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경기 중년여성의 폐경단계에 따른 건강지각, 신체상, 성기능 및 우울
Health Perception, Body Image, Sexual Function and Depression in Menopausal Women according to Menopausal Stages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6 no.3, 2006년, pp.449 - 456  

김정희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대학) ,  문현숙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health perception, body image and sexual function on depression according to the menopausal stage in Korean middle aged women. Methods: Subjects were 182 peri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who had not received hormonal rep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중년 여성의 폐경단계에 따른 건강지각, 신체상, 성기능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폐경기 중년 여성의 건강지각, 신체상, 성기능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폐경단계에 따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폐경기 중년 여성의 폐경단계에 따른 건강지각, 신체상, 성기능, 우울을 비교하고, 건강지각, 신체상, 성기능이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폐경단계에 따라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2004년 4월부터 5월까지 서울, 부산, 춘천에 소재한보건소, 문화센터를 방문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45-65세 폐경기 중년 여성 중 연구의 참여에 동의한 18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들 변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폐경단계에 따라 파악하여 폐경기 중년 여성의 건강관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폐경기 중년 여성의 건강지각, 신체상, 성기능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폐경단계에 따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n, H. O. (2001). Women's body and women's age. Seoul : Ddohanaeimunhwa 

  2. Avis, N. E., & McKinlay, S. M. (1995). The massachusetts women's health study: an epidemiologic investigation of the menopause. J Am Med Womens Assoc, 50, 45-49 

  3. Battle, J. (1978).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depression. Psychol Rep, 42, 745-746 

  4. Berman J. R., Berman, I., & Goldstein, I. (1999). Female sexual dysfunction: incidence, pathophysiology, evaluation and treatment options. Urology, 54, 385-391 

  5. Chon, J. S. (1999). Depression in women. Eldery Psych Med, 3(2), 129-139 

  6. Chon, K. K., & Rhee, M. K. (1992). Preliminary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CES-D. Korean J Clin Psychol, 11(1), 65-76 

  7. Deeks, A. (2002). Sexual desire: menopause and its psychological impact. Aust Fam Physicia, 31(5), 433-439 

  8. Deeks, A. A., & McCabe, M. P. (2004). Well-being and menopause: an investigation of purpose in life, self-acceptance and social role in premenopausal, peri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Qual Life Res, 13(2), 389-398 

  9. Engel, N. S. (1987). Menopausal stage, current life change, attitude toward women's roles, and percieved health status. Nurs Res, 36(6), 353-357 

  10. Ha, J. Y. (2001). A study on the menopausal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in middle aged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1. Jang, H. S. (1982). A study of the influence of illness on body image and self concept specifically in children with asthma. Korean Acad Nurs, 12(2), 80-90 

  12. Kim, H. J. (2003). Relationship between body composi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in postmenopausal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3. Kim, H. S. (2000). A study on the lifestyle and health status of middle aged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4. Kim, J. H., Bae, K. E., Moon, H. S., & Kang, H. I. (2005). The relationships among body image, depression and sexual function in postmenopausal women. J Korean Acad Adult Nurs, 17(2), 239-247 

  15. Kim, W. H., & Cha, Y. I. (1999). Sexualtiy in middle age. Pusan : Pusan University Press 

  16. Koh, S. B., Chang, S. J., Kang, M. G., Cha, B. S., & Park, J. K. (1997). Reliability and validity on measurement instrument for health status assessment in occupational workers. Korean J Prev Med, 30(2), 251-266 

  17. Lee, D. O. (2004). A study on women's preparation for senescence and health. Korean J Women's Health Nurs., 5(2), 139-161 

  18. Lion, E. M. (1982). Human sexuality in nursing process. New York: Wiley 

  19. Miller, B., Cambell, R. T., Farran, C. J., Kaufman, J. E. & Davis, C. (1995). Race, control, mastery and caregiver distress. J Gerontol : Soc Sci, 50, 374-382 

  20. National Statistic Office (2000). Annual report on the population 

  21. Osinowo. H. O. (2003). Psychosocial factors associated with perceived psychological health, perception of menopause and sexual satisfaction in menopause women and control. West Afr J Med, 22(3), 225-231 

  22. Park, C. S., Oh, J. A., & Yeoum, S. G. (2001). A study of symptom of health and fatigue-regulation behavior in middle-aged women. Korean J Women Health Nurs, 7(4), 447-458 

  23. Park, N. C. (2000). Sexual dysfunction in menopause women. Koeanr J Androl, 18(2), 99-104 

  24.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 Psychol Meas, 1, 385-401 

  25. Rasgon, N., Shelton, S., & Halbreich, L. (2005). Perimeno¬pausal mental disorders: epidemiology and phenomenology. CNS Spectr, 10(6), 417-418 

  26. Rosen, R., Brown, C., Heiman, J., Leiblum, S., Meston, C., Shabsigh, R., Ferguson, D., & D'agostino, R. Jr. (2000). The female sexual function Index(FSFI): a multidimensional self-report instrument for the assessment of female sexual function. J Sex Marital Ther, 26, 191-208 

  27. Shin, K. R. (1999). A study on depression among mid-aged women. J Korean Acad Adult Nurs, 11(4), 858-868 

  28. Wassenr, A. (1982). The impact of mutilating surgery or trauma on body image. Inte Nurs Rev, 29(3), 86-90 

  29. Ware, J. E., & Sherbourne, C. D. (1992). The MOS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SF-36); 1 conceptual framework and item selection. Med Care, 30, 473 

  30. Yoo, H. S. (2003). Predictors of female sexual dysfunction.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