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정간호수가 적정성 검증 및 수가체계 개선 방안
Test on the Cost and Development on the Payment System of Home Health Care Nursing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6 no.3, 2006년, pp.503 - 513  

유호신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  정기선 (경희대학교 의료경영학과) ,  임지영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focused on analysing costs per home health care nursing visit based on home health care nursing activities in medical institutes. Method: The data was collected in three stages. First, the cost elements of home health care nursing services were collected and 31 home care nurses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Allen, & Easley, 1997)를 이용하였다. 도구는 1977년부터 미국과 캐나다 전역에서 가정간호사업소나 지역사회 보건기관의 가정 간호책임자가 간호업무를 계획, 모니터링,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단순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본 도구에서 의미하는 가정간호 직접서비스량은 환자나 그 가족에게 직접 제공한 모든 간호활동을 의미하고, 가정간호업무량은 가정간호 직접 서비스량을 제외한 가정간호사의 모든 업무활동을 의미한다.
  • 본 연구는 가정간호사업소의 실제 투입 원가요소를 반영한 가정간호원가를 산출하여 가정간호원가가 보존될 수 있는 적정수준의 가정간호수가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가정간호원가산출방법을 적용하여 집계된 최종 가정간호 원가는 2004년도 원가투입요소를 기준으로 방문 당 65, 189원으로 산출되었다.
  • 본 연구는 가정간호원가를 산출하고 이에 기초하여 현 가정 간호수가의 적 정성 을 검증하고 합리 적 인 가정간호수가체계 개선방안의 제시를 목적으로 한 정책대안연구이다. 이를 위해 전문가 자문과 실무자 초점집단토의를 실시하고, 가정간호사와 주치의 등을 대상으로 우편설문조사와 가정간호기록지와 진료비 명 세서 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병원의 규모와 지역적 안배를 고려하여 전국 125개 가정간호사업소 중 11개 가정간호사업소를 대상으로 가정간호원가 산출에 필요한 가정간호업무와 투입비용을 분석하였다. 산출결과, 방문당 가정간호수가는 [기본방문료 35, 090원 + 교통비 15, 536원 + 개별행위료 (a) ]로 상향조정되어야 함이 확인되었다.
  • 본 연구는 의료기관 가정간호수가가 국민건강보험제도권 내에서 운영된 지 10년이 경과된 현 시점에서 가정간호사업소의 실증자료를 분석하여 가정간호특성이 반영된 원가를 산출하고, 이에 기초한 가정간호수가의 적정성을 검증하고 나아가 가정간호수가체계의 문제에 기초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가정간호 서비스 단위 즉 1회 방문당 투입된 실제자원의 모든 가치를 원가산정의 기본틀에 따라 2004년도를 회계단위로 하여 계산해 낸 결과를 의미한다.
  • 종합적으로 진단하여 그 해결책이 모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가정간호의 특성과 원가투입요소가 반영된 가정간호 원가를 산출하여 산출된 원가수준과 현재의 가정간호 수가간의 차액을 통한 가정간호수가의 적정성을 검증하고, 나아가 가정간호수가체계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 그리고 현재의 가정간호수가체계는 국민건강보험적용 횟수의 월 단위 제한과 전반적으로 낮은 수가 수준, 그리고 기본방문료의 경우 첫방문과 재방문의 수가 구분 없이 동일한 비용이 적용되고 있는 점 등이 시정되어야 할 주요 과제로 도출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의료기관에 가정간호사업이 도입된 지 10여년 이상 경과된 현 시점에서 가정간호 수가와 수가체계를 점검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여 그 개선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가정간호사업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며, 다음 몇 가지 관점에서 시급히 시정되어야 할 정책과제로 도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hiu, L., Shyu, W., & Liu, Y. (2001). Comparisons of the cost-effectiveness among hospital chronic care, nursing home placement, home nursing care and family care for severe stroke patients. J Korean Acad Nurs, 33(3), 380-386 

  2. Chiu, L., Tang, K., Shyu, W., Huang, C., & Wang, S. (2000). Cost analysis of home care and nursing home services in the southern Taiwan area. Pub Health Nurs, 17(5), 325-335 

  3. Finkler, S. A. (1982). The distinction between cost and charges. Ann Intern Med, 96, 102-109 

  4. Korea Institute Health And Social Affairs (1994). A study on development of a model and payment system for home health care nursing in Korea 

  5. Korea Institute Health And Social Affairs (1999). An evaluation study on home health care nursing in Korea 

  6. Kim, M. J. (2000). Cost analysis of community-based home health care versus hospital-based home health care. Unpublished master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7. Jung, K. S. (2003). Hospital financial management, 5th Edi. Jungwoo co 

  8. Lee, T. H., Park, J. S., & Kim, I. S. (2000). Workload measurement of home health care nurses services using relative value units. J Korean Acad Nurs, 30(6), 1543-1555 

  9. Lee, S. J. (2003). Cost analysis of home health care with activity-based costing(ABC).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0. Lee, S. J., Lee, S. H., & Seo, J. H. (2001). Hospital accounting. Seoul: Imagination 

  1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4). 2004 Guide on the Institution base home health agency management 

  12. Park, J. S. (1999). An evaluation research of home health care payment system,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3. Ryu, S. H. (1998). Hospital management - Theory and practice. Seoul: Soomoonsa 

  14. Ryu, H. S. (1994). A study on development of a model and payment system for home health care nursing in Ko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5. Ryu, H., An, J., & Koabyashi, M. (2005). Home health nursing care agenda based on health policy in Korea, Nurs Health Sci, 7(2), 92-98 

  16. Storfjell, J. L., Allen, C. E., & Easley, C. E. (1997). Analysis and management of home health nursing caseloads and workloads. J Nurs Admin, 27(9), 24-33 

  17. Whang, N. M. (1998). Current status and policy agenda on home health care payment system, Health and Welfare Forum, 9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