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도권 거주 노인들의 여가활동 유무에 따른 정신건강 수준, 식생활 실태 및 영양상태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Mental Status, Dietary Life and Nutritional Status among Senior Citizens With or Without Leisure Activities in Urban A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5 no.4, 2006년, pp.422 - 429  

김윤혜 (중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하태열 (한국식품연구원 식품기능연구본부) ,  이복희 (중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여가활동 여부가 노인들의 정신건강 수준, 식생활 및 영양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경기도 수원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남 여 노인 104명(여가활동을 하는 노인과 하지 않는 노인 각각 82명씩)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조사항목은 노인 대상자의 일반 환경 요인, 생활습관, 정신건강 수준, 식생활 및 영양소 섭취 등이다 일반환경요인으로는 연령, 성별, 가족관계, 교육정도, 한달 용돈, 용돈의 출처, 직업의 유무와 종류, 주거형태를, 생활습관으로는 음주, 흡연, 수면시간을, 식습관 특성으로는 식사의 규칙성, 결식 여부와 이 유, 식욕정도, 식사소요시간, 식사량, 저작형태 및 치아상태 등을 조사하였다. 영양소 섭취 상태 조사는 24시간 회상법으로, 정신건강 수준은 한국어판 우울증검사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노인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72세정도로서 여가활동을 하는 노인들은 여가활동을 하지 않는 노인들에 비해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이 높았고 용돈도 많아 경제수준이 높았으며, 노령임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일을 가지고 있는 비율이 더 높았다. 생활습관의 경우 여가활동을하지 않는 노인의 경우 음주와 흡연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우울증 검사결과, 여가활동을 하지 않는 노인에서 우울증의 비율이 훨씬 높았다. 식생활습관에서도 여가활동을 하지 않는 노인의 경우, 불규칙인 식습관을 갖는 노인의 비율이 높았고, 식욕은 보통정도였으나 식사장애요인이 더 많았으며, 치아상태가 불량하여 식사를 제대로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량 섭취량은 여가활동을 하는 노인이 하지 않는 노인에 비해 약 300 kcal 정도 많았으나 전체 노인 대상자들은 한국인 영양권장량에 비해 적게 섭취하고 있었다. 개별 영양소 섭취량의 경우 여가활동을 하는 노인에서는 아연과 비타민 $B_2$를 제외하고는 영양소 섭취상태가 매우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가활동을 하지 않는 노인의 경우는 대부분의 영양소 섭취량이 매우 낮아 영양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노인의 경우 여가활동을 하는 노인들은 여가활동을 하지 않는 노인에 비해 정신건강 수준, 생활습관, 식생활습관 및 영양소 섭취상태가 매우 좋았는데 반해 여가활동을 하지 않는 노인들은 음주와 흡연율이 높고, 불규칙적인 식습관과 심리적인 식사장애요인을 가지고 있었으며, 식사섭취방법이 불량하고 영양소 섭취량도 매우 낮아 심각한 영양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노인기의 적절한 여가활동은 육체적, 정신적 건강 유지에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되며, 노인 스스로 건강한 생활양식으로의 태도 변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노인복지를 위한 적극적인 정책이나 영양개선 방안을 수립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aims to examine that regular leisure activity of the elderly has a beneficial effect to enhance their health condition. The elderly subjects of 164 (82 of elderly who do leisure and 82 of elderly who do not leisure) aged over 60 years in Suwon area were employed. Survey questionnaires w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노인의 여가활동 유무에 따라 노인의 정신건강 상태, 식생활 및 영양상태가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보고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의 규칙적인 여가활동이 건강을 증진시킬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인 여가활동을 하는 노인은 노인대학, 문화센터 및 취미활동을 할 수 있는 스포츠센터 를 다니 는 분으로, 여 가 활동을 하지 않는 노인의 경우는 '개인적 여가활동'을 하시는 분으로 한정하여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여가활동 여부가 노인들의 정신건강 수준, 식 생활 및 영양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경기도 수원 에 거 주하는 60세 이상의 남 . 여 노인 164명 (여 가 활동을 하는 노인과 하지 않는 노인 각각 82명씩)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0.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5. Estimated population of the future 

  3. The Office of Statistics. 2005. World and Korean Vital Statistics 

  4. Yoon HJ. 2004. The assessment of dietary behavior and nutritional status of the elderly and effects of meal service and nutrition education on nutritional status of the elderly in risk of malnutrition. MS Thesis. Pusan Nutional University 

