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통안전진단 결과분석을 통한 교통사고 요인분석 - 사고자 요인을 중심으로 -
A Factor Analysis of Traffic Accidents Through Traffic Safety Diagnosis Results - Driver Factor -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21 no.2 = no.74, 2006년, pp.128 - 137  

이환승 (동국대학교 안전공학과) ,  안병준 (동국대학교 안전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raffic accidents occur due to complex influences of transportation companies, drivers, and road environment. This study found that education and surroundings for transportation companies, driving habits of drivers, and road safety facilities and accessory facilities were main factors that affec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교통안전공단에서 1999년부터 현재까지 대형교통사고 발생업체와 교통사고 다발 업체를 중심으로 실시한 교통안전진단자료(2003년 자료)를 토대로 교통사고 원인을 운전자 중심으로 분석하고 향후 효율적이고 실질적인 교통안전진단에 활용하고 궁극적으로는 교통사고를 감소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위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교통사고의 대부분은 자동차를 운전하는 운전자의 부주의에 의해서 일어나고 있음을 볼 때 운전자가 조금만 조심하여 운전을 한다면 그 대부분의 교통사고는 방지될 수 있다는 전제 하에 운전자 요인이 교통사고 건수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는지의 분석을 통해 교통사고 원인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고려할 때 '2003 교통안전진단'에서 진단된 '교통 사고업체', '교통사고자(운전자)', '교통사고'의 3개 data를 기초로 보다 정확한 교통사고 원인을 도출하기 위하여 이들을 하나의 통합 data로 구성하였다.

가설 설정

  • 이 회귀 계수의 유의도는 0.045 로서 90%의 신뢰수준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기 때문에 은에 부적인 영향력(-0.101)을 준다는 가설을 받아들인다.
  • 이 회귀계수의 유의도는 0.0기로서 90%의 신뢰 수준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기 때문에 는 에정적인 영향력(0.097)을 준다는 가설을 받아들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도철웅, 교통공학원론(상), 1995.12 

  2.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심리과학연구소, 운전적성 검사 개발(최종보고서), 2000.12 

  3. 교통안전공단, 교통안전관리실무요령, 1989.12 

  4. 사례중심다변량분석론, 최평길 외, 나남출판, 2000. 10 

  5. 연구조사방법론, 이경희, 민영사, 2004.3 

  6. 사회과학데이터분석법, 오택섭, 최현철 공저, 나남출판, 2003.6 

  7. 변량분석과 회귀분석, 박광배, 학지사, 1999 

  8. 다변량 자료분석의 이해와 활용, 양병화, 학지사, 1998 

  9. 현대통계학, 김우철 외 8인, 영지문화사, 1998 

  10. Avolio, B. J., Kroec, K. G., & Penek, P. E., Individual differences in informational-processing ability as a predictor of motor vehicle accidents Human Factor, 27, 577-588, 1985 

  11. Heinrich, H.,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New York : McGraw-Hill, 1959 

  12. McGurie, F. L., Personality factors in highway accidents. Human Factors, 18, 433-422, 1976 

  13. Rockwell, T., Skills, judgement, and information acquisition in driving. In T.W. Forbes(Ed.), Human Factors in Highway Traffic Safety Research. New York: Wiley Interscience, 134-164, 197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