of heaven (Ailanthus altissima) in Seoripool Park, Seoul. Integrative Biol Sci 10: 27-40 

  29. Magurran AE. 2004. Measuring biological diversity. Blackwell, New York 

  30. Miller RW. 1997. Urban forestry. Planning and managing urban greenspaces. 2nd ed. Prentice-Hall Inc., Landon 

  31. Smith WH. 1990. Air pollution and forests. 2nd ed. Springer-Verlag, New York 

  32. Swearingen JM. 2006. Tree-of-Heaven. Ailanthus altissima (Mill.) Swingle. Quassia family (Simaroubaceae). Available from www.nps.gov/plants/alien/fact/ aial1.htm 

  33. Taoda H. 1979. Effect of urbanization on the green broad-leaved forest in Tokyo, Japan. In: Vegetation and Landschaft Japans (Miyawaki A, Okuda S eds). The Yokohama phytosociological Society, Yokohama. pp 161-16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