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재래식 간장 제조를 위한 메주의 크기와 제조 방법에 따른 품질특성
Quality Analysis on the Size and the Preparation Method of Meju for the Preparation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Kanjang) 원문보기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52 no.4, 2009년, pp.205 - 211  

이종구 (식품의약품안전청) ,  권광일 (식품의약품안전청) ,  정명근 (강원대학교 생약자원개발학과) ,  권오준 (경북전략산업기획단) ,  최지영 (식품의약품안전청) ,  임무혁 (식품의약품안전청)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 재래식 간장의 대량생산을 위한 기반 연구를 확립하기 위하여 크기별로 제조된 메주의 특성을 비교하고, 재래식 메주의 제조 방법을 개선시킨 메주(IM-meju, Improved Method for kanjang production, $25{\sim}30^{\circ}C$의 온도와 80~90%의 상대습도로 발효)와 전통식 메주(CM-meju, Conventional Method, $15{\sim}20^{\circ}C$의 온도와 40~50% 상대습도에서 발효)를 제조하여 특성을 비교하였다. 전통식 메주의 크기를 다양하게 제조하여 특성을 비교해 본 결과 메주의 크기에 따른 총질소와 가용성 질소의 함량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크기가 작아질수록 감소하였다. 비휘발성 유기산유리당 함량은 $23{\times}11{\times}7\;cm$ 크기에서 각각 1360.5 mg%와 3,770.2 mg%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여줌으로서 최적의 크기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크기별로 제조된 메주를 제조방법 즉, 발효조건에 따라 제조한 간장의 특성을 비교해본 결과 총질소 함량은 크기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유리당의 함량은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23{\times}11{\times}7\;cm$ 크기의 메주로 제조한 간장에서 545.6 mg%의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비휘발성 유기산함량에서도 크기가 작아질수록 감소하였으며, 이 중 $23{\times}11{\times}7\;cm$ 크기의 메주로 제조한 간장에서 303.3 mg%의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또한 젖산의 함량도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염도는 높아졌다. 그리고, CM-meju와 IM-meju의 특성을 비교해 본 결과 제조 후 총질소 함량은 CM-meju에서 높았으나, 수가용성 질소, 20% 염수 가용성 질소는 CM-meju보다 IM-meju 에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CM-meju와 IM-meju 에서 2499.6, 2748.9 mg%의 함량으로서 CM-meju보다 IM-meju에서 높았다. 제조법을 개선시킨 IM-meju는 CM-meju보다 간장의 품질에 영향을 주는 성분들, 즉 총질소 함량, 유리당 그리고 유리 아미노산 등의 함량이 높을 뿐만 아니라 질적인 면에서도 우수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cquire basic data for industrial production of Korean traditional kanjang (soy sauce). Five types of meju, $23{\times}11{\times}12$ ($L{\times}W{\times}H$, cm), $23{\times}11{\times}7$, $15{\times}11{\times}7$, $11{\ti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캡슐형 메주의 품질 특성[Choi 등, 2003], 3단계 발효과정을 통하여 제조한 메주의 품질 개선 연구[Kim 등, 2002], 메주 발효에 관여하는 미생물의 동정, 분포 및 특징에 관련된 여러 선행 