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HP 기법을 활용한 CRM 평가요소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
Establishing the Importance Weights of CRM Evaluation Factors through AHP analysis 원문보기

CRM연구, v.1 no.1, 2006년, pp.3 - 22  

김형수 (한국과학기술원 경영공학) ,  박찬욱 (경희대학교 국제경영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객관계관리(CRM)의 전략적 중요성이 증대함에 따라 CRM에 대한 성과평가가 최근 중요한 이슈로 등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RM 성과평가를 위한 개념적인 모델을 제시하고, 모델 내에 포함된 평가 관점과 평가요소들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여 전략적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성공적인 CRM 전략 수행을 위해 필요한 성공요인들을 광범위한 문헌연구와 각 계의 CRM 전문가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도출하고, CRM 성과평가를 위한 네 가지 평가 관점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28명의 CRM 전문가들에게 평가 항목들에 대한 이원비교 설문을 실시하였고, AHP 기법을 이용하여 평가 항목들간의 가중치를 산출하였다. AHP 분석 결과, 평가 관점들간의 상대적 중요도는 고객 관점, 재무적 성과 관점, 프로세스 관점, 그리고 인프라 관점 순으로 나타났고, 평가 요소들 간의 상대적 중요도는 재무적 성과 관점에서 고객 순자산 가치 (customer equity)가, 고객 관점에서는 고객 충성도(loyalty)가, CRM 프로세스 관점에서는 고객 관계 강화(expansion)가, 그리고 인프라 관점에서는 최고경영자의 태도와 CRM 목표의 명확성이 비슷한 수준으로 가장 중요한 요소임이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CRM) has been increasingly adopted by corporations as a core business strategy, measuring performance of CRM is becoming an important managerial issue recently. In this study, we present a conceptual framework formeasuring CRM performance, and provide strategic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양한 관점의 성공요인을 복합적으로 다루어야 한다는 점 외에도, 본 연구에서는 기본적으로 CRM 전략에 대한 실패 원인을 각 관점 별 성공요인의 존재 유무에 앞서 조직차원에서 CRM 전략을 관리, 평가, 운영할 수 있는 또 다른 조직적 장치(organizational device)의 부재에서 기인한다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CRM은 엄연히 기업의 핵심 비즈니스 전략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Srivastava et al.
  • 적절한 평가 관점과 평가 요소의 도출은 CRM 성과 평가 모형이 성공적인 CRM 전략 수행에 대한 완전한 설명력을 지향해야 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며, 평가요소들간의 중요도는 한정된 조직의 자원을 도출된 평가 요소들에 대해 어떻게 효과적으로 배분할것인지에 대한 가이드로서 중요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관점의 CRM의 성공요인을 포함한 CRM 평가 모형의 개념적 틀로서 이론적/실무적 차원에서의 평가 관점과 각 관점 별 평가 요소들을 도출하고, AHP 기법을 활용하여 각 평가요소들간의 중요도를 도출해보고자 한다.
  • 가령, 최고경영자의 CRM에 대한 관심과 지원은 직원들의 인지적인 측면을 평가하는 것 외에도 경영진의 CRM 에 대한 이해도를 직접 측정하거나, 사내 언론이나 발표에서 언급된 CRM에 대한 강조 수준, 또는 CRM에 대한 최고경영자의 물리적인 지원 정도를 통해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평가 항목간의 전략적 우선순위를 분석하는 것은 측정 지표 수준이 아닌 평가 요소 수준이 적합하다고 판단하여 본 연구에서는 측정 지표의 수준을 고려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만약 연구의 목적이 현재 연구에서 제시된 개념적 모델을 이용하여 구체적인 CRM 성과평가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라면 각 평가 요소를 반영할 수 있는 적절한 측정 지표들을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 본 연구는 최근 핵심적 경영전략 중 하나로 주목을 받고 있는 CRM 전략에 대한 성과평가를 목적으로 이를 위한 평가 관점과 항목들을 도출하고, 이들 간의 전략적 우선순위를 AHP 기법을 통해 산출하였다. 