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네트워크 기반 선박 안전성 평가 시뮬레이션 시스템 프레임워크 및 가시화
Network-based Simulation System Framework for the Safety Assessment of Ship and Visualization Method 원문보기

大韓造船學會 論文集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v.43 no.5, 2006년, pp.619 - 629  

이경호 (인하대학교 선박해양공학과) ,  김화섭 (삼성중공업(주)) ,  오준 (인하대학교 대학원 선박공학과) ,  박종훈 (인하대학교 대학원 선박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afety assessment of the structure related to people has become the most important part in the process of the design. Especially, in the case of a ship, as regulations about the safety of passengers and the pollution in the ocean are strictly reinforcing, the safety assessment has become the mos...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 소개하는 시스템은 성능기반 접근방법론, 즉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이한 안전성 평가의 한 방법으로 HLA 개념을 바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시뮬레이션 시스템이다. 이것은 하부 해석 시스템들의 표준화와 재사용성을 추구하고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해상상태 및 선박의 거동을 가시화하는 시스템을 분리하여 시스템의 유지보수와 재사용이 용이한 선박의 안전성 평가 시뮬레이션 시스템으로, 여기서는 시스템의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 시뮬레이션 결과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 기반의 시뮬레이션 시스템이다. 이것은 하부 해석 시스템들의 표준화와 재사용성을 추구하고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해상상태 및 선박의 거동을 가시화하는 시스템을 분리하여 시스템의 유지보수와 재사용이 용이한 선박의 안전성 평가 시뮬레이션 시스템으로, 여기서는 시스템의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 시뮬레이션 결과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 선박 안전성 평가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표준화된 방법에 의해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본연구에서는 미 국방성에서 도입하고 있는 HUX 방법론을 도입하였으며, 이 장에서는 HLA의 출현 배경과 이를 네트워크 기반 선박 안전성 평가 시뮬레이션 시스템 구현에 활용하기 위해 수행한 선행연구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선박거동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바탕으로 가시화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간단한 시스템을 구현 해보았다.
  • 본 논문에서는 성능기반 접근방법론, 즉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의한 안전성 평가의한 방법으로 HLA 개념을 적용하여 선박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네트워크 기반의 시뮬레이션 시스템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가설 설정

  • 단계에서는 안전성을 평가하는 기준에 대한 정식화와 선박의 거동을 계산할 수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있지않으므로 각각의 Federate는 수행할 연산이 없는 형태로 설계되었다. 하지만 선행 연구에서 Federates 간의 data 교환이 원활이 이루어지는 것과 파일의 입출력이 가능한 것을 확인 했으므로 Simulation Module을 구성하는 각각의 Federates간의 data 교환과 선박의 거동 및 안전성 평가를 위한 연산, 그리고 필요한 데이터 파일의 생성이 이루어졌다고 가정을 하고 다음의 가시화 단계를 진행하였다.
  • 선박거동을 나타내기 위한 데이터 파일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들이 포함 되어 있으며, 이 파일은 Simulation Module의 진행 완료 후 자동적으로 생성되었다고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안경애, 2002, HLA란.. 응용분야 넓어 '차세대 기술' 부상, 디지털타임스, http://www.dt.co.kr 

  2. 여인철, 2003, 'FAS(Formal Safety Assessment, 공식안정성평가),' 대한조선학회지, 제 40권, 제 1호, pp. 24-35 

  3. 윤석준, 2003, 시뮬레이션과 시뮬레이터, 선학사, pp. 385-404 

  4. 이동곤, 2003, '손상선박의 생존성 평가 시스템에 관한 연구,' 대한조선학회 논문집, 제 40권, 제 2호, pp. 34-40 

  5. 이순섭, 이종갑, 박범진, 2004, '선박설계에서의 안전성 평가,' 대한조선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 224-229 

  6. Calytrix Technologies, http://www.calytrix.com 

  7. DMSO, http://www.dmso.mil/public 

  8. SEDRIS, http://www.sedris,org 

  9. SSRC, http://www.ssrc.na-me.ac.uk 

  10. Vassalos, D. 1999, 'Design for Safety,' Design for Safety Conference, pp. 1-15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