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기온 상승이 식생분포에 미치는 영향 - 대나무와 마늘을 중심으로 -
The Impact of Temperature Rising on the Distribution of Plant - in Case of Bamboos and Garlics -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15 no.1, 2006년, pp.67 - 78  

허인혜 (건국대학교 이과대학) ,  권원태 (기상청 기상연구소 기후연구실) ,  전영문 (건국대학교 이과대학) ,  이승호 (건국대학교 이과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lobal warming brings about changes of diverse environmental, especially changes of plant distribu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ture rise and changes of northern limit of vegetation growth in Korea. Bamboos (Phyllostachys) and boundary between the nor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경우 한지형 마늘 재배를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한지형 마늘의 분포를 더 우선시 하였다. 또한 조사된 마늘의 분포와 관련된 기후 요소의 분포도를 작성하기 위하여 마늘의 생육과 관련된 다양한 기온 관련 자료들을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마늘 품종별 분포와 기후 요소간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온의 영향이 그 분포에 잘 반영되는 것으로 알려진 대나무와 마늘을 사례로 선정하여, 왕대속 대나무류와 품종별 마늘의 분포를 파악하고 각각의 북한계와 경계를 제시하여 그 분포와 기온 상승과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대나무와 마늘을 사례로 최근의 기온 상승이 식물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문헌과 현지답사 등을 통하여 얻은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연평균 강수량은 얼마인가? 그러므로 최한월 평균기온과 최난월 평균기온, 그리고 강수량과 강수량의 계절별 분포 등의 영향으로 그 분포가 상이하다. 우리나라의 연평균 강수량은 약 1,200mm로 비교적 많은 편이며, 울릉도를 제외하면 그 계절별 분포가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에 식물의 분포는 강수량보다는 기온의 영향이 더 크게 작용한다. 특히 최한월인 1월의 기온이 식생과 작물의 분포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임양재, 1991).
식물의 분포가 강수량보다는 기온의 영향에 더 크게 작용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므로 최한월 평균기온과 최난월 평균기온, 그리고 강수량과 강수량의 계절별 분포 등의 영향으로 그 분포가 상이하다. 우리나라의 연평균 강수량은 약 1,200mm로 비교적 많은 편이며, 울릉도를 제외하면 그 계절별 분포가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에 식물의 분포는 강수량보다는 기온의 영향이 더 크게 작용한다. 특히 최한월인 1월의 기온이 식생과 작물의 분포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임양재, 1991).
온대 남부 지역의 특징 식생으로 대나무대(Bamboo zone)를 설정한 것은 무엇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는가? Lautensach(1935)는 온대 남부 지역의 특징 식생으로 대나무대(Bamboo zone)를 설정한 바 있다. 이는 대나무가 한반도 남부 지역에 특징적으로 분포하므로 중부 지역과 경계를 지을 수 있는 식생 인자로 고려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대나무의 분포와 생육은 상대적으로 타 수종에 비하여 기온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으며, 또한 분포 지역의 기후 요소 중 특히 기온을 잘 반영하는 지표 수종이다(공우석, 198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공우석, 1985, 한반도의 대나무류 분포와 그 환경요인에 관한 식물지리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8, 89-98 

  2. 공우석, 2001, 대나무의 시.공간적 분포역의 변화, 대한지리학회지, 36, 444-457 

  3. 기상연구소, 2002, 기후 변화협약대응 지역기후시나리오 산출기술개발(I), 기상연구소 

  4. 문영수, 1990, 클러스터분석에 의한 한국의 강수지역 구분, 한국기상학회지, 26(4), 203-215 

  5. 박원규, 최덕규, 김영근, 2001, 마늘파종기 개발에 관한 연구(I) -마늘의 파종실태 및 물리적 특성 조사-, 한국농업기계학회지, 26(6), 495-502 

  6. 윤성호, 임정남, 이정택, 심교문, 황규홍, 2001, 기후 변화와 농업생산의 전망과 대책, 한국농림기상학회지, 3(4), 263-274 

  7. 윤진일, 2002, 우리나라의 기온상승-도시효과인가 지구온난화인가, 한국농림기상학회지, 4(1), 58-63 

  8. 이명인, 강인식, 1997, 한반도의 기온 변동성과 온난화, 한국기상학회지, 33(3), 429-443 

  9. 이승호, 2003, 우리나라의 동.서해안의 기온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39(1), 43-57 

  10. 이승호, 이경미, 2003, 기온 변화에 따른 벚꽃 개화 시기의 변화 경향, 환경영향평가학회, 12(1), 85-99 

  11. 이우승, 1994, 한국의 채소, 경상북도대학교 출판부, 532pp. 

  12. 임양재, 1973, 한반도 수종의 수직적 분포에 관한 기후학적 연구, 중앙대 문화 연구논집, 18, 159-170 

  13. 임양재, 1991, 한국의 식생과 기후환경, 식물의 환경 적응과 생태 기술, 1991 한국식물학회 및 한국생태학회 심포지엄 및 워크샵 

  14. 충청북도기술원, 2000, 난지형 마늘 고위도 및 내륙지역 재배실태 조사, 152-521 

  15. 하경자, 하은호, 류철상, 전은희, 2004, 1909년 이후의 우리나라 4대 도시의 기온 경향과 극한 기후, 한국기상학회지, 40(1), 1-16 

  16. 植木秀幹, 1932, リギダマツの一般, 近澤出版部 

  17. Houghton, J. T., L. G. Meira Filho, B. A. Callender, N. Harris, A. Kattenberg and K. Maskell, 1996, Climate chage 1995: The science of Climate Change.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second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572pp. 

  18. Houghton, J. T., Y. Ding, D. J. Griggs, M. Noguer, P. J. van der Linden, X. Dai, K. Maskell and C. A. Johnson, 2001, Climate change 2001: The Scientific basis,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gne, 881pp. 

  19. Jung, H-S, Y. Choi, J-H. Oh, and G-H. Lim, 2002, Recent trends in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over South Korea, Int. J. Climatology, 22, 1327-1337 

  20. Lautensach, H., 1988, Korea; A Geography based on the author's travels and literature, Springer-Verla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