광범위한 관련 문헌들의 검토와 각 계의 CRM 전문가들과의 심화 인터뷰를 통해 성공적인 CRM 전략 수행을 위해 필요한 4가지 관점을 이론적 성과평가 프레임워크를 검토하여 도출하였고, 각 관점에 포함되는 총 17가지 평가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 이러한 성과평가 모형의 기본적인 조건을 만족시키고, CRM 문맥에 적용시킬 수 있는 성과평가 모형을 도출하기 위해 성과평가에 관련된 주요 프레임워크를 고찰해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시스템 분야의 IT business value (Melville et al. 2004), 마케팅 분야의 Service-profit-chain (Heskett et al. 1994), 그리고 조직 성과평가 분야에서 가장 많이 참조되고 있는 Balanced Scorecard (Kaplan and Norton 1992)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HP를 통한 문제해결 접근 방식을 설명하시오. AHP를 통한 문제해결 접근 방식은 크게 네 단계로 이루어진다. 첫째, 의사결정문제를 계층구조 (hierarchy)로 분해(decomposition)한다. AHP를 다기준하에서의 대안 선택문제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문제 상황을 전반적 목표(overall goal), 기준(criteria), 대안(alternatives) 등으로 계층화 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공적인 CRM의 수행”을 전반적인 목표로, 인프라, 프로세스, 고객, 조직성과 등 네 가지 차원을 근본 목표에 대한 일차적인 대안이자, 하위 평가 항목들에 대한 기준으로, 그리고 각 평가요소들은 해당 기준에 대한 하위 대안으로서 설정하였다. 둘째, 의사결정요소들간의 이원비교를 수행하고, 의사결정요소들간의 상대적 중요도 및 상대적 선호도를 고유치 방법(eigenvalue method)을 통해 산출한다. 이원비교는 n(n-1)/2 회의를 수행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네 가지 측정 관점간의 이원비교 6회, 세 가지 조직성과 관점의 평가 요소간의 이원비교 3회, 세 가지 고객 관점의 평가 요소간의 이원비교 3회, 세 가지 CRM 프로세스 관점내의 평가 요소간의 이원비교 3회, 그리고 여덟 가지 인프라 관점의 평가요소들간의 이원비교 28회를 각 응답자들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셋째, 판단의 일관성(judgmental consistency)을 측정한다. AHP는 의사결정자가 경험과 직관에 의해 주관적으로 측정하게 되는 정성적인 요소도 평가에 고려하기 때문에 판단의 완전한 일관성을 기대하지는 않으며, 이러한 판단의 불완전성을 일관성 지수(consistency ratio)에 의해 평가한다. 일반적으로, 일관성 비율이 0.1이하이면 의사결정자가 행한 이원비교가 상당한 일관성이 있다고 판단한다. 본 연구에서는 일차적으로 각 평가자의 일관성 지수를 확인하여 판단의 일관성이 존재할 경우에만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종합적인 일관성 지수를 분석 결과에 제시하였다. 마지막 단계는 계층구조의 종합화(synthesis)를 통해 대안 또는 평가요소들의 종합적 우선순위 및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도출된 각 대안 또는 평가요소들의 가중치는 비율척도이므로 의사결정상황이 대안 또는 평가요소들의 중요도에 따라 자원을 배분하는 문제일 경우 가중치에 따라 한정된 자원을 배분하는 기준으로서의 역할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AHP 분석 결과는 기업의 의사결정자로 하여금 CRM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전략적 우선순위에 따라 그들의 자원을 배분할 수 있는 의사결정 가이드로서의 역할을 제공한다.
AHP 기법은 누구에 의해 개발되었는가? 본 연구에서는 CRM 성과평가를 위한 평가요소들 간의 중요도를 단계적으로 산출하고, 이에 따라 평가 요소들의 전략적 우선순위를 제시하기 위해 AHP 기법을 사용한다.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은 Satty (1980)에 의해 개발된다기준 의사결정 모델(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model)로서, 의사결정 프로세스를 체계적으로 분해하고, 여러 평가항목의 가중치를 이원비교(pairwise comparison)을 통해 단계적으로 도출함으로써 대안들에 대한 합리적 평가를 지원할 수 있다.
성공적인 CRM 전략 수행을 이끄는 핵심성공요인(critical success factors)에 대한 연구는 어떠한 관점에서 이루어져왔는가? 성공적인 CRM 전략 수행을 이끄는 핵심성공요인(critical success factors)에 대한 연구는 크게 정보기술적인 관점, 비즈니스 프로세스적 관점, 그리고 인프라적 관점 등 3가지 관점에서 주로 다루어져왔다. 먼저 정보기술 관점의 성공요인은 기본적으로 정보기술과 같은 조직의 무형 자산(intangible assets)은 조직이 고유하게 갖는 문맥(context)에 따라 이질성(heterogeneity)을 갖고, 다른 자원과 복합(bundling)이 되었을 때 지속적인 경쟁력을 제공함으로써 조직의 성과에 기여한다는 자원 거점 이론(Resource-based theory)에 그 기반을 둔다고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