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집단보상과 협동기술 훈련이 초등학생의 과학성취도와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Group Reward and Cooperative Skill Training on the Science Achievement and Learning Motivation of Elementary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27 no.2, 2006년, pp.121 - 129  

박수경 (반여고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협동학습에서 소집단 경쟁을 유도하는 집단보상과 소집단 구성원의 결속을 강조하는 협동기술 훈련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 3개 학급을 대상으로 문제중심 협동학습을 실시하였고 2개 학급에서는 각각 집단보상과 협동기술 훈련을 실시하였다. 학업성취도 면에서 이질적으로 구성된 소집단별로 진행된 협동학습 후에 세 집단의 과학성취도와 학습동기 점수를 성취도 수준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집단보상과 협동기술 훈련이 과학성취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학습자의 학업성취 수준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즉 성취 수준 상위인 학습자에게는 집단보상이 협동기술 훈련보다 효과적인 반면 하위인 학습자에게는 협동기술 훈련이 집단보상보다 효과적이었으며 중위인 학습자는 집단보상과 협동기술 훈련이 모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보상과 협동기술 훈련이 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쳤으나 학습자의 학업성취 수준과는 관련이 없었다. 학습동기의 하위요소별로는 주의력 요소에는 효과가 없었으나 자신감과 만족감 요소에는 효과가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group reward and cooperative skill training on science achievement and learning motivation of elementary students. 3 classes of the 6th grade students were selected from an elementary school in Busan. Group I took traditional cooperati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과 협동 학습에서 집단보상과 협동기술 훈련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두 실험집단은 집단보상이 있는 협동학습에, 협동기술 훈련을 한 후 협동 학습에 참여하였고 비교집단은 이러한 처치 없이 협동 학습에 참여하였다.
  • 본 연구의 결과는 과학과 협동 학습에서, 외부적인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소집단의 상호작용과 학업성취를 촉진하는 것으로 보는 동기론적 관점과 소집단 구성원들이 얼마나 잘 결속되는가에 초점을 두는 사 회 응집성 관점에 대한 경험적 검증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협동 학습 결과 상위 집 단에게만 집단보상을 제공하는 집단경쟁 집단보상을 실시하였는데, 일정 기준 점수에 도달한 모든 소집단 에게 집단보상을 제공하는 집단 무경쟁 집단보상을 실시한 경우 성취 수준에 따라 같은 효과가 나타나 는 지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 협동기술은 협동 학습을 하는 동안 자동적으로 습득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직접적인 교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협력적인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구조에 내용을 결합시킴으로써 협동기술 훈련을 실시한 선행연구(Kagan, 1992; Kagan & Kagan, 1993)에 기. 초하여 과학과 협동 학습에 필요한 5가지 협동기술을 선정하고 해당 실험집단에 사전 훈련을 실시하였다.
  • 이는 협동 학습에서 외부적인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소집단의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것으로 보는 동기론적 관점과 소집단 구성원들이 얼마나 잘 결속되는가에 초점을 두는 사회 응집성 관점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과 협동 학습에서 집단보상과 협동기술 훈련이 초등학생의 과학성취 도와 학습 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첫째, 전통적인 협동 학습 집단, 집단보상 집단, 협동기술 훈련 집단의 과학 성취도에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강석진, 한수진, 노태희, 2002, 과학 개념 학습에서 협동적 소집단 토론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93-101 

  2. 고한중, 양수경, 한재영, 노태희, 2003, 초등학교 과학수업에서 팀게임 토너먼트 협동학습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304-312 

  3. 박수경, 1999, 구성주의적 과학수업이 대기압 개념 획득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2), 217-228 

  4. 박수경, 2004, 과학과 문제중심학습에서 협동기술훈련의 효과. 한국지구과학회지, 25(5), 327-335 

  5. 변영계, 김광휘, 2000, 협동학습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369 p 

  6. 임희준, 노태희, 2001, 이질적으로 구성된 소집단 협동학습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4), 668-676 

  7. Cohen, E. G., 1987, Talking and work together: Status interaction and learning. In P. Peterson, L. C. Wilkinson, & M. Hallinan (Eds), Advances in group process,. Greenwich, CN, USA, 3-26 

  8. Cohen, E. G., 1994, Restructuring the classroom: Conditions for productive small group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4, 1-35 

  9. Johnson, D. W., and Johnson, R. T., 1996, Learning together and alone: Cooperation, competition, an individualization (4th ed.). Prentice Hall, Englewood Cliffs, NJ, USA, 253 p 

  10. Johnson, D. W., and Johnson, R. T., 1999, Making cooperative learning work. Theory into Practice, 38(2), 67-73 

  11. Kagan, S., 1992, Cooperative learning: Resources for teachers. San Juan Capistrano, CA, USA, 240 p 

  12. Kagan, M. and Kagan, S., 1993, Playing with element: Advanced work in the structural approach. Cooperative Learning, 13, 6-7 

  13. Keller, J. M., 1987, Development and use of the ARCS model of instructional design. Journal of Instructional Development, 10(3), 2-10 

  14. Lazarowitz, B. J. H. and Hertz-Lazarowitz, R., 1992, Academic achievement and social gains of differing status students learning science in cooperative groups. Cooperative Learning, 13, 17-20 

  15. Lew, M., Mesch, D., Johnson, D. W. and Johnson, R. T., 1986, Positive interdependence, academic and collaborative skill group contingencie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3, 476-488 

  16. Lou, Y., Abrami, P. C., Spence, J. C., Poulsen, C., Chambers, B. and d'Apollonia, S., 1996, Whinin-class grouping: A meta-analysi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6(4), 423-458 

  17. Sharan, S. and Shachar, C., 1988, Language and learning in the cooperative classroom. Springer, NY, USA, 176 p 

  18. Slavin, R. E., 1983, Cooperative learning. New York: Longman, 27 p 

  19. Slavin, R. E., 1987, Cooperative learning: Where behavioral and hurnanistic approaches to classroom motivation meet. Elementary School Journal, 88, 290-337 

  20. Slavin, R. E., 1992, When and why does cooperative learning increase achievement? Theoretical and empirical perspectives. In R. Hertz-Lazarowitz, & N. Miller (Eds.), Interaction in cooperative groups. Cambridge University Press, NY, USA, 145-173 

  21. Slavin, R. E., 1995, Cooperative learning: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2nd ed.). Allyn and Bacon, Boston, MA, USA, 173 p 

  22. Stepien, W. and Gallagher, S., 1993, Problem-based learning: As authentic as it gets. Educational Leadership, 50, 25-28 

  23. Swing, S. R. and Peterson, P. L., 1982, The relationship of students ability and small group interaction to student achievement.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19(3), 259-274 

  24. Torp, L. and Sage, S., 2002, Problems as possibilities: Problem-based learning for K -16 education (2nd ed.).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Alexandria, VA, USA, 129 p 

  25. Webb, N. M., 1982a, Group composition, group interaction, and achievement in cooperative small group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4, 475-484 

  26. Webb, N. M., 1982b, Peer interaction, and learning in cooperative small group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4, 642-65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