연구[Cho와 Lee, 1970; Park과 Kim, 1970; Hur와 Ha, 1991; Kim, 1992; Lee 등, 1993a; Lee 등, 1993b]들이 보고된 바 있으며, 간장의 제조 과정 중에 기능성 성분의 첨가[Jang 등, 2003; Cho 등, 2007]나 감마선 처리를 통하여 간장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Song 등, 2001], 재래식 메주 발효 과정 중 아미노산 변화[An 등, 1986], 콩알메주와 벽돌형 메주로 제조한 간장 성분 비교[Seo와 Lee, 1992; Seo와 Lee, 1993], 국수형, 콩알형, 벽돌형 메주로 제조한 간장의 품질 비교[Kim, 1978]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었으나, 민가에서 제조하는 다양한 메주의 제조방법에 관한 품질 비교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래식 메주의 크기를 민가에서 제조하고 있는, 5가지의 크기로 제조하고, 재래식 메주에서 25~30℃의 온도와 80~90%의 상대습도로 발효시킨 제조 방법을 개선시킨 IMmeju(Improved Method)와 15~20℃의 온도, 40~ 50% 상대습도에서 발효시킨 전통식 CM-meju(Conventional Method)의 특성을 비교하고 간장을 제조하여 품질을 비교하여 우수한 품질의 장류를 제조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재래식 메주 발효의 특징은? 그러나 시판되고 있는 대부분의 된장 및 간장은 콩과 밀을 주원료로 사용하며 인위적으로 종균을 접종배양한 koji 중의 효소를 이용하고 염수를 가한 후 발효시켜 제조하는 개량식이 대부분이다. 재래식 메주의 제조는 대두를 자숙 한 후 볏짚과 공기 중의 미생물을 자연적으로 접종되게 하여 1~2개월 발효시키는 과정에서 대두의 단백질 및 당류 성분이 별도의 가공 처리 없이 분해시키는 공정으로 생성된 아미노산, 당 및 유기산 등의 성분손상이 적으며 숙성 후에 분리된 된장도 전량 이용할 수있어 원료의 이용률이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시판되고 있는 대부분의 된장 및 간장은 어떻게 제조되고 있는가? 이런 재래식 된장과 간장은 대두를 수침 자숙한 후 성형해 자연 상태에서 발효시켜 제조하며, 메주에 염수를 넣고 담금하고 메주 중에 생육하는 각종 균류의 효소작용을 이용하여 숙성 발효시킨 후 덧의 건더기와 액을 분리하여 간장 덧의 건더기는 된장으로 여액은 달인 후 숙성시켜서 제조된다[Lee, 1992]. 그러나 시판되고 있는 대부분의 된장 및 간장은 콩과 밀을 주원료로 사용하며 인위적으로 종균을 접종배양한 koji 중의 효소를 이용하고 염수를 가한 후 발효시켜 제조하는 개량식이 대부분이다. 재래식 메주의 제조는 대두를 자숙 한 후 볏짚과 공기 중의 미생물을 자연적으로 접종되게 하여 1~2개월 발효시키는 과정에서 대두의 단백질 및 당류 성분이 별도의 가공 처리 없이 분해시키는 공정으로 생성된 아미노산, 당 및 유기산 등의 성분손상이 적으며 숙성 후에 분리된 된장도 전량 이용할 수있어 원료의 이용률이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재래식 된장과 간장의 제조 방법은? 한국의 대표적인 대두발효식품인 재래식 된장과 간장은 주로 아시아권에서 식품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대와 세계화와 더불어 점차 그 사용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이런 재래식 된장과 간장은 대두를 수침 자숙한 후 성형해 자연 상태에서 발효시켜 제조하며, 메주에 염수를 넣고 담금하고 메주 중에 생육하는 각종 균류의 효소작용을 이용하여 숙성 발효시킨 후 덧의 건더기와 액을 분리하여 간장 덧의 건더기는 된장으로 여액은 달인 후 숙성시켜서 제조된다[Lee, 1992]. 그러나 시판되고 있는 대부분의 된장 및 간장은 콩과 밀을 주원료로 사용하며 인위적으로 종균을 접종배양한 koji 중의 효소를 이용하고 염수를 가한 후 발효시켜 제조하는 개량식이 대부분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n BJ, Son GJ, and Choi C (1986) Changes in protein and amino acid composition of native Meju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Nutr 15, 152-157 

