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콩알 메주 간장 발효 중 이소플라본 함량
Isoflavone Content in Soy Sauce made with Whole Grain Soybean Meju during Ferment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19 no.4, 2006년, pp.460 - 465  

이희영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차용준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존의 개량식 메주와 이를 콩알 메주로 대체하여 제국 공정을 생략함으로써 생산비 절감 효과 및 생리 기능성을 가진 한식 간장의 개발을 위한 일련의 연구로, 본 연구에서는 간장 발효 중의 이소플라본의 함량변화와 동시에 aglycone 형태의 daidzein과 genistein 함량의 변화를 분석 비교하였다. 개랑 메주 간장인 Control 및 제품 A의 총 이소플라본 함량은 발효 120일까지 증가하였다가 그 후로는 아주 완만하게 증가하였고, 발효 180일경에는 발효 초기에 비해 각각 15배 및 4.3배씩 증가하였다. 반면 콩알 메주 간장 B 및 C에서는 발효 0일차에 총 이소플라본 함량이 최대값(각각 $20.53{\mu}g/g$$19.52{\mu}g/g$)을 나타낸 다음 그 후부터는 감소하였다. 콩알 메주 및 밀싻 메주 혼합 간장 D에서는 발효 20일차에 가장 높은 함량이었고, 그 후로 서서히 감소하였다. 총 이소플라본 또는 유리형에 관계없이 이소플라본의 함량의 대부분을 daidzein이 차지하고, 개량 메주 간장(Control 및 제품 A)에서는 숙성과 함께 증가한 반면에, 콩알 메주 간장(제품 B와 C)에서는 발효 0일차에 daidzein의 함량이 최고 많았고, 숙성과 함께 서서히 감소하였고, 대신 genistein함량은 서서히 증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soflavone contents including daidzein and genistein in soy sauces made with whole grain soybean Meju(WGSM), comparing with defatted Meju(DM) du.ins fermentation. Total isoflavone contents in 2 soy sauces made with DM, Control and product A, increased wi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의 개량식 메주와 이를 콩알 메주로 대체하여 제국 공정을 생략함으로써 생산비 절감 효과 및 생리 기능성을 가진 한식 간장의 개발을 위한 일련의 연구로, 본 연구에서는 간장 발효 중의 이소플라본의 함량변화와 동시에 aglycone 형태의 daidzein과 genistein 함량의 변화를 분석 비교하였다. 개량 메주 간장인 Control 및 제품 A의 총 이소플라본 함량은 발효 120일까지 증가하였다가 그 후로는 아주 완만하게 증가하였고, 발효 180일경에는 발효 초기에 비해 각각 15배 및 4.
  • 따라서 본 연구에서 기존의 개량식 메주와 이를 콩알 메주로 대체하여 제조한 한식 간장의 생리 기능성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발효 과정에서의 이소플라본 함량을 분석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Kim, DH and Kim, SH.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whole soybean cereals fermented with Mucor and Rhizopus strai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176-182. 1999 

  2. Kim, DH, Kang, SW and Kim, SH. Production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from Rhizopus stolonifer inoculated grain type Meju. Korean J. Food Sci. Technol. 31:757-763. 1999 

  3. Kim, HJ. Studies on the manufacturing and characterization of soy sauce with whole grain soybean Meju. Ph.D. Thesis, Changwon National Uni., Changwon. 2003 

  4. Knight, DC and Eden, JA. A review of the clinical effects of phytoestrogens. Obstet. Gynecol. 87:897-04. 1996 

  5. Cassidy, A. Physiological effects of phyto-estrogens in relation cancer and other human health risk. Proc. Nutr. Soc. 55:399-417. 1996 

  6. Barrett, J. Phytoestrogens. Friends or foes? Environ. Health Perspect. 104:478-482. 1996 

  7. Wei, H, Wei, L, Frenkel, K and Bowen, R. Inhibition of tumor-promoter induced hydrogen peroxide formation by genistein in vitro and in vivo. Nutr. Cancer 20:1-12. 1993 

  8. Pelissero, C, Bennetau, B, Babin, P, Le Mann, F and Dunogue, J. The estrogenic activity of certain phytoestrogen in the Siberian sturgeon Acipenser baeri. J. Steroid Biochern. Mol. Biol. 38:293-299. 1991 

  9. Miksicek, RJ. Interaction of naturally occurring nonsteroidal estrogens with expressed recombinant human estrogen receptor. J. Steroid Biochern. Mol. Bio. 49:153-160. 1994 

  10. Choi, YB and Sohn, HS. Isoflavone content in Korean fermented and unfermented. Korean J. Food Sci. Technol. 30:745-750. 1998 

  11. Wang, G, Kuan, SS, Francis, OJ, Ware, GM and Carman, AS. A simplified HPL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phytoestrogens in soybean and its processed products. J. Agric. Food Chem. 38:185-190. 1990 

  12. Kim, JS and Yoon, S. Isoflavone contents and ${\beta}-glucosidase$ activities of soybeans, Meju and Doen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1:1405-1409. 1999 

  13. Wang, HJ and Murphy, PA. Mass balance study of isoflavones during soybean processing. J. Agric. Food Chem. 44:2377-2383. 1996 

  14. Wang, HJ and Murphy, PA. Isoflavone content in commercial soybean foods. J. Agric. Food Chem. 42:1666-1673. 1994 

  15. Murakami, H, Asakawa, T, Terao, J and Matsushita, S. Antioxidative stability of tempeh and liberation of isoflavones by fermentation. Agric. Biol. Chem. 48:2971-2975. 1984 

  16. Choi, JS, Kwon, TW and Kim, JS. Isoflavone contents in some varieties of soybean. Food Sci. Biotechnol. 5:167-169. 1996 

  17. Kim, CS, Lee, YS, Kim, JS and Hahn, YH.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analysis of isoflavone in soybean food. Korean J. Food Sci. Technol. 32:25-30.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