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설재배 풋고추 및 착색단고추의 재배과정 중 살포되는 chlorpyrifos의 잔류특성을 밝히고자 재배시기 및 약제살포 방법별 잔류량을 조사, 평가하였다. 고추의 재배시기별 열매 중 chlorpyrifos 잔류는 하절기(6~7월)에 비해 동절기(2~3월)에 1.5~2.7배 높게 검출되었다. 동절기 재배중인 풋고추와 착색단고추에 7일 간격 3회 약제 살포 후 1~10일 동안의 잔류량을 비교하였다. 고추 중 잔류량은 1일차 2.070에서 10일차 $0.929mg\;kg^{-1}$로 감소하였으며, 착색 단고추는 1일차 0.302에서 10일차 $0.291mg\;kg^{-1}$으로 감소하여 두 농산물간의 농약잔류량은 6.9~3.2배 차이를 보였다. 착색단고추에 약제를 3일과 7일 간격으로 3회 살포 후 1~10일 동안의 농약잔류량은 각각 0.498~0.291, $0.302{\sim}0.267mg\;kg^{-1}$ 범위였다. 착색단고추에 살포농도를 표준량과 배량으로 처리하였을 때 열매 중 농약의 잔류농도는 배량 처리시 2.5배 정도 높았으며, 살포 물량을 달리 했을 때의 영향은 거의 없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haracteristics of chlorpyrifos was studied to clarify the effect of the cultivation season, spray intervals, spray volume and concentration on residues in chilli and sweet peppers cultivated under greenhouse condition. Residue levels of chlorpyrifos detected in chilli pepper fruit cultivated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경남지역의 담배가루이 과다 발생이 ’05년 봄부터 시작되었음에도 chlropyrifos의 잔류기준 위반이 하절기에는 발생하지 않고 동절기인 ’06년 1월에 발생한 원인을 찾기 위하여 동절기와 하절기의 계절별 잔류특성을 조사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설재배 풋고추와 착색단고추를 대상으로 재배시기별, 약제 살포 방법별 chlorpyrifos 잔류량을 조사하여 잔류허용기준 위반사례의 원인을 구명하고 안전농산물을 생산하는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수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시험작물 및 시험포장 본 시험은 고추(품종: 녹광)와 착색단고추(품종: 포드)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경남 진주에 위치한 고추 재배농가와 착색단고추 재배농가의 온실에서 수행되었다.

가설 설정

  • Fig. 1. Residues of chlorpyrifos in peppers between seasonal differences. 고추에 대한 농약안전사용기준은 수확 3일전 3회 살포이나, 본 실험을 수행한 온실조건에서 동절기는 살포 후 10일째까지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풋고추는 어디에 쓰이는가? 고추와 착색단고추는 국내에서 일 년 연중 재배되며 생산면적과 수출물량 면에서 경제적으로 중요한 작물이다. 고추류는 조미료로 쓰이는 건고추와 생식용으로 쓰이는 풋고추를 포함하는 고추와 착색단고추가 있다. 식물학적으로 Solanaceae(가지과) Capsicum(고추속) Anuum(고추종)으로 분류되며 6개의 아종이 있다.
고추류는 식물학적으로 어떻게 분류되는가? 고추류는 조미료로 쓰이는 건고추와 생식용으로 쓰이는 풋고추를 포함하는 고추와 착색단고추가 있다. 식물학적으로 Solanaceae(가지과) Capsicum(고추속) Anuum(고추종)으로 분류되며 6개의 아종이 있다. 착색단고추는 단고추 아종(Sweet or Bell pepper.
건고추는 어떻게 쓰이는가? 고추와 착색단고추는 국내에서 일 년 연중 재배되며 생산면적과 수출물량 면에서 경제적으로 중요한 작물이다. 고추류는 조미료로 쓰이는 건고추와 생식용으로 쓰이는 풋고추를 포함하는 고추와 착색단고추가 있다. 식물학적으로 Solanaceae(가지과) Capsicum(고추속) Anuum(고추종)으로 분류되며 6개의 아종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o, K. S., S. J. Lee, D. Y. Lee, Y. J. Kim, W. J. Choe, J. B. Lee and K. Y. Kang (2011) Preharvest residual characteristics of boscalid and pyraclostrobin in Paprika at different seasons and plant parts.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15:269∼277. 

  2. Japan Pesticide Residue Analysis Research (1995) New residue analysis methods for pesticides. p.146∼147. 

  3. Jeong Yiung-Ho, Jang-Eok Kim, Jeong-Han Kim, Young-Deuk Lee, Chi-Hwan Lim, Jang-Hyun Hur (2004) The latest Pesticide Science (Revised). Sigma Press. p.94. 

  4. Kim, Chan Sub (1998) Development of multi-residue analysis methods for pesticides in soil.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Crop Protection Division) Research Report. p.883-909. 

  5. Kim, Y.-S., J.-H. Park, J.-W. Park, Y.-D. Lee, K.-S. Lee and J. -E. Kim (2002) Persistence and dislodgeable residues of chlorpyrifos and procymidone in lettuce leaves under greenhouse conditi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1:149-155. 

  6.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 (2012) Pesticide Use Guidelines. p.676, p.680. 

  7. Kwon, H. Y., J. B. Kim, H. D. Lee, Y. B. Ihm, G. S. Kyung, I. H. Park and J. Choi (2004) Estimate of pesticide in tomato varieties using ratio of surface area to weight.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8:30-37. 

  8. Lee, Y.-J., K.-Y. Ko, D.-J. Won, G.-H. Gil and K.-S. Lee (2003) Residue patterns of procymidone, chlorpyrifos, and cypermethrin in Peaches during cultivation and storage period.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2:220-226. 

  9. Lee, M. H., S. Y. Kang, S. Y. Lee, H. S. Lee, J. Y. Choi, G. S. Lee, W. Y. Kim, S. W. Lee, S. G. Kim and K. B. Uhm (2005) Occurrence of the B- and Q-biotypes of Bemisia tabaci in Korea. Korean J. Appl. Entomol. 44:169-175. 

  10. Martinez Vidal J. L., F. J. Egea Gonzalez, M. Martinez Galera and M. L. Castro Cano (1998) Diminution of Chlorpyrifos and Chlorpyrifos Oxon in Tomatoes and Green Beans Grown in Greenhouses. J. Agric. Food Chem. 46:1440-1444. 

  11.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s (2008) 2007 Vegetables production statistics. p.3-35. 

  12. Muhamad S. G. (2010) Kinetic studies of catalytic photodegradation of chlorpyrifos insecticide in various natural waters. Arabian Journal of Chemistry 3:127-133. 

  13. Park, Chang Gyu and 17 other people (1993) The biochemistry & uses of pesticides the 3rd edition. pp.113-143, Shinilbooks Publishing Co. Korea. 

  14.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3) Standard farming handbook-Sweet pepper cultivation. 

  15.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8) Standard farming handbook-Chilli pepper cultivation (revision). 

  16.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0) Safe pesticide application manual for exporting agricultural products pp.23. 

  17. Tomlin C. D. S. (2006) The Prsticide Manual 14th. British Crop Production Council. 

  18. Yeon, I. K., Y. S. Shin, J. E. Lee, J. D. Cheung, Y. H. Ryu and S. Y. Choi (2009) Incidence of Bemisia tabaci (Gonnadius) in winter season. Kor. J. Hort. Sci. Technol. 27:97-9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