  2. Cho DH and Lee WJ (1970) A study on the microflora of fermented Korean Maeju Loaves. J Korean Agric Chem Soc 13, 35-42 

  3. Cho SH, Choi YJ, Oh JY, Kim NG, Rho CW, Choi CY, and Cho SH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Kanjang (soy sauce) fermentation with Bamboo Sap, Xylem Sap and Gorosoe. Korean J Food Preserv 14, 294-300 

  4. Choi J, Kwon SH, Lee SW, Nam SH, Choi SD, and Park SK (2003) Quality properties of capsule type Meju prepared with Aspergillus oryzae. Korean J Food Preserv 10, 339-349 

  5. Choi KS, Choi C, Im MH, Choi JD, Chung HC, Kim YH, and Lee CW (1998) The effects of soybean boiling waste liquor on the enhancement of lactic acid fermentation during Korean traditional Kanjang mash maturing. Agric Chem Biotechnol 41, 201-207 

  6. Chung HJ (1993) A study on flavor compenent changes in traditional Korea soy sauce during ripening period, Ph. D. Thesis, Yonsei Univ, Korea 

  7. Hur SH and Ha DM (1991) Occurrence of acid producing bacteria in Meju loaves. J Korean Agric Chem Soc 34, 130-133 

  8. Jang DK, Woo KL, and Lee SC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 sauces containing Shiitake Mushroom (Lentinus edode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6, 220-224 

  9. Japanese Soy Sauce Research Institute (1990) In Methods in Shoyu experimerts, pp.140-150, Mitsuosa printing Co, Tokyo, Japan 

  10. Kim HJ (1992) Production of main taste components in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by Bacillus licheniformis. Korean J Soc Food Sci 8, 9-18 

  11. Kim IJ, Lee JO, Park MH, Shon DH, Ha YL, and Ryu CH (2002) Preparation method of Meju by three step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536-539 

  12. Kim JK, Jang SK, Kim SY, Park SM, and Kim KS (1990) Distribution of volatile organic acids in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and microorganisms producing the organic acid. The Institute of Resource Development Yeungnam University 9, 63-69 

  13. Kim SS (1978) Effect of Meju shapes and strains on the quality of soy sauce. Korean J Food Sci Technol 10, 63-72 

  14.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8) Food Code. Seoul, Korea 

  15. Kwon KI, Lee JG, Choi JD, Chung HC, Ryu MK, Im M H, Kim KJ, Choi YH, Kim YJ, Suh CS, Choi C, and Choi KS (2003) Alcohlic fermentation of traditional Kanjang by semi-pilot scale bioreactor system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103-110 

  16. Lee SR (1992) In Korean fermented foods. Department of Printing & Publishing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7. Lee SS, Park KH, Choi KJ, and Won SA (1993a) Identification and isolation of Zygomycetous fungi found on Maeju, a raw material of Korean traditional soy sources. Korean J Mycol 21, 172-187 

  18. Lee SS, Park KH, Choi KJ, and Won SA (1993b) A Study on hyphomycetous fungi found on Maeju, a raw material of Korean traditional soy sources. Korean J Mycol 21, 247-272 

  19. Park KI and Kim KJ (1970) Studies on manufacturing of the Korean Soy sauce (1). Report of NIRI 20, 89-98 

  20. Park KI (1972) Studies on the N-compounds during Chungkookjang meju fermentation (I). J Korean Agric Chem Soc 15, 93-109 

  21. Park OJ, Sohn KH, and Park HK (1996) Analysis of taste compounds in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by two different fermantation jars. Korean J Dietary Culture 11, 229-233 

  22. Song TH, Kim DH, Park BJ, Shin MG, and Byun MW (2001) Changes in microbiological and gener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mma irradiated Kanjang and Shoyu.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338-344 

  23. Seo JS and Lee TS (1992) Free amino acids in traditional soy sauce prepared from Meju under different formations. Korean J Diet Culture 7, 323-328 

  24. Seo JS and Lee TS (1993) The contents of free sugar and alcohol in traditional Soy source prepared from Meju under different formations. Korean J Diet Culture 6, 103-108 

  25. Yeonsei University (1975) In Methods in laboratory experiments of foods, pp.725-727, Tamgudang Publishing co, Seoul,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