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해조류 중 홍조류에 속하는 참가사리를 추출, 분획하여 항발암효과를 측정하였다. 참가사리 분획물을 4종의 암세포주 HT29, HepG2, MCF-7 및 H16-F10에 처리하였을 때 암세포 증식 억제실험을 한 결과 대장암세포주인 HT29의 경우 GTMM층과 GTMB층에서 농도의존적인 효과가 나타났으며 첨가농도 $150{\mu}g/mL$에서 각각 93.64%와 74.14%의 수치를 보였다. 간암세포주인 HepG2의 경우 $150{\mu}g/mL$ 첨가시 GTMM층과 GTMB층이 각각 95.97%, 81.78%의 높은 증식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유방암세포주인 MCF-7에서는 GTMM층이 $120 {\mu}g/mL$$150{\mu}g/mL$ 첨가농도에서 각각 88.50%와 91.82%의 높은 암세포증식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피부암세포주인 B16-F10은 다른 세포주에 비해 미약하나 역시 GTMM층이 최종첨가농도에서 86.20%의 억제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4종의 암세포주의 증식억제는 전반적으로 GTMM층과 GTMB층에서 높은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한편 Western blot analysis를 통해 간암세포 주인 HepG2에서 GTMM층의 처리에 따른 pro-apoptosis Bcl-2 family의 발현증가를 볼 수 있었으며, PARP 분절과 연관된 caspase-3, 7의 활성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GTMM층은 apoptosis의 작용에 의한 세포사멸을 유도하며, 이러한 apoptosis의 기전으로는 최소한 caspase의 활성화에 따른 절단 PARP 단백질의 증가, Bad, Bax 등의 apoptosis 관여인자가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HepG2를 이용한 quinone reductase 유도활성여부를 측정한 결과 GTMM층이 $45{\mu}g/mL$$60{\mu}g/mL$의 시료첨가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해 각각 2.34, 2.86배의 QR 유도활성을 나타내었으며, GTMB층의 경우 최종첨가농도인 $60{\mu}g/mL$에서 2.04배의 효소활성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nticarcinogenic effects of extracts from Gloiopeltis tenax (GT). GT was extracted with methanol (GTM), which was then further fractionated into four fractions by using solvent fractionation method, affording methanol (GTMM), hexane (GTMH), butanol (GTMB) and aqueou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GTMM층의 처리가 apoptosis의 유발에 어떠한 기전을 통해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세포사멸에 관여하는 Bcl-2 family의 발현 여부에 미치는 GTMM층의 영향을 알아보았다. Apoptosis 유발에 대표적인 Bel-2 family 유전자 중 pro-apoptotic 분자인 Bad, Bax 등은 mitochondria로부터 cytochrome C와 같은 apoptosis 유발에 관여 하는 인자를 조절하며 이들은 또한 종양억제 유전자 p53, caspase 및 DNA 단편화와 연관된 endonuclease 등의 활성을 조절하게 되고 이 dimer들의 발현수준 변화는 apoptosis 유발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20-22).
  • 특히 해 양식 물 중 홍조류인 첨 가 시료의 양은 적 채, 쑥부쟁이 등 다른 육상생물(13, 14)에 첨가한 시료 양의 약 1/3에 해당되는 낮은 농도에서 높은 암세포 성장 억 제효과를 보였으며 또한 최종첨 가농도 500 Ug/mL인 모자반, 미 역귀 등 다른 해조류(15, 16)의 실험결과와 비교해보았을 때도 그 효과는 월등히 높았다. 그리고 암세포 성장저지를 일으키는 참가사리의 생리활성 물질은 약한 극성물질이 녹아있는 GTMM층과 일부 극성물질이 녹아있는 GTMB층에 주로 존재한다고 추측해 볼 수 있었으며 이 층에서의 구조적 분석과 암세포 성장을 저지시키는 물질의 존재가 주목되는 바이다.
  • 또한 육상생 물은 이 미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해양생물은 아직 제한된 연구로인하여 미지의 천연물질의 개발에 대한 기대가 높이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식용으로 애용되는 해조류 중홍조류에 속하는 참가사리 분획물의 생리활성을 이용한 암세 포 성 장저 지 및 QR 유도활성 효과를 연구함으로써 식 품이가지는 식의약 생리활성기능을 암 예방 차원에서의 역할을검토하여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 본 실험 에서는 4종의 암세포주에 대한 참가사리 분획물의암세포 증식 억 제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MTT assay를 행하였다. 실험 에는 대장암세포주인 HT29, 간암세포주인 HepG2, 유방암세포주인 MCF-7 및 피부암세포주인 B16-F10이 사용되었으며, 실험결과는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Wynder EL, Gori GB. 1997. Contribution of environment to cancer medicine. J Natl Cancer Inst 58: 826-832 

  2. Reddy L, Odhav B, Bhoola KD. 2003. Natural products for cancer prevention a global perspective. Parmacol Ther 99: 1-13 