  5. Kim HY, Yang EJ, Won HS. 1997. Management of food service and health care in long-term care in Korea food service and health care. Korean J Food and Culture 2: 331-339 

  6. Won HS. 1997. Effect of age-related changes in taste perception on nutritional status and validation of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the Korean elderly. PhD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7. Oh SY. 2000. Analysis of methods on dietary quality assessment. Korean J Community Nutr 5: 362-367 

  8. Nam KM. 2004. The promotion measures of well-being in old age. Social Science Essays 26: 125-141 

  9. Kim HK, Yoon JS. 1989. A study on the nutritional state and health condition of elderly women living in urban community. Korean J Nutr 22: 175-184 

  10. Kang NY. 1993. Effects of blood glucose level and nu-tritional status on cognitive function in the elderly. PhD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11. Jung JE. 1991. Effects of nutritional status of the elderly Korean on the aging process. PhD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12. Kim EJ, Jang NS, Kim JM. 1999. Nutritional state and dietary behavior of the free-living elderly women. Korean J Food and Culture 14: 155-165 

  13. Shin BC, Park JH, Kim HJ. 2004. The relationships between health related physical fitness and mental health in older adult. Korea Sport Res 15: 1735-1744 

  14. Song YH. 2001. A study on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mental health,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Korean J Mental Nursing 10: 473-483 

  15. Kang JC, Lee CH. 2000. The effect of older adult's regular physical on mental health. Korea J Sport Sci 39: 209-216 

  16. Kim JH, Lee MJ, Moon SJ, Shin SC, Kim MK. 1993. Ecological analysis of food behavior and life-styles affecting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in Korea. Korean J Nutr 26: 1129-1137 

  17. Lee JW, Kim KE, Kim KN, Hyun HJ, Park YS. 2000. Evaluation of the validity of a simple screening test developed for identifying Korean elderly at risk of under nutrition. Korean J Nutr 33: 864-872 

  18. Kang NY, Cho MS. 1994. A study on nutritional status and its related factors in elderly Koreans with ages. Korean J Food and Nutr 7: 361-372 

  19. Sung YS, Ko DW, Jung JH. 1996. Psychological meaning of leisure. Korea J Psychology 9: 17-40 

  20. Lee KY. 2002. Social activities in later life in Korea focus on leisure and volunteer activities. Korea J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 5: 1-22 

  21. Shin SC, Kim MK, Yoon KS, Kim JH, Lee MS, Moon SJ, Lee MJ, Lee HY, Ryu KJ. 1991. Its use in Korea standardization and factor structure of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Korean J Neuropsychiatry 30: 752-767 

  22. Cho MJ, Kim KH. 1993. Diagnostic validity of the CES-D (Korean version)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Korean J Neuropsychiatry 32: 381-399 

  23. Lee YS, Kim HK. 2002. Nutritional status and cognitive status of the elderly using public health center in Ulsan. Korean J Nutr 35: 1070-1080 

  24. Kim JH, Kang SA, Ahn HS, Jung IK, Lee LH. 1998.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dietary patterns in Korean elderly women. Korean J Nutr 31: 1457-1467 

  25. Cho YS, Lim HS. 1991. A survey on the food habit and health of the aged in a middle c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 346-353 

  26. Lee MS, Nam JW, Cha JH, Kwak DI. 1999. Factors affecting the severity of depressive symptoms in the elderly.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38: 1063-1070 

  27. Yang KM. 2005. A study on nutritional intake status and health-related behaviors of the elderly people in Gyeongsan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018-1027 

  28. Kim KN, Hyun T, Lee JW. 2000. Development of a simple screening test for identifying Korean elderly at risk of undernutrition. Korean J Community Nutr 5: 475-483 

  29. Kim JH, Koo BK, Kim KJ, Baek JW, Lee YK, Lee SK, Lee HS. 1999. Characteristics of eating behaviors of the long-lived elderly people in Kyungpook Sung-Ju. Korean J Community Nutr 4: 219-230 

  30. Korean Nutrition Society. 2000. The 7th Version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for Koreans 

  3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2. Report on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health behavior survey, Seoul 

  32. Park MK, Lee KH, Yoon HS. 2001. Nutrition status of the rural elderly living in Kyungnam-focusing on health-related habits, dietary behaviors of nutrient intakes. Korean J Community Nutr 6: 527-541 

  33. Kim KN, Lee JW, Park YS, Hyun TS. 1997. Nutritional status of the elderly living in Cheongju-I. Health-related habits, dietary,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s. Korean J Community Nutr 2: 556-5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