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DE 및 SPME에 의한 냉이(Capsella bursa-pastoris Medicus)정유 및 Headspace 성분 분석
Analyses of Essential Oil and Headspace Compositions of Capsella bursa-pastoris Medicus by SDE and SPME Method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3 no.1, 2006년, pp.108 - 114  

최향숙 (덕성여자대학교 식물자원연구소) ,  강은진 (덕성여자대학교 식물자원연구소) ,  김건희 (덕성여자대학교 식물자원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적 기능성 외에 우리 국민에게 친숙한 향기를 지닌 냉이를 대상으로 식용 부위에 따른 향기성분을 SDESPM 방법으로 동시 분석하여 우리나라 고유 방향성 식물자원의 보다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SDE 방법으로 포집한 정유 성분과 SPME 방법으로 추출한 headspace 성분간에는 상당한 차이를 보였는데, 정유에는 headspace 성분보다 상대적으로 탄화수소의 함량이 적었고, 케톤류, 알콜류, 에스테르류 및 유기산류의 함량이 높았다. 특히 phytol은 잎의 정유에서, ethyl acetate는 뿌리의 정유에서 상당이 높게 확인되었다. 냉이 특유의 향기에 기여하리라 추정되는 함유 황 화합물은 정유에서 높게 나타났다. 냉이의 정유 성분에는 알코올류와 유기산류의 함량이 특히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ph발of과 1,2-benzenedicarboxylic acid에 기인하였다. 냉이 headspace에는 다량의 탄화수소류가 함유되어 있었고, 에스테르류 및 유기산류의 함량을 미량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volatile flavor compositions of the essential oil and the headspace of Capsella bursa-pastoris Medicus. Essential oil and headspace from the plant were extracted by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extraction (SDE), and solid-phase microextraction(SPME) met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온혈 동물에 투입하면 혈압 강하의 효과가 있으며(23), 유리 라디칼 소거능 및 항산화 효과에 대해서도 보고된 바 있다(3, 4).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적 기능성 외에 우리 국민에게 친숙한 향기를 지닌 냉이를 대상으로 식용 부위에 따른 향기 성분을 SDE 및 SPME 방법으로 동시 분석하여 우리나라 고유 방향성 식물자원의 보다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적 기능성 외에 우리 국민에게 친숙한 향기를 지닌 냉이를 대상으로 식용부위에 따른 향기성분을 SDE 및 SPME 방법으로 동시분석하여 우리나라 고유 방향성 식물자원의 보다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SDE 방법으로 포집한 정 유 성분과 SPME 방법으로 추출한 headspace 성분간에는 상당한 차이를 보였는데, 정유에는 headspace 성분보다 상대적으로 탄화수소의 함량이 적었고, 케톤류, 알콜류, 에스테르류 및 유기산류의 함량이 높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Teutonico, R.A. and Knorr, D. (1985) Amaranth; Composition, properties, and applications of a rediscovered food corp. Food Technol., 39, 49-60 

  2. 우원식 (1986) 천연물화학연구법. 믿음사, 서울, p.123 

  3. Hong, J.I., Kweon, M.H., Ra, K.S., Sung, H.C., and Yang, H.C.(1995)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Inhibitory Effects on Xanthine Oxidase by Ethanol Extract from Capsella bursa-pastori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38, 590-595 

  4. Kwak, J.H., Kweon, M.H., Ra, KS., Sang, H.C. and Yang, H.C. (1996) Purifica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er from Capsella bursa-pastori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184-189 

  5. Maeng, Y.S. and Park, H.K. (1991)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dodok (Codonopsis lanceolate).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311-316 

  6. Oh, M.J., Lee, K.S., Son, H.Y. and Kim, S.Y. Antioxidative component of Pueraria root.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793-798 

  7. Kim,J.S., Lee, G.D., Kwon, J.H., and Yoon, H.S.(1993) Antioxidative effectiveness of ether extract in Crataegus pirmatifida Bunge and Tenninalia chebula Ret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36, 203-207 

  8. Chang, Y.S., Choi, U.C., Shin, D.H. and Shin, J.I. (1992) Synergistic effect of Rhus jvanica Linne ethanol extract containing several synergist.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149-153 

  9. Aksoy, A., Hale, W.H.G. and Dixon, J.M. (1999) Capsella bursa-pastoris(L.) Medic. as a biomonitor of heavy metals. Th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226, 177-186 

  10. Birch, G.G. and Lindley, M.G. (1986) Developments in Food Flavours. Elsevier Applied Sciences Publishers Ltd., New York 

  11. Buttery, R.G. (1989) Importance of lipid derived volatiles to vegetable and fruit flavor. In: Flavor Chemistry of Lipid Foods, D.B. Min and T.H. Smouse(Ed),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Illinois, p.156-165 

  12. Chang, S.S. (1989) Food flavors: A scientific status summary by the institute of food technologists' expert panel on food safety & nutrition. Food Technol., 43, 99-106 

  13. Heath, H.B. (1986) Flavor Chemistry and Technology. Macmillan Publishers Ltd., U.K 

  14. Schultz, T.H., Flath, R.A., Mon, T.R., Eggling, S.B. and Teranishi, R. (1977) Isolation of volatile components from a model system. J. Agric. Food Chem., 25, 446-449 

  15. Simon, P.W., Lindsay, R.C. and Peterson, C.E. (1980) Analysis of carrot volatiles collected on porous polymer traps. J. Agric. Food Chem., 28, 549-552 

  16. Tennings, W. and Shibamoto, T. (1980) Qulitative Analysis of Flavor and Fragrance Volatiles by Glass Capillary Gas Chromatography. Academic Press, New York 

  17. Choi, H.S. and Min, K.C. (2003) Headspace analyses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by solid-phase microextraction using diverse fibers. Food Sci. Biotechnol., 12, 409-414 

  18. Bicchi, C., Drigo, S. and Rubiolo, P. (2000) Influence of fibre coating in headspace solid-phase microextractiongas chromatographic analysis of aroma and medicinal plant. J. Chromatogr. A., 892, 469-485 

  19. Slids, S.L., Polowy, K.B., Thomquest, A.D. and Burinsky, D.J. (2001) Identification of a pharmaceutical packaging off-odor using sold phase microextraction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J. Pharm. Biomed. Anal., 25, 379-386 

  20. 이창복 (1985)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p.395 

  21. 윤국병 (1989) 장중근. 몸에 좋은 산야초. 석오출판사, 서울, p.203 

  22. 윤국병 (1956) 임업경영총서. 중앙임업시험장, 서울, p.54 

  23. 육창수, 안덕균, 신순희, 도상학, 양한석, 이숙연, 유승조, 김태희, 정시련, 도정애, 문영희, 김일혁, 배기환, 노재섭, 김종원 (1983) 약품식물학각론. 한국학습교재사, 서울, p.187 

  24. Arctaner, S. (1969) Perfume and Flavor Chemicals. Montclair, New York 

  25. Heath, H.B. (1978) Flavor technology. Avi publishing Co. Inc., Connecticit, U.S.A., p.120 

  26. Heidals, J., Lehr, H., Idstein, H. and Schreier, P. (1984) Free and bound terpene compounds in papaya (Carica papaya L) fruit pulp. J. Agric. Food Chem., 32, 1020-1021 

  27. Fenaroli, G. (1975) Fenaroli's Handbook of Flavor Ingredients, 2nd ed. vol. I, II., T.E. Furia and N. Bellanca(Ed), CRC Press, Inc., U.S.A 

  28. 문범주 (1986) 식품첨가물. 수학사, 서울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