  3. Hartwell LH, Weinert TA. 1989. Checkpoint: controls that ensure the order of cell cycle events. Science 246: 629-634 

  4. Banner SE, Pastorino U, Lippman SM, Hong WK. 1994. Second international cancer chemoprevention conference. Cancer Res 54: 854-860 

  5. Chiarugi V, Magnelli L, Cinelli BG. 1994. Apoptosis and the cell cycle. Cell Mol Biol Res 40: 603-612 

  6. Antonsson B, Martinou JC. 2000. The Bcl-2 protein family. Exp Cell Res 256: 50-57 

  7. Reed JC. 1998. The Bcl-2 family proteins. Oncogene 17: 3225-3236 

  8. Ha YL, Michael WP. 1981. Naturally-occuring novel anticarconogenes: Conjugated dienoic derivatices of linoleic acid (CLA). J Korean Soc Food Nutr 20: 401-407 

  9. Chihara G, Hamuro J, Maeda Y, Arai Y, Fukuoka F. 1970. Fractionation and purification of the polysaccharides with marked antitumor activity, especially lentinan, from Lentinus edodes (Berk.) Sing. Cancer Res 30: 2776-2781 

  10. Alley MC, Scuiero DA, Monks A, Hursey ML, Czerwinski MJ, Fine DL, Boyd MR. 1988. Feasibility of drug screening with panel of human tumor cell line using a microculture tetrazolium assay. Cancer Res 48: 589-601 

  11. Carmichael J, Degraff WG, Gazder AF, Minna JD, Mitchell JB. 1987. Evaluation of a tetrazolium based semiautomated colorimetric assay: assessment of chemosensitivity testing. Cancer Res 47: 936-942 

  12. Prochaska HJ, Santamaria AB. 1988. Direct measurement of NAD(P)H: Quinone reductase from cells cultured in mic-rotiter wells: A screening assay for anticarcinogenic en-zyme inducers. Anal Biochem 169: 328-336 

  13. Park YJ, Jeon KH, Kim SH, Bae SJ. 2004. The effect on antimicrobial and cytotoxicity of Brassica oleracea L. fractions. J Life Sci 14: 567-572 

  14. Jung BM, Lim SS, Park YJ, Bae SJ. 2005. Inhibitory effects on cell survival and quinone reductase induced activity of Aster yomena fractions on human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8-12 

  15. Bae SJ. 2004. Studies on th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Chondria crassicaulis. J Life Sci 14: 411-416 

  16. Bae SJ. 2004. Anticarcinogenic effects of Sargassum fulvellum fractions on several human cancer cell lines in vitr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480-486 

  17. Rocha AB, Lopes RM, Schwartsmann G. 2001. Natural products in anticancer therapy. Curr Opin Pharmacol 1: 364-369 

  18. Tounekti O, Pron G, Belehradek J, Mir LM. 1993. An apoptosismimetic drug that induces two types of cell death depending on the number of molecules internalized. Cancer Res 53: 5462-5469 

  19. Lee JH, Lee E, Park J, Kim J. 2003. In vivo p53 function is DNA damage-induced apoptotic signaling in Drosophlia. FEBS Letters 550: 5-10 

  20. Chiarugi V, Magnelli L, Cinelli BG. 1994. Apoptosis and the cell cycle. Cell Mol Biol Res 40: 603-612 

  21. Antonsson B, Martinou JC. 2000. The Bcl-2 protein family. Exp Cell Res 256: 50-57 

  22. Reed JC. 1998. Bcl-2 family proteins. Oncogene 17: 3225- 3236 

  23. Kaufmann SH, Desnoyers S, Ottaviano Y, Davidson NE, Poirier GG. 1993. Specific proteolytic cleavage of poly (ADP-ribose)polymerse: an early marker of chemotherapy-induced apoptosis. Cancer Res 53: 3976-3985 

  24. Steinhusen U, Badock V, Bauer A, Behrens J, Wittman- Liebold B, Dorken B, Bommert K. 2000. Apoptosis-induced cleavage of $\beta$ -catenin by caspase-3 result in proteolytic fragments with reduced transactivation potential. J Biol Chem 275: 16345-16353 

  25. Han EK, Arber N, Yamamoto H, Lim JT, Delohery T, Pamukcu R, Piazza GA, Xing WQ, Weinstein IB. 1998. Effects of sulindac sulfide and its matabolites on growth and apoptosis in human mammary epithelial and breast carcinoma cell lines. Breast Cancer Res Treat 48: 195-203 

  26. Jeon KH, Shin MO, Bae SJ. 2005. A study on the effects of anticarcinogenic activity of Chondria crassicaulis. Korean J Nutr 38: 503-511 

  27. Bae SJ. 2005. Anticarcinogenic and antioxidant effects of Rhodiola sachalinens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